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본형 변화경영연구소

연구원

칼럼

연구원들이

  • 이은주
  • 조회 수 3351
  • 댓글 수 11
  • 추천 수 0
2011년 1월 17일 09시 35분 등록

프롤로그

 

                       세상의 아름다움을 알도록 해 준 당신께.

 

듣는 순간 두 귀가 쫑긋했고 털이 바짝 섰다. 최근에 북이스라엘의 한 마을에서 놀라운 일이 일어났다. 12천년 전 구석기 시대의 묘지가 발견되었다는 것이다. 그런데 그곳에서 발견된 화석을 분석해 본 결과 사람의 손이 개의 어깨 위에 있는 자세로 함께 묻혀 있다는 것이다. 과연 이들에겐 무슨 일이 있었던 걸까? 그들이 어떤 사연으로 어떻게 같이 죽어 묻혔는지는 아무도 알지 못한다. 하지만 그들의 관계는 뗄래야 뗄 수 없는 아름다운 사이였을 것이다. 수 없이 많은 동물의 진화 과정에서 가 인간과 가장 좋은 관계로 지냈다는 것을 증명할 수 있는 아주 획기적인 사건이기도 했다. 이런 아름다운 감동의 스토리가 1 2천년 전만의 일만은 아니다. 죽음의 문턱까지 갔던 나는 지금 가족을 만나 다시 보지 못할뻔한 세상의 아름다움을 보며 살고 있기 때문이다. 기적은 물 위를 걷는 것이 아니라 성냥개비 머리만한 콧구멍으로 숨을 쉬고 살 수 있다는 것, 바로 그것이다. 주인에게 죽어서 어깨를 내어주는 일쯤이야 아무것도 아니다. 나에게 더 중요한 것은 살아있는 동안 가족에게 내 체온과 부드러운 털의 감촉을 주는 것이다. 서로 의지하고 사랑하며 산다 해도 우리에게는 고작 12-17년 정도의 시간 밖에 주어 지지 않는다. 사람이 7년간 살아야 할 시간이 우리에게는 1년으로 주어진다. 더 많이 베풀고 더 많이 사랑하기에는 너무나 짧은 시간이다.

 

좋은 관계를 잘 유지하며 살아가기 위해 신은 개들에게 꼬리를 주셨다. 의아한 눈빛으로 착각은 자유라고 말하고 싶을지도 모르겠다. 물론 신은 다른 많은 동물들에게도 꼬리를 만들어 주셨다. 돼지의 짧은 꼬리는 선풍기처럼 돌아가며 똥을 사방에 흩어 놓고, 말의 꼬리는 파리 쫓기에 늘 바쁘다. 꼬리하면 제일 먼저 떠오르는 것은 고양이다. 고양이의 꼬리는 거만의 상징처럼 꼿꼿이 서있다. 중심잡기에도 도움이 된다. 하지만 우리는 다르다. 꼬리 하나로 모든 것을 표현할 수 있다. 기쁨, 슬픔, 분노, 두려움…., 우리의 꼬리는 사람들과 교감할 수 있는 안테나 역할을 하는 것이다. 덕분에 사람들과 가장 친밀한 관계로 함께 살아 갈 수 있게 되었다. 자녀들이 다 성장해 떠난 빈자리를 채워주기도 하고, 혼자 오랜 시간 집에 있는 아이들과 함께 친구가 되어 집을 지키기도 한다. 현대 사회에 서로가 없어서는 안될 대리 인간의 관계로 우리의 역할은 더욱 커지고 있다. 그래서 개들이 보는 세상을 사람들에게 이해시켜줌으로써 서로가 안정되고 행복해 질 수 있도록 도와 주고 싶은 마음이 이 글을 쓰게 된 동기가 되었다.

 

사람들이 개와 함께 살아가는 시간은 자연의 사계절과도 같다. 주인과 만나 가족으로 인연을 맺은 그날의 셀레임은 따뜻한 봄날로 기억된다. 더운 여름처럼 뜨거운 사랑을 나누며 의지하고 살아가기도 한다. 넉넉한 가을처럼 배부르고 등 따뜻한 세상에 부러울 것이 없는 날도 있다. 하지만 주인과의 안타까운 이별도 있고 또 때로는 버림을 받기도 한다. 같이 살기는 하지만 냉랭하게 대면대면 밥만 먹으며 사는 날이 우리에게는 겨울이기도 한 셈이다. 하지만 자연의 섭리를 거스를 수 없는 것처럼 개들은 온전히 삶을 받아 들인다.

 

이 글을 읽는 사람들에게 남기고 싶은 말이 있다면 관계라는 과정에 초점을 맞춰서 읽어 보라고말하고 싶다. 죽을 때까지 배우며 살아가야 하는 것이 삶이라는 것을 인정한다면 개의 시각으로세상을 한 번 바라보라. 한번 맺은 관계를 온몸으로 최선을 다해 유지해 나가는 우리의 모습에 감동이 파도처럼 밀려들 것이다. 한끼의 식사가 노력 없이 거저 주어지는 것이 아님을 느끼며 감사함으로 가득 채워질 것이다.

 

시인 바이런이 자신이 키우던 개인 보우슨이 죽었을 때 쓴 시에 따르면 개들은아름다움을 가졌으되 허영심이 없고, 힘을 가졌으되 거만하지 않고, 용기를 가졌으되 잔인하지 않고, 인간의 모든 덕목을 가졌으되 그 악덕은 갖지 않은 그들은 묶어놓거나 가둬놓지 않고 키울 수 있는 유일한 고등 척추동물이다. 이 이야기는 사람들이 개를 보는 시각이다. 하지만 내가 보는 사람들은 모든 것을 갖춘 것 같지만 어딘가 늘 부족하고 또한 불안해 보이고, 풍부한 감정을 표현할 수 있는 능력을 가졌으되 너무나 아끼며 살고 있는것 같다. 나는 사람들의 부족한 부분을 채워주고 감정을 모두 받아 주며 그들의 사랑스러운 반려 동물로서 함께 오래 살아가고 싶다. 왜냐하면 사람들은 사랑으로 똘똘 뭉친 묘한 매력 덩어리이기 때문이다.

 

 

추천사

 

오리오는 관계의 달인이었다. 늦게 귀가하는 날 텅 빈집의 어두움을 빛보다 먼저 환하게 나를 꼬리치며 맞아 주었다. 외로운 날은 오리오는 자신의 따스한 체온을 나누어 주었다. 슬픈 날 눈물을 혀로 닦아주며 위로해 주었다. 오리오는 항상 나의 기쁨과 슬픔을 먼저 알아차리고 나와 함께 기쁨은 배로 누리고 슬픔은 반으로 나누었다. 못 생긴 나무가 산을 지키듯 못생긴 오리오는 집과 나를 지켜 주었다.

 

오리오는 세상을 살아나가기 위해 가장 중요한 것은 관계라고 주장하며 짖어댔다. 자기가 가지고 있는 장점을 찾아 최대한 활용하면서 또한 원하는 것을 이루며 살아가는 현명함을 보여 주었다. 상대방의 기분과 상태를 눈치있게 알아 보고 순발력 있는 행동으로 대응해 가는 오리오는 큰 기업의 리더 못지 않게 멋지고 배울 점이 많았다. 항상 소리후에 반응하는 오리오의 모습은 경청의 중요성을 일깨워 주었다. 개의 기본 덕목인 서열역시 같이 사는 개(방울이)에게 확실히 인식시키며 자기 자리를 유지해 나갔다. 늘어가는 눈가의 흰털도 몸에 피어 오르는 검버섯도 자연스럽게 받아들이는 모습은 당당해 보이기까지 했다. 거울을 보며 눈가의 늘어난 주름을 보고 한숨 짖는 나에게 자신감을 주기도 했다.

 

오리오가 본 세상과 사람들은 너무 빠르게 돌아가고 바빠 보였다. 나는 오리오가 쓴 글을 보며 오늘을 제대로 살지 못하면서 내일을 걱정하는 나를 보게 되었다. 집 지키는 업무를 충실히 하고 나머지 시간은 피부 세포까지 다 이완시켜서 그들은 쉬는 시간으로서 잠을 즐긴다. 일할 때 열심히 일하고 쉴 때 제대로 쉴 줄 아는 개들의 모습에서 삶의 여유와 지혜를 배우기도 한다. 행복은 멀리 있지 않았다. 가장 가까이 있는 내 생활의 주변에서 찾아 즐기는 것이다. 그것이 지저귀는 새소리가 될 수도, 다 떨어진 나무 끝에 독수리 모양으로 남아 있는 하나의 나뭇잎이 될 수도 있다.

 

남아 있는 삶이 너무나 많이 남아 길다고 느껴질 때도 있다. 주변에 누구 하나 내 마음을 알아주고 이해해주지 않는 것 같아 섭섭함이 가득하기도 하다. 이런 사람들은 지금 보다 좀 더 많은 사랑을 주고 받으며 만족한 삶을 살기를 원하는 사람들이다. 그런 사람들은 마음의 문을 닫지 말고 내 마음을 열어줄 열쇠를 찾아야 한다. 열쇠를 찾고 싶은 사람들은 이 책을 반드시 읽어 보라고 이야기 하고 싶다. 이외로 엉뚱한 관점에서 내가 다시 살아갈 에너지를 얻을 수 있기 때문이다. 퍼낼수록 더 많이 채워지는 것이 사랑이다. 생명체를 사랑하는 마음으로 이 글을 읽는다면 매우 즐거울 것이다. – 동물의 숨결을 사랑하는, 오리오, 방울이의 엄마 이은주

 

IP *.42.252.67

프로필 이미지
부지깽이
2011.01.17 09:55:53 *.160.33.89

추천사

이곳 가까이
유해가 묻힌 그는
아름다움을 가졌으되 자만심이 없었고
힘을 가졌으되 오만함이 없었으며
용기를 가졌으되 잔임함이 없었고
인간의 모든 미덕은 가졌으되 그 악덕은 갖지 않았었다.
이 찬양도 사람의 유해 위에 새기는 말이라면
의미 없는 아첨이 되리로되
1803년 5월 뉴펀들런드에서 태어나
1808년 11월 18일 뉴스테드 애비에서 죽은
개 “보우선”의
영전에 바치는 말로는 정당한 찬사이리.
      - 로드 바이런
프로필 이미지
은주
2011.01.18 15:03:28 *.42.252.67
사부님의 피드백 해석이 암호같이 어렵기만 하네요...... ?????
프로필 이미지
2011.01.17 18:09:50 *.230.26.16
음,
동물의 '동'자도 싫어하는 저에게 일단 호기심을 불러일으켰으니,
시작은 성공입니다!!
이제 쭉 가시길!!! ㅎㅎㅎ
프로필 이미지
은주
2011.01.18 15:04:14 *.42.252.67
이제 '물'까지 이해하면 대박인거지? 아~~ 어렵다.
프로필 이미지
상현
2011.01.17 18:32:29 *.236.3.241
은주 누나 갈수록 철학자가 되어 가는 것 같소 ^^
개를 명상하다가 도를 깨치게 생겼소~~
최근 일련의 진지 진중 사색 모드의 배경을 부연
설명해 주시면 코멘트할 때 도움이 되겠소.

프롤로그는 다소 진지하게, 본문은 경쾌하게 모드인지?
프로필 이미지
은주
2011.01.18 15:06:41 *.42.252.67
글과 사진은 속일 수 없다고 한다는 말이 실감나는 요즘이야.
글 속에 점점 내가 녹아 나온다.
개의 시선을 촛점을 잡기가 쉽지 않아.
게다가 방울이 시선이면 좀 더 밝고 명랑 할 수 있는데 말야.....
오리오는 좀 생각이 깊고  눈 빛이 슬픈 개여서인지 글이 자꾸 무거워 진다.
프로필 이미지
2011.01.17 19:11:37 *.30.254.21

 2 % 부족..
 급하게 읽어서 진지한 분석은 못했으나, 암튼 2% 부족한 느낌이다..

 그리고..
 바이런의 시를 설명하지 말고, 그냥 앞쪽이든 뒤쪽이든
 먼저, 배치하면 좋을 듯..

 프롤로그 제목과 글의 전체중심이 확 오지 않는다.
 2% 부족한 느낌...약올라 하지마.. 나도 그럴꺼니까...ㅎㅎㅎ

 에구..내 프롤로그는 언제 쓸려는지.....^^;   
프로필 이미지
은주
2011.01.18 15:07:41 *.42.252.67
2%로 무엇으로 채우나 계속 읽어 보고 있어.
정  안되면 그 2%는 너가 채워 주면  안 될까? ㅋㅋ
프로필 이미지
연주
2011.01.18 14:38:49 *.30.17.30
일단 책속의 내용이 궁금해지는 프롤로그입니다.
개와 어떤식으로든 관계맺기를 해본 사람이라면 더더욱 호기심이 생길듯합니다.
특히 요즘 동거하는 시츄녀석의 꼬리에 그런 의미가 있었는지 이제야 감잡았습니다.
'우리집 강아지는 곱슬강아지 학교갔다 돌아오면 왈왈왈 꼬리치며 반갑다고 왈왈'이라는 노래를 기억하고 있던 저는 꼬리만 흔들면 개들은 다 좋다는 건줄 알았어요. 그런데 저번엔 갑자기 사납게 왈왈 거려서 영문을 몰랐었죠.
제가 개의 심리를 궁금하게 될 줄은 상상도 못했습니다.ㅋㅋㅋ
사람은....아니....관계맺기를 통해서 사람은 변하나 봅니다.
프로필 이미지
은주
2011.01.18 15:09:02 *.42.252.67
맞아, 개도 사람도 주변에 어떤 사람을 만나 관계를 맺냐에 따라
인생이 변하는 것은 사실이야.
그것을 좀 더 와 닿게 재미있고 전달이 잘 되게 써야 하는데.....끙끙
프로필 이미지
point of sale system
2011.04.26 09:50:39 *.60.182.211
KXPOS system is all-in-one touch point of sale system,it used in restaurant pos system ,cafes,bars,pubs,clubs,supermarkets,vegetable and fruit restaurant pos pos system sydeny pos system
덧글 입력박스
유동형 덧글모듈

VR Left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2152 응애 51 - 하얀 자전거 [2] 범해 좌경숙 2011.01.20 2857
2151 만경강 백리길 [15] 신진철 2011.01.18 2430
2150 응애 50 - 호랑이 프로젝트 철학 2 : 자발성과 창조성 [5] [2] 범해 좌경숙 2011.01.18 3041
2149 [호랑이]질문지-로드맵 -마케팅툴 [1] 한정화 2011.01.18 2643
2148 왜 개인마케팅이 필요한가? file [3] 김홍영 2011.01.18 2316
2147 [호랑이] 1인기업의 유형 - 하이에나 [1] crepio 2011.01.18 2235
2146 <프롤로그 - 나를 꽃피우게 하는 아이들> - 수정 [8] 김연주 2011.01.17 2301
2145 [프롤로그] 사랑, 시간의 중력에 도전하다 [15] 이선형 2011.01.17 2270
2144 프롤로그는 [금요일]까지 완성하겠습니다. [11] 최우성 2011.01.17 2384
» 프롤로그--세상의 아름다움을 알도록 해 준 당신께 [11] 이은주 2011.01.17 3351
2142 현업에서 노력은, 다음업에서 드러난다. file [8] 맑은 김인건 2011.01.17 2377
2141 라뽀(rapport) 39 - 악마는 프라다를 입는다 [1] 書元 2011.01.16 2324
2140 단상(斷想) 43 - 재활용 쓰레기 file [1] 書元 2011.01.16 2821
2139 단상(斷想) 42 - 내시경 file [4] 書元 2011.01.16 4553
2138 <소설> 우리 동네 담배가게 아저씨 나폴레옹(5) [5] 박상현 2011.01.14 2488
2137 응애 49 - 내가 좋아하는 것 [4] [3] 범해 좌경숙 2011.01.14 2703
2136 물길을 가장 아름답게 하는 것, 물길 스스로다 신진철 2011.01.14 2362
2135 욕실 드레싱 1 - 오래된 습관 file [2] 불확 2011.01.13 2637
2134 [호랑이] 호랑이 프로젝트 history (0) [3] 한정화 2011.01.11 3411
2133 호랑이프로젝트-개인마케팅이란 file [2] 김홍영 2011.01.11 237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