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본형 변화경영연구소

연구원

칼럼

연구원들이

  • 최우성
  • 조회 수 1990
  • 댓글 수 3
  • 추천 수 0
2010년 12월 13일 16시 27분 등록


12월 오프수업 과제 (2010.12.11)


1) 제 목
 

‘니가 사람이냐!’ 

(1) 이유 1 : 병원비를 수납하는 창구는 오늘도 시끄럽다.
 “니가 사람이냐? 왜 나 혼자 엄마 치료비를 내야 하느냐?” 며 전화기에 대고 절규하듯 소리치며 실랑이가 벌어진다. 의사의 불친절에 절망한 환자 보호자가 의사를 욕하며 말한다. "그 의사가 사람이냐?"
...사람이냐고? 도대체 사람이란 무엇인가? 사람은 무엇으로 살아가야 하는가? 인생은 그냥 왔다 가는 것일까? 사람으로 태어나서 어떻게 살아가는 것이 좋은 삶인가? 절박한 외침은 가슴 속 질문으로 진화했다.  
 

(2) 이유 2 : 딸의 조언 /  
  아빠...'니가 사람이냐?' 이 제목이 그나마 제일 낫다.  다른 거는 임팩트가 약해...그 제목이 좀 끌려...책을 사볼려면 호기심이 당겨야 하잖아? 근데, 어떤 계층을 공략할 건데?  (허걱...초딩 3학년이...아빠보다 낫다....)

2) 나는 왜 이 책을 쓰게 되었나? (3-5 줄로 표현하라) 대략  서문 

1. 강렬한 사람의 이야기  

생로병사! 병원은 인간의 총체적 진실이 드러나는 곳이다. 신생아실에서는 새로운 생명이 태어나고, 호스피스 병동에서는 암환자가 편안한 죽음을 맞이하기 위한 준비를 하고 있다. 희귀질환으로 고생하는 이들의 애절한 사연에 가슴 짠하고, 자식이 있음에도 부모를 내팽개치고 전화연결조차 끊어버리는 이들에게 분개한다. 인간이란 본질적으로 관계망속의 존재다. 인간을 인간이게 하는 건 타인의 감정에 공감하고 타인을 염려하는 능력이다. 사람의 스토리 자체가 갖는 힘, 그 힘에 어쩔 수 없이 깊이 공감하고, 시키지 않아도 사람에 대한 연민을 갖게 된다., 그래서 쓴다. 하나 더, 유끼 연구원들이 연민과 공감을 키워드로 써보라 해서...  

2. 병원에서 만나게 되는 결정적인 질문, ‘사람이란 무엇인가? 어떻게 살아야 하는가?’ 라는, 정답을 알수 없는 질문에 대한 궁금중 탐색  

살아가면서 평소에 잘 하지 않는 질문들이 있다.‘사람이란 무엇인가?’같은 류의 따분한 질문들이다. 대부분의 사람들은 건강할 때 이런 질문을 하지 않는다. 그러나 질병이라는 시련이 찾아와 병원에 입원하게 되면, 얘기가 달라진다. 질병은 환자에게 단순한 고통만을 주지 않기 때문이다. 질병은 육체의 고통에서 비롯된 마음의 고통, 관계의 단절에서 비롯되는 사회적 고통과 함께 소외된 영혼의 영적인 고통까지 전인적으로 안겨준다.  

질병의 시련속에서 사람들은 평소에 잘 하지 않던 질문들을 던지게 된다.‘사람이란 무엇인가? 사람은 무엇으로 살아가야 하는가? 사람으로 태어나서 어떻게 살아가는 것이 좋은 삶인가?’병원에서 마주치는 이러한 질문들을 온 몸으로 맞이하고, 살아가는 사람들을 보면서 스스로도 질문의 답을 같이 고민해 본다.

3. 어떤 삶이 좋은 삶인가? ‘하루를 잘 보내는 삶 (?) ’  

‘내가 진정으로 원하는 삶은?’이라는 매우 따분한 질문을, 오랫동안 내면에 품어 왔었다. 그 마음 속 질문은 나를 구본형 선생님 앞으로 이끌었다. 변화경영연구소의 6기 연구원으로 활동하면서 그 질문은 계속되었고, 연구원 과정 중에 만난 인류의 스승들이 밝힌 불빛에 비추어, 여러 개의 답변 중 하나를 찾게 되었다. 좋은 삶의 모범으로 가장 매력적인 것은 .하루를 잘 보내는 삶‘이다. 스승님은 하루가 삶이기에 하루를 잘 보내면, 인생을 잘 보내게 된다고 말씀하셨다. 나는 그 하루 안에 3 가지가 들어갔으면 좋겠다.  

1) 웃음
2) 건강
3) 재미와 의미  

책을 통해 굳이, 전하고 싶은 주장(?)이 있다면 아래와 같으면 좋겠다.  

인류의 스승들이 말하는‘좋은 삶’, 행복한 삶은 무엇일까? 거창한 내용들을 제외하고 내가 이해할 수 있는 것은 단순하다. 인생, 따스하게 살자는 것이다. 러셀도 그랬고, 맹자도 그랬다. 세상에 대한 연민으로 사랑하며 살자.  

질병의 시련이 찾아오지 않은 우리에겐 아직 기회가 있다. 그리고 우리에겐 삶의 자세를 선택할 자유가 있다. 한번 그렇게 살아보고 싶다. '나는 재미있게, 남은 행복하게' 혼자하면 재미없으니 같이 하자. 
Design Our Life! 
 

3) 이 책의 주제는 무엇인가? (3개의 keywords를 뽑아라. 그리고 그 중 하나의 키워드를 선택해라 )  

- 마음을 열어주는 101가지 이야기 (병원 버전)
- 병원에서 펼쳐지는 인간 삶의 희노애락 풍경화 / 공감과 연민으로 인간 삶을 관찰하기
- [종합] 사람   

4) 이 책의 차별성은 무엇인가 ?
(3가지 차별성을 구하고, 각 차별성에 대하여 3-5 줄로 설명해라)   

- 사람과 삶의 이야기
  인류의 스승들이 말하는 사람과 좋은 삶

- 삶의 위기를 경험하는 병원에서 일어나는 드라마틱한 삶의 풍경화
  병원에서 만나는 위기와 절망 그리고 희망에 대한 리얼 다큐!

- 인생을 노래하라! 스토리와 연결된 노래 4곡 ? 뺄까 말까? 고민 중..
  사람에 대한 공감과 연민의 노래   

5) 나는 이 책의 독자에게 무엇을 줄 수 있나?
    (3가지 혜택을 써라. 각 혜택에 대하여 1 줄로 설명해라. )   

- 공감과 연민 (사람이 주는 감동,분노,좌절,희망)
  인간본성에 대한 통찰과 연민
- 용기, 감사, 긍정, 희망
  아픈 이에게서 배우는 지혜
- 인류의 스승들이 말하는 좋은 삶, 행복한 삶?
  인간관계, 행복의 조건, 재미와 의미있는 삶에 대한 질문을 함께 품기  

  [책을 생각하면서 떠 올렸던 책 2권]

 1. 아름다운 동행 / 박경철 
  
의료계가 얼마나 강렬한 이야기가 존재하는지 알게 해 준 책
   출근하면서 읽다가 웃고, 울고, 낄낄대다가 지각하게 했던 책

 2. 내 생애 단 한번 / 장영희 [연구원 입학시 썼던 개인사에 넣은 책]
    내가 가장 좋아하고, 최고로 뽑는 책이 그녀의 책
    잘
 쓴 책이어서가 아니라..쉽고, 공감 100배, 눈시울을 붉게 했던 책

B. 세부 목차 

■ 프롤로그 : 질병이라는 시련, 더 나은 사람이 되기 위한 인생 처방전!  

[1장] 인생은 깊어간다. [용서, 상실, 죽음, 고통, 어려움, 극복 스토리.]

- 노래 : 인생은 깊어간다. 
  (악보/ Writer's note : 공지영의‘빗방울처럼 나는 혼자였다’를 읽고)

- 니가 사람이냐!
- 손바닥 두뼘의 축복!
- 육체의 고통은 참을 수 있다.
- 인간은 행복해지기 위해 태어난 존재
- 살며 사랑하며 웃으며 배우기
- 치유, 몸과 마음의 균형

[2장] 그래도 꿈은 아름답다. [좌절된 꿈, 함께하는 꿈, 희망, 미래 스토리]

- 노래 : 벗
  (악보 / Writer's note : 변화경영연구소 ‘우린 함께 걸어가는‘꿈벗’)
- 천개의 도서관
- 울지마 톤즈, 울지마 사람아
- 코리안 드림의 좌절
- 인간은 언제 가면을 벗는가
- 죽기 전에 해야 할 44가지
- 이기적인 인간이 동물이 되지 않으려면

[3장] 하루가 삶이다. (구본형, 하루를 잘 보낼 것, 그것이 삶이니까)

- 노래 : 하루
  (악보 / Writer's note : 구본형, 일상의 황홀)
- 웃음은 인류의 방탄조끼
- 또 다른 피곤함으로 완벽한 휴식을!
- 건강한 사람들의 일곱가지 습관
- 감사합니다. 고맙습니다. 건강하세요
- 나는 재미있게, 남은 행복하게
- 글쎄....

■ 에필로그 : 다시 시작할 수 있다. 인생의 봄, 사랑을 기다리며..

노래 : 꽃피는 봄
(악보 / Writer's note : 시야, 너 참 아름답구나! 시처럼 살아가기)

 

IP *.34.224.87

프로필 이미지
김선화
2010.12.13 16:58:06 *.253.124.89
느낌이 아주 좋습니다~
이런 책이 나온다면 꼭 사서 읽고 싶습니다^^
늘 건강하세요
목포댁 김선화^^
프로필 이미지
2010.12.14 06:37:27 *.10.44.47
ㅋㅋ
귀여븐 울 오라버니..emoticon 
프로필 이미지
우성
2010.12.13 21:49:13 *.34.224.87
부탁이 하나 있습니다.

선화님의 그 멋진 멘트를
저희 사부님과 유끼 동기들에게
큰 소리로 말씀해 주세요...  감사합니다.. ㅎㅎㅎㅎㅎㅎㅎemoticon
덧글 입력박스
유동형 덧글모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