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본형 변화경영연구소

연구원

칼럼

연구원들이

2010년 10월 20일 01시 22분 등록

응애 38 - 내 인생의 가장 행복한 날

머리맡에 <내 인생의 가장 행복한 날>을 두고 잠을 자는 것은 얼마나 좋은지 모릅니다. 삶은 매우 소중하고 또한 달콤한 것입니다. 스스로를 사랑하는 법을 배우고 몸을 아끼는 것을 배워야 합니다. 머리 역시 계속 써줘야 합니다.

존 버닝햄은 심오하면서도 아름다운 그림을 그릴 줄 아는 73살의 할아버지입니다. 그는“2차 대전으로 1년간 학교를 가지 않았을 때가 가장 행복한 시절”이었다고 말합니다. 어릴 때 학교를 열 번도 넘게 옮겨 다닌 후 섬머 힐 스쿨에서 겨우 자유와 평화를 되찾았지요. 그리고 그림 동화 작가가 되었습니다. 그가 만들어낸 토끼 알도와 검피 아저씨, 지각대장 존, 할아버지의 의자는 이상하게 마음속 깊이 들어와 감동을 불러 일으킵니다. 이렇게 공감의 파장을 길게 이어가는 작가는 그리 흔하지 않지요.

그는 <내 인생의 가장 행복한 날>에서 과거의 글과 지금 나이든 사람들의 말을 통해 “나이 듦”이라는 주제를 그려 놓았습니다.

사실, 늙은 사람에게는 몇 년의 시간도 짧은 오후처럼 지나가 버립니다. 올해 93살인 한 극작가는 여든이 지나고부터는 5분마다 아침을 먹는 것 같다고 했습니다. 나이듦은 예고 없이 들이닥쳐 우리를 쓰러뜨리고 쓴 웃음을 짓게 합니다. 우스꽝스러워진 자신의 모습을 받아들일 준비가 되어있지 않은 사람은 나이가 들면 안 될 것 같습니다. 나이가 들대로 든 사람은 이제 한 가지 운동 밖에 할 수가 없습니다. 일명, 안경 찾아 삼만리 운동이지요.

나는 무엇이든 오래된 것이 좋습니다. 오래된 친구, 옛 시절, 오래된 관습, 오래된 책, 그리고 오래된 와인...그리고 나이가 들면서 생기는 가장 큰 혜택은 사랑에 빠지지 않는다는 것입니다. 한때는 삶의 목적이었던 것이 골치 덩어리가 되어 버리다니 참 이상한 일이지요? 물론 진정한 사랑과는 비교할 수도 없겠지만 소위 ‘첫 눈에 반하는 것’도 아주 귀찮은 일일 뿐입니다.

그리고 나이가 들면서 좋은 점 중에 빼놓을 수 없는 것은, 젊었을 때는 당연한 것으로 여겼던 축복들에 대해 감사하는 마음이 점점 더 커진다는 것입니다. 건강, 시력, 청력, 걸을 수 있는 능력, 마음대로 운전하고 여행 다닐 수 있다는 것 등. 그리고 무엇보다도 일을 계속 할 수 있다는 것에 대해 감사하게 됩니다. 스스로 운이 좋은 사람이라고 여기며 그 모든 것에 감사하게 되는 것입니다.

10년 가까이 즐겨 다니던 잘 아는 분의 별장에 머무는 분이 바뀌게 되었습니다. 그분은 당신을 언제나 主人(소유주)이라 하지 않고 住人(머무는 사람)이라 하시던 겸손하고 온유한 분이셨습니다. 우린 그곳에 전기가 들어오지 않던 시절 도르래를 이용해서 물을 건너 다녔습니다. 봄, 여름, 가을, 겨울을 모두 겪어 보았으나 이 물 맑고 바람 좋은 땅에 단풍이 들면 그 빛이 찬란하다 못해 마음속에 불을 불러 오고는 했었지요. 이 가을날, 냇물을 따라가며 길게 이어진 오솔 길을 몇 번이나 가고 오고 또 가며 옛 기억들을 정리했습니다.

어떤 순간들이 눈앞에 사진처럼 선명하게 펼쳐졌습니다. 처음 그곳에 가던 날, 선녀탕으로 바로 뛰어들었던 일도 생각나고, 오솔길에서 흘깃 살모사를 본 듯해서 등산화의 끈이 풀어져서 그런 것도 모르고 죽어라 뛰었던 일도 생각났습니다. 화롯불에 고구마도 구워보고, 옥수수도 장작불로 삶고, 돼지감자도 캐고.... 뒷동산에서 따다 담근 돌배주로 밤 깊도록 도란도란 이야기도 했었지요. 달이 떠오를 땐 달을 보고 별이 빛날 때는 말없이 별만 바라보았습니다. 모닥불 피워놓고 어두움 속에서 불꽃을 따라 춤을 추기도 했었지요.

이제 다시 그곳에 갈 수 있는 방법은 없는 듯 합니다. 지나간 아름다운 날들을 다시 되돌릴 수 없다고 생각하니 조금 눈물이 나려고 했습니다. 말은 없었지만 그곳에 오래 머물러 계셨던 주인장은 이미 정들었던 모든 것들과 작별인사를 다 해두신 것 같았습니다. 이제는 마음의 눈으로 지나간 시간들을 바라다 볼 때가 된 것 같습니다. 분명 그곳에 <내 인생의 가장 행복한 날>들이 있었을 텐데요, 그 추억도 조용히 가슴속에 묻어두기로 했습니다.

나이가 들면 앉아서 앞을 응시하는 일이 많아집니다. 그렇다고 이 일이 창의적인 일이 아니라고 할 수는 없습니다. 생각들, 기억, 시 몇 줄, 옛날의 끔찍한 말장난들, 조미료 병에 적힌 문구나 학교에서 배웠던 찬송가 같은 것들이 머릿속을 마구 떠다닙니다. 곧 머릿속은 편안한 백지상태처럼 되고 몸은 딱 움직이기 싫을 만큼만 나른해 집니다. 영국에서는 나이든 사람들이 까페에 혼자 있을 때 그렇게 공간을 응시합니다. 노인들은 두 손을 가지런히 모은 자세로, 가끔씩 인사를 하거나 불평을 늘어놓을 뿐, 집으로 돌아갈 때까지 거의 아무것도 하지 않습니다. 집에 가서는 약간의 음식을 먹은 다음 곧 잠자리에 들어버립니다. (존 모티어)

시간이 흐르고 있다고 당신이 말을 했던가요? 그렇지 않답니다.  시간은 머물러 있는 것이고, 흐르는 것은 바로 우리들입니다.

IP *.67.223.154

프로필 이미지
병곤
2010.10.20 20:00:23 *.154.234.5
이 글을 읽은 오늘 저녁은 행복합니다.
정말 공감의 파장이 오래가네요.
정말...

특히 마지막 구절이 가슴에 흐르네요.
'시간은 머물러 있는 것이고, 흐르는 것은 바로 우리들입니다.'
프로필 이미지
행복 범
2010.10.22 00:25:38 *.67.223.154
병곤 씨
이런 댓글 받는 날은 정말 행복해요.
정말...
그리고 이 책은 엄마 와 아버지께 선물해 드리면 좋을 것 같아요.
표지그림은 재미있고,  속그림은 즐겁고,  내용은 조금 더 우껴요.
프로필 이미지
남쪽에서 보내는 팬레터 ^^
2010.10.20 22:11:30 *.98.218.93

샘의 글을 읽으니 '모리와 함께 한 화요일' 이 생각 나네요.
저는 이 책의 이미지가 연 한 노란 빛이 도는 봄 날 햇살의 따듯함 으로 언제나 떠올라요.

내 인생의 가장 행복한 날을 떠올리는 샘의 안경 ? 이 또 하나의 따듯한 장면이 되어 겹쳐 지고요.

..시간은 머물러 있는 것이고 흐르는 것은 기억 인가요..

쭉 ~ 지속적으로 ~ 연거푸 ~ [응애] 들 마다 ~ 행복하시기를 바래용 emoticon
프로필 이미지
행복 해
2010.10.22 00:29:01 *.67.223.154
나도 남쪽나라 가서 강물따라 흐르고 싶은데요.....
그리고 응애가 얼른 자라나 앙앙 울어대면 좋겠어요. ㅋㅋ
animated/animate_emoticon (57).gif근데 감기가 심해서리....응애 응애~앵
프로필 이미지
연주
2010.10.21 11:49:57 *.203.200.146
서른이 되었을 때 나이 들은 것이 참 감사했습니다. 다시 20대의 시절로 돌아가라면 거절할 것이다라며 지금이 좋다고 사람들에게 당당하게 말을 했었던 기억이 샘의 글을 읽으면서 새삼 떠오르네요.
나이듦에 대한 과정이 인생의 과정이겠죠. 시간이 흘러간다 안타까워말고 그 시간의 흐름속에서 자유롭게 유영하는 시간여행자가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샘 덕분에 <내 인생의 가장 행복한 날>을 주문해 봅니다.
프로필 이미지
나이드는범
2010.10.22 00:13:36 *.67.223.154
연주,
어제는 존 버닝햄, 오늘은 개리 해멀을 ....근데 해멀, 이 사람 문장이 좋은데요.
찰스 핸디 사귀느라 정신없이 바쁠텐데...글읽고 격려해주니...참 기쁨........ㅎㅎ
프로필 이미지
우성
2010.10.21 18:47:26 *.30.254.21
버닝햄 부부의 인터뷰 기사를 본 적이 있어요.
동심이 그대로  드러난 얼굴과 기사가 아주 인상깊었지요.
저도 주문들어가야겠습니다.
감사합니다.
프로필 이미지
햄 범
2010.10.22 00:19:03 *.67.223.154
성곡 미술관에서 버닝 햄 전시회 할 때
오래오래 놀다 왔지요.  딱 5살 수준으로.....ㅎㅎ
찰스 핸디와 함께 즐거운 시간 보내세요.  버닝 햄은 사랑하는 아내에게 선물하구요.
덧글 입력박스
유동형 덧글모듈

VR Left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5212 [33] 시련(11) 자장면 한 그릇의 기억 secret [2] 2009.01.12 205
5211 [36] 시련12. 잘못 꿴 인연 secret [6] 지희 2009.01.20 209
5210 [38] 시련 14. 당신이 사랑을 고백하는 그 사람. secret 지희 2009.02.10 258
5209 [32] 시련 10. 용맹한 투사 같은 당신 secret [2] 2008.12.29 283
5208 [37] 시련. 13. 다시 만날 이름 아빠 secret [3] 2009.01.27 283
5207 [28] 시련(7) 우리가 정말 사랑했을까 secret [8] 지희 2008.11.17 330
5206 칼럼 #18 스프레이 락카 사건 (정승훈) [4] 정승훈 2017.09.09 1657
5205 마흔, 유혹할 수 없는 나이 [7] 모닝 2017.04.16 1660
5204 [칼럼3] 편지, 그 아련한 기억들(정승훈) [1] 오늘 후회없이 2017.04.29 1713
5203 9월 오프모임 후기_느리게 걷기 [1] 뚱냥이 2017.09.24 1743
5202 우리의 삶이 길을 걷는 여정과 많이 닮아 있습니다 file 송의섭 2017.12.25 1746
5201 결혼도 계약이다 (이정학) file [2] 모닝 2017.12.25 1776
5200 2. 가장 비우고 싶은 것은 무엇인가? 아난다 2018.03.05 1776
5199 7. 사랑스런 나의 영웅 file [8] 해피맘CEO 2018.04.23 1786
5198 11월 오프수업 후기: 돌아온 뚱냥 외 [1] 보따리아 2017.11.19 1792
5197 (보따리아 칼럼) 나는 존재한다. 그러나 생각은? [4] 보따리아 2017.07.02 1793
5196 12월 오프수업 후기 정승훈 2018.12.17 1795
5195 일상의 아름다움 [4] 불씨 2018.09.02 1802
5194 #10 엄마와 딸 2–출생의 비밀_이수정 [5] 알로하 2017.07.03 1807
5193 [칼럼 #14] 연극과 화해하기 (정승훈) [2] 정승훈 2017.08.05 18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