구본형 변화경영연구소

연구원

칼럼

연구원들이

  • 이은주
  • 조회 수 2678
  • 댓글 수 7
  • 추천 수 0
2010년 10월 3일 22시 59분 등록

우리 집 강아지 오리오는 말을 한다. 이렇게 이야기 하면 사람들은 이상한 눈초리로 개 풀 뜯어 먹는 소리하지 말라고 할 것이다. 그러나 우리는 어려서부터 개의 언어의 인정에 익숙해져 있다. 우리가 늘 부르던 우리 집 강아지는 복슬강아지 학교에서 돌아오면 멍멍멍 꼬리 치며 반갑다고 멍멍멍노래는 어른이나 아이들이나 개들도 나름의 언어가 있다는 것을 받아 들이고 있음을 암시한다. 이 노래에 나타난 것처럼 진짜로 개들도 반갑다고 멍멍멍이야기를 한다. 다만 우리 귀에 짧은 단음으로 들리는 것뿐이다. 물론 개들마다 의사전달의 방법은 조금씩 다르다. 음성으로 이야기하는 개도 있고 눈빛으로 이야기를 하는 개도 있으며, 몸을 움직여 자기 의사를 말하는 개도 있다. 우리집 오리오는 자기 의사를 언어로 분명하게 전달한다. 문을 열어 달라고 할 때 그리고 물을 달라고 할 때도 말로 한다. 문을 열어 달라 할 때는 무언가 애절함이 묻어 있는 껙껙이런 소리에 가깝다. 그리고 물이 마시고 싶을 때는 조금은 저음으로 한 번 정도 ~’ 이런 소리를 낸다. 내가 가장 힘들 때는 전화를 받을 때이다. 오리오는 내가 전화를 받을 때 간식을 달라고 아주 고음의 듣기 힘든 소리로 말한다. 정말 괴로워서 견딜 수 없는 정도의 하이 톤이다. 마치 꺅꺅이런 소리를 간식을 줄 때까지 낸다. 내가 전화를 받기 위해 주는 것이 습관이 되어 이제 나는 오리오의 노예가 되어버렸다. 나만 오리오의 말을 알아듣는 것은 아니었다. 오리오도 내 말을 다 알아 들었다. 내가 좋아하는 사람이 전화를 했는지 아닌지 까지 정확히 오리오는 알아낸다. 내가 사무적이거나 짧은 전화로 끝날 것 같으면 절대 간식 달라고 이야기 하지 않는다. 그런데 내가 좋아하는 사람들에게서 전화가 오면 나의 억양이 부드럽게 바뀌는 것을 알고 집요하게 간식을 달라고 고음으로 깍깍하고 말한다. 대화가 소통되고 난 후 가장 어려움을 겪는 부분이기도 하다.

 

아이들을 키워 본 부모는 아마 이 부분을 읽을 때 공감할 것이라는 생각이 든다. 어린 아이들은 엄마가 전화만 오면 평소에 먹고 싶었던 것을 달라거나, 전화기를 빼앗으며 자기 존재를 알리려고 노력한다. 그리고 엄마 역시 기분이 좋거나 좋아하는 사람의 전화이면 한 쪽 귀에 전화를 대고 나도 모르게 냉장고로 간다. 그리고 평소에 잘 안주던 초코렛이나 아이스크림을 내어 준다. 아이들은 그것을 아는 것이다. 이와 비슷하게 오리오 역시 그것을 아는 것이다. 내가 오리오를 행동을 보면 4살 정도의 지능을 가진 아이의 행동을 보는 것 같다. 완전한 소통을 한다면 거짓이겠지만 4살 정도의 아이와 하는 대화는 오리오와도 가능하다. 거기에 눈빛과 몸짓을 보면 거의 다 이해할 수 있다.

 

그러나 우리 방울이는 눈빛과 몸으로 이야기를 한다. 문을 열어 달라고 할 때는 문이 구멍이 나도록 긁는다. 게다가 물이 없으면 그릇을 긁으며 물 그릇에 소리를 낸다. 그리고 무언가 먹고 싶으면 눈 꼬리를 내려 아주 불쌍한 표정으로 내 옆에 얌전히 앉아 나를 쳐다 본다. 나와 놀고 싶으면 두 발을 들어 내 가슴에 기어오른다. 방울이가 이야기를 하는 때는 오직 딱 한 번이다. 내가 외출을 할 때 자기를 데리고 가라고 아주 처절하게 운다. 나도 데려가라고 악을 쓰는 것처럼 들린다. 난 두 마리의 개를 보며 언어를 연구하며 어려움이 적지 않다. 왜냐하면 개가 말을 한다고 주장하기에는 방울이 같은 개가 의외로 많다는 것이다. 그렇게 생각하다가도 인간들도 자기의 표현 방식이 다 다른데 어찌 개들이라고 같을 수 있겠나 생각을 하기도 한다. 이 두 마리의 개의 경우 표현 방식이 달라진 것은 내 표현 방식의 차이가 아니었나 싶다.

 

아기들이 태어나면 눈을 맞추고 엄마의 말에 반응하는 소리 옹알이가 시작된다. 그러면 엄마는 그 운율에 맞춰서 응 그랬어? 어이구 잘 하네이렇게 맞장구를 쳐주는 것이 아기들의 언어발달의 시작이다. 나도 오리오에게 그렇게 대했던 것 같다. ‘문 열어 달라고? 그래 알았어하고 말이다. 그런데 생각을 해보니 방울이에게는 그런 기억이 없다. 너무나 발랄한 방울이에게는 늘 나의 고함이 먼저 튀어 나갔다. ‘가만히 있어. 그만해.’ 항상 금지와 부정의 언어들만이 방울이에게 나갔다. 그래서인지 행동이 아직도 과격하다. 우리 집 문마다 방울이가 긁어 만들어 놓은 흠집이 그것을 증명해 주고 있다. 이제 방울이에게 다른 방식으로 접근해 보아야겠다. 마치 처음 옹알이를 배우는 아가처럼 다정하고 따뜻하게 대해 주어 봐야겠다. 그러면 방울이는 바뀔까? 나의 연구는 또 시작 되었다.

 

하지만 두 강아지가 서로 이야기 할 때는 또 전혀 다른 억양과 뉘앙스로 대화를 한다. 둘의 대화를 귀담아 들어 보다 오늘은 통역까지 하였다. 방울이가 가래 끓는 목소리처럼 자글자글 끓는 소리로 앙알거린다. 예를 들면 ~~~르릉 끙 아우아우이런 소리로 말하고 나면 100% 오리오가 대답을 한다. 굵은 저음에 위협적인 목소리로 으르렁거리며 대답을 한다. 이 대화가 끝나면 꼭 오리오가 일어나 방울이에게로 다가가 엉덩이 냄새를 맡고 목 주변의 털을 잘근잘근 씹어주는데, 이때 방울이는 가만히 서 있을 뿐 저항하거나 움직이지 않는다. 나는 늘 이런 행위를 보면서 저 언어는 방울이가 오리오에게 관심과 사랑을 달라는 말일 것이라고 생각했다. 그런데 오늘은 오리오가 계속 신경질적으로 대답을 하면서 일어서지 않았다. 방울이 역시 포기하지 않았다. 그래서 내가 통역에 들어갔다. ‘오리오, 방울이가 너 오라고 하잖아. 방울이가 예뻐 해 달라잖아. 안 들려?’ 라고 말했더니 그 말이 끝나기 무섭게 일어나 방울이에게로 가서 냄새를 맡고 목의 털을 꼭꼭 씹어 주고 왔다. 그러나 아주 귀찮고 피곤하다는 듯 보였다. 이렇게 보니 분명 둘 만의 언어가 있었고 이를 통해 둘은 계속 이야기 하고 있었다. 나는 이제 그 둘만의 언어를 어느 정도 이해할 수 있을 것 같다. 전화 왔다고 전화 받으라고 다급한 목소리로 빨리 짖으며 나를 부르는 오리오, 마당에 내 놓으면 오리오에게 놀자고 시비를 거는 방울이의 어투를 보면 그들만의 언어는 분명히 있음을 알 수 있었다. 하지만 나는 다 알아 듣지만 이걸 어떻게 객관적으로 증명하여야 하는가가 내게 주어진 연구 과제이다. ~~~.

 

IP *.42.252.67

프로필 이미지
미옥
2010.10.04 18:08:57 *.10.44.47

언니 이건 어떨까요?
일단 언니가 이해하는 그들의 언어를 쭉 정리해보는 겁니다.
일종의 가설을 세우는 단계죠.
별로 안 와닿는 예지만 굳이 든다면 이런 식으로..

놀이양상

부바 : 업어달란 뜻인 것 같다. 하지만 부바를 하고 나면 바로 손가락으로 가고 싶은 곳을 지정해준다.
어쩌면 부바는 자기가 가고 싶은 곳으로 데려다 달라는 뜻일지도 모른다. 

그다음에 가설검증 단계로 들어갑니다.
일단 1차 실험대상견들을 섭외합니다. 지리적으로 근접한 동네개들이 편하겠죠.
과학적 객관성이 담보될 만큼의 회수나 마릿수 만큼 실험을 거듭한 후 
가설들을 하나씩 검증해나가다 보면 하나둘씩 확신이 생기는 수준의 언어들의 생기게 되지 않을까요?

구체적인 방법론은 경숙언니에게 도움을 받을 수 있지 않나 싶기도 한데..
이상 허접한 석사 묙의 어설픈 의견이었습니다.   ^^;;
 

프로필 이미지
맑은
2010.10.05 00:25:39 *.129.207.200
'몸이 먼저 말한다'는 책이 있어요. 사람의 말 보다는, 행동과 눈빛이 더 정확한 메세지를 던진다는 내용이에요. 다리를 꼬는 것은, 방어적이거나 혹은 상대에게 동의하지 않는다는 표현이지요. 이야기할 때, 눈을 내리깔면 거짓말하는 것이고, 눈을 위로 올리는 것은 회상하는 것이구요. 

개들도 이런 제스추어를 하나하나 이야기할 수 있지않아요? 문제는 사진을 찍어서, 설명을 부치기는 어렵지요. 일러스트나 그림을 활용하는 편이 낫겠어요. 글로만 표현하기에는 한계가 있을 것 같구요. 

처음부터 읽어나가기 보다는, 사전 형식으로 '배고플때', '쉬마려울 때' '사랑이 필요할 때' 개들의 표현으로 항목을 나누어서 콘텐츠를 만들었으면 하는 생각입니다. 
프로필 이미지
우성
2010.10.05 08:49:05 *.30.254.21
해 봐라....묙, 인건의 지적도 좋아보인다.
개에 관한  
너의 책에 들어갈 수 있도록 만들어 볼께.
개 노래...ㅎㅎㅎ
프로필 이미지
2010.10.05 10:04:53 *.230.26.16
끙, 난 아직도 개언어는 잘 모르겠어요.
개와 한번도 가깝게 지내본적이 없어서 나에게 개는 참으로 피상적인 존재지요.
가끔 신문이나 방송에서 접하는...
하긴 아이들 등쌀에 몇 년째 함께하는 거북이를 보면
분명 감정이 있어요.
아침에 사람이 방에서 나오면 밥달라고 어항을 마구 두드리지요.
또 심심하면 놀아달라고 얼마나 시끄럽게 구는지 몰라요.
신기한 것은 잘놀아주는 아이들이나 신랑에게 더 난리라는 거지요.
거의 무관심 방치하는 저에게는 절대 거북이도 먼저 반응하지 않아요.
사람도 알아보나 봐요. ㅎㅎㅎ
프로필 이미지
연주
2010.10.05 11:57:12 *.203.200.146
정말 아이들은 보면 말로만 대화를 하는 게 아니죠.
언어로만 할 수 없는 부족한 것은 눈빛으로 몸짓으로 표현을 하는데 그것을 읽어낼 수 있는 능력이 정말 교사에게는 필요해요.
나중에 뒤돌아보면 아..그래서 그녀석이 그랬구나 하는 통찰이 생길때가 있거든요. 그럼 괜히 미안해지기도 하고 어떤 때는 괜히 흐뭇해지기도 하죠.
강아지들의 언어를 읽어내는 능력...얼마전에 보았던 애니멀커뮤니케이터의 능력이 새삼 떠올라요...딱히 동물의 언어를 안다기 보다는 마음을 읽는다는 표현이 어울린다는 생각이 들어요.
프로필 이미지
상현
2010.10.05 13:25:50 *.236.3.225
몇 가지 상황설정을 시나리오로 짜고 실제 개들이 그렇게 행동하는지 동영상을 찍어 보는건 어때요.

시나리오와 실제 행동이 일치하는 걸 확인한 후에는 다른 개들에게도 똑같이 적용해 보는거죠.
그것들이 맞아 떨어진다면 CD로 구워서 책 부록으로 첨부하는 것도 괜찮을 것 같고.
프로필 이미지
진철
2010.10.05 22:13:11 *.105.115.207
개의 언어에 대한 실험들이 많이 있었을 거 같은데..
돼지나 닭, 소보다도 훨씬 오랫동안 가까이 인간들과 지내온 까닭에..
아마도 많은 사회학자나 과학자들의 실험대상이 개의 언어가 아니었을까 싶은데..
그렇다면, 관련된 연구보고서들도 많이 있지 않을까 싶기도 해요. 분명히.
주변에 언어학이나 동물사회학 같은 걸 연구하시는 분 없을까?
덧글 입력박스
유동형 덧글모듈

VR Left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932 닭 한마리의 기적 [1] 신진철 2010.10.04 2581
1931 집에서 '쉬는' 사람의 시간관리 [8] 이선형 2010.10.04 2823
1930 [컬럼] 시인과 농부 [11] 최우성 2010.10.04 2432
1929 민폐괴물 [4] 박경숙 2010.10.04 1981
1928 [칼럼] 우리 조직은 해고가 가능할까 [5] 신진철 2010.10.04 1997
1927 피드백 분석을 통한 진로 설정. [3] 맑은 김인건 2010.10.04 3721
» 말하는 개, 오리오 [7] 이은주 2010.10.03 2678
1925 <소설>나는 트랜스 휴먼이다(2) : 초부리 산 288-1 [5] 박상현 2010.10.03 2778
1924 라뽀(rapport) 25 - 나는 오늘 희망을 보았다 [1] 書元 2010.10.03 2247
1923 하계연수 단상14 - 우리가 꿈꾸는 기적 file 書元 2010.10.03 2488
1922 하계연수 단상13 - 그들은 왜 총을 들었을까? file [5] 書元 2010.10.03 2849
1921 컬럼. 선생님, 꿈이 생겼어요! [4] 김연주 2010.10.03 2310
1920 [먼별2] <단군의 후예 12- 단군낭자 아빠: 이희청님 인터뷰> [3] 수희향 2010.10.01 2548
1919 [그림과 함께] 그림에 꿈을 담고 싶습니다 file [4] 한정화 2010.09.29 2950
1918 감성플러스(+) 25호 - 회사인간 file [4] 자산 오병곤 2010.09.28 2310
1917 내가 세상을 바꿀 수 있다는 믿음, 요구르트 한 병 [4] 뎀뵤 2010.09.28 2507
1916 황금연휴의 선택 file [13] 이선형 2010.09.27 2271
1915 [컬럼] 좋은 경영을 위한 선택 [7] 최우성 2010.09.27 2097
1914 사랑 유급/ 실황! [2] 써니 2010.09.27 2148
1913 <소설> 나는 트랜스 휴먼이다(1) : 프롤로그 [16] 박상현 2010.09.27 309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