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본형 변화경영연구소

연구원

칼럼

연구원들이

  • 박경숙
  • 조회 수 2224
  • 댓글 수 0
  • 추천 수 0
2010년 12월 13일 11시 43분 등록

  변경연 6기 7차 오프라인 수업 과제물

 

발표와 토의 주제

A. 명료히 정리해라

1.  제목
2.  나는 왜 이 책을 쓰게 되었나 ?(3-5줄) 
3. 이 책의 주제는 무엇인가?
( 3개의 keywords를 뽑아라. 그리고 그 중 하나의 키워드를 선택해라 )

4. 이 책의 차별성은 무엇인가?
( 3가지 차별성을 구하고, 각 차별성에 대하여 3-5 줄로 설명해라)

5. 나는 이 책의 독자에게 무엇을 줄 수 있나 ?
( 3 가지 혜택을 써라. 각 혜택에 대하여 1 줄로 설명해라. )

B. 세부목차를 만들어라

   

  

1) 제목

“은밀한 대적, 무기력!”
(제목의 후보는 계속 생각중임 )

2) 나는 왜 이 책을 쓰게 되었나? ( 3 -5 줄로 표현하라)

  사람들은 자신이 무기력증에 걸린지도 모른 채 무기력이 가져오는 각종 증상을 호소한다. 따라서 본인이 무기력증에 걸린 것을 아는 것만으로도 상태가 호전될 수 있다. 단순한 천성인지 게으름인지 싫증인지 분별할 수 없는 형태로 교묘하게 우리의 재능을 말살시켜가는 무기력증으로부터 각 개인이 자신의 본래 자아를 찾아가는 인지의 전환 방법을 제안한다.

3) 이 책의 주제는 무엇인가? ( 3개의 keywords를 뽑아라. 그리고 그 중 하나의 키워드를 선택해라 )

무기력 -> 인지의 전환 ->자유(본래나)
한 개의 키워드 : 무기력

 

4) 이 책의 차별성은 무엇인가? ( 3가지 차별성을 구하고, 각 차별성에 대하여 3-5 줄로 설명해라)

(1) ‘무기력’ 이라는 주제 하나만 다룬다.
일반인이 무기력이라는 증상을 이해하고 객관적 지식을 갖게 돕는다.

(2) 무기력증을 탈출하는 방법을 다각도로 정리
인지치료/ 심리학/ 자연법칙에서의 무기력 탈출과 관련 있는 연구결과를 도입한다.

(3) 인지전환의 기법을 무기력에 도입한다.
인지의 전환은 인지치료 기술을 전환과 결합한 새로운 개념이다.
인지치료와 전환에 대한 개념정리를 통해 독자에게 인지의 전환이 무기력 해소에 도움이 됨을 설명하고 나의 사례를 통해 실제 증상이 호전되어 갔음을 보인다.

 

5) 나는 이 책의 독자에게 무엇을 줄 수 있나 ?

( 3 가지 혜택을 써라. 각 혜택에 대하여 1 줄로 설명해라. )

(1) 발전과 성장과 진화를 막는 대적에 ‘무기력’이 있었음을 정리하고 알게 한다.
- 무기력이 림보상태의 증상과 유사함을 알게 한다

(2) 무기력에서 빠져나오는 법을 알게 한다.
- 자연법칙과 성공원칙등에서 인지전환의 방법을 찾아 보인다

(3) 참된 나(본래나, 본성과 천복)를 찾아가는 법에 대해 생각하게 한다. -> 자유
- 결국 무기력은 은밀한 속임수이고 본성과 천복을 찾아가는 길이 무기력에 다시 빠지지 않는 비결임을 알게 하여 스스로 자유를 찾게 한다.

 

목차 (ver. 2)

  프롤로그: 무기력! 그 정신의 독소
1부- 언제부터인가 나는 늘 무기력 했다
1장 무기력증이란?
- 의식수준에서의 ‘무기력’의 위치
- 림보상태에서의 무기력

2장 무기력의 원인과 발생과정
- 학습된 무기력
- 호스피탈리즘
- 열정의소실
- 높은 목표
- 목표상실
- 과도한 의무감
- 냉소주의

3장 무기력의 결과(폐해)
- 게으름
- 싫증
- 좌절
- 포기
- 무감동 및 무반응

4장 특별히 무기력증에 잘 걸리는 사람들
- 완전주의
- 강압
- 징벌
- 심기증
- 고학습능력자

2부-무기력에서 벗어나 ‘나’를 회복하는 과정

5장 무기력을 벗어나려면 인지전환하라
-인지전환이란?
-인지치료의 기술
-전환의 방법

6장 무기력증에서 탈출하는 인지전환의 예
- 자연에서 배우는 탈출전략
- 대가들에게서 배우는 전략

7장 무기력탈출을 위한 인지전환 법칙 (정리)

추가할 예정

에필로그: 본래의 나를 회복하고 나서

 

IP *.145.204.123

덧글 입력박스
유동형 덧글모듈

VR Left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5212 [33] 시련(11) 자장면 한 그릇의 기억 secret [2] 2009.01.12 205
5211 [36] 시련12. 잘못 꿴 인연 secret [6] 지희 2009.01.20 209
5210 [38] 시련 14. 당신이 사랑을 고백하는 그 사람. secret 지희 2009.02.10 258
5209 [32] 시련 10. 용맹한 투사 같은 당신 secret [2] 2008.12.29 283
5208 [37] 시련. 13. 다시 만날 이름 아빠 secret [3] 2009.01.27 283
5207 [28] 시련(7) 우리가 정말 사랑했을까 secret [8] 지희 2008.11.17 330
5206 칼럼 #18 스프레이 락카 사건 (정승훈) [4] 정승훈 2017.09.09 1658
5205 마흔, 유혹할 수 없는 나이 [7] 모닝 2017.04.16 1661
5204 [칼럼3] 편지, 그 아련한 기억들(정승훈) [1] 오늘 후회없이 2017.04.29 1715
5203 9월 오프모임 후기_느리게 걷기 [1] 뚱냥이 2017.09.24 1744
5202 우리의 삶이 길을 걷는 여정과 많이 닮아 있습니다 file 송의섭 2017.12.25 1748
5201 결혼도 계약이다 (이정학) file [2] 모닝 2017.12.25 1777
5200 2. 가장 비우고 싶은 것은 무엇인가? 아난다 2018.03.05 1778
5199 7. 사랑스런 나의 영웅 file [8] 해피맘CEO 2018.04.23 1788
5198 (보따리아 칼럼) 나는 존재한다. 그러나 생각은? [4] 보따리아 2017.07.02 1794
5197 11월 오프수업 후기: 돌아온 뚱냥 외 [1] 보따리아 2017.11.19 1794
5196 12월 오프수업 후기 정승훈 2018.12.17 1796
5195 일상의 아름다움 [4] 불씨 2018.09.02 1803
5194 칼럼 #27) 좋아하는 일로 먹고 사는 법 (윤정욱) [1] 윤정욱 2017.12.04 1808
5193 [칼럼 #14] 연극과 화해하기 (정승훈) [2] 정승훈 2017.08.05 18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