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본형 변화경영연구소

연구원

칼럼

연구원들이

2010년 12월 9일 23시 55분 등록

서정주 시인은 나를 키운 8할이 바람이라고 했습니다. 저는 그것이 음악이라고 감히 말하고 싶습니다. 그렇다고 제가 음악의 전문가라는 말은 아닙니다. 하지만 음악을 사랑한다고는 조금 말할 수 있습니다. 살다 보면, 어느 정점의 순간에, 추락의 순간에 나를 황홀하게 만들고 위로해주는 친구 같은 음악이 있습니다. 내 인생의 음악 하나. 음악과 사람 사이에는 깊은 공명이 있습니다. 음악과 사람의 공명, 그 이야기를 노래하고 싶습니다. 저는 음악이 주는 힘을 믿습니다. 제 글을 읽기 전에 음악을 꼭 듣고 읽었으면 좋겠습니다. 오병곤의 뮤직라이프, 뮤직 스타트~

 
음악과사람사이.jpg

 

가리워진 길

 

유재하

 

보일 듯 말듯 가물거리는
안개 속에 쌓인 길

잡힐 듯 말 듯 멀어져 가는
무지개와 같은 길

그 어디에서 날 기다리는지
둘러 보아도 찾을 수 없네

그대여 힘이 돼주오
나에게 주어진 길
찾을 수 있도록

그대여 길을 터주오
가리워진 나의 길


이리로 가나 저리로 갈까
아득하기만 한데

이끌려 가듯 떠나는
이는 제 갈 길을 찾았나

손을 흔들며 떠나 보낸 뒤
외로움만이 나를 감쌀 때

그대여 힘이 되 주오
나에게 주어진 길 찾을 수 있도록
그대여 길을 터주고 가리워진 길

 

 


거리에는 눈이 푸설거리며 떨어지는데 저는 전철을 갈아타고 있었습니다. 우측 보행이라는 팻말이 잠깐 제 눈을 스쳐 지나갔지만 조금도 우측으로 움직일 수 없었습니다. 발 디딜 팀도 없는 빽빽한 공간 속에서 여유를 찾으려고 한 호흡을 쉬고 걸어보지만 길은 선뜻 자리를 내주지 않습니다. 그 숨막히는 찰나에 이어폰에서 유재하의 ‘가리워진 길’이 나왔습니다. 바이올린 켜는 소리와 함께 사선으로 내리는 비처럼 한 사람이 켜켜하게 다가옵니다.

 

그와 나는 오랜만에 만나서 소주 한잔을 하고 볼그족족한 얼굴로 노래방에 갔습니다. 그는 취중에 이 노래를 흥얼거리며 불렀습니다. “그대여, 힘이 되주오, 나에게 주어진 길 찾을 수 있도록. 그대여 길을 터주오. 가리워진 길.”이 대목에서 저도 모르게 울컥했습니다. 제 갈 길을 모르는 눈물이 쏟아졌습니다. 그 노래는 그 누구도 아닌 저에게 목놓아 부르는 노래로 들렸습니다. 월화수목금금금, 바쁘게 돌아가는 프로젝트에서 그의 몸은 아토피와 과민성 대장증상의 노예가 되었습니다. 그러나 그가 진짜 힘들어 한 것은 앞이 보이지 않는 막막함이라는 것을 저는 직감적으로 알아차렸습니다. 저는 가리워진 길을 터주고 싶었습니다. 조금씩 천천히 첫 책을 목놓아 썼습니다.

 

살다 보면, 내 앞에 부슬비가 내리고 안개가 잔뜩 껴 있는 날이 있습니다. 희뿌연 안개 속에서 갓길도 없는 길을 달리는 느낌이 들 때가 있습니다. 방황하는 그때, 누군가 ‘짠’하고 나타나 위로와 힘이 되는 한 마디를 건넨다면 얼마나 좋을까요? 나의 길을 선명하게 보여준다면 얼마나 기쁠까요?

 

지난 주 홍대 앞 노래방에서 이 노래를 오랜만에 불렀습니다. , 그런데 이전과는 다른 느낌으로 다가왔습니다. ‘안개가 자욱한 길이라도 자세히 보면 길은 보인다는 것을. 허황된 꿈이 아니라 예기치 않은 행운처럼 무지개는 떠오른다는 것을. ‘나에게 주어진 길’은 우주가 저마다 준 소명을 찾는 것임을. ‘그대여 길을 터주오’의 그대는 다른 누가 아닌 바로 나임을. 길은 내 안에 있습니다.

 

유재하의 모든 노래는 사랑하는 한 여인을 위해 만들었다고 합니다만 저는 다시 노래방에 가면 윤동주 시인의 ‘서시’에 나오는 그리고 나에게 주어진 길을 걸어가야겠다는 구절처럼 결연함으로 불러보고 싶습니다.

 

 

IP *.154.234.5

프로필 이미지
명석
2010.12.10 11:26:24 *.108.81.47
병곤씨, 잘 지내지요?
병곤씨의 뮤직라이프 열독자가 될 것을 맹세합니다.
왜냐?
너무 아는 노래가 없어서리...^^
덧글 입력박스
유동형 덧글모듈

VR Left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3172 칼럼. 원영이의 기다림 [5] 김연주 2010.12.04 1983
3171 밑이 구린 사내들 이야기, 미꾸라아-쥐 [8] 신진철 2010.12.04 2567
3170 하계연수 단상31 - 그대 무대를 꿈꾸어라 file 書元 2010.12.05 2122
3169 하계연수 단상32 - 뱃사공 카론의 여정 file 書元 2010.12.05 2225
3168 라뽀(rapport) 34 - 이승호 완패(完敗) 書元 2010.12.05 1739
3167 개들과의 행복한 동행 [12] 이은주 2010.12.05 2086
3166 의식 수준에서의 ‘무기력’의 위치 [6] 박경숙 2010.12.06 3044
3165 [칼럼] 따로 또 같이, 그와 나의 취미생활 (1) [9] 이선형 2010.12.06 2208
3164 손님이 나를 만든다. [14] 맑은 김인건 2010.12.06 2110
3163 [컬럼] 니가 사람이냐 [11] 최우성 2010.12.06 2145
3162 니체씨 히틀러양을 만나다(가제) 인물 프로필 [18] 박상현 2010.12.06 2222
3161 응애 44 - 지상에 숟가락 하나 [4] 범해 좌경숙 2010.12.09 2311
3160 [12월 오프과제] version 2.0 [2] 신진철 2010.12.09 1866
3159 [12월 오프과제] Version 1.0 [5] 이선형 2010.12.09 1692
» [뮤직라이프] 1호 - 가리워진 길 file [2] 자산 오병곤 2010.12.09 7990
3157 [12월 오프과제] Version 1.0 [4] 김연주 2010.12.10 2098
3156 <12월 오프> Version 2.0 [3] 김연주 2010.12.10 1819
3155 12월 오프과제, 목차 맑은 김인건 2010.12.11 1855
3154 12월 오프과제_V2.0 박상현 2010.12.11 1872
3153 변화경영 연구소 Song년회 file [2] [1] 書元 2010.12.12 206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