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본형 변화경영연구소

연구원

칼럼

연구원들이

  • 이선형
  • 조회 수 2180
  • 댓글 수 7
  • 추천 수 0
2011년 2월 7일 11시 54분 등록

  이 세상에 내가 바꿀 수 없는 것이 많다는 것을 알면서 점차 어른이 되나보다.
  그 중 가장 바뀌지 않는 것이 바로 사람이라는 것을 알면 이젠 하산할 때가 된 거다.


  일 년에 걸친 연구원 수업 중 가장 기억에 남는 것이 무얼까?

  장장 열흘에 걸친 그리스, 터키 여름연수? 초여름의 백년 고택수업? 늦가을 남도여행? 북한산 중턱에서 했던 산상수업? 아니면 장례체험을 했던 강원도 첫 수업? 아니면 천 페이지가 넘었던 <서양철학사> 북리뷰? 전국을 넘어 먼 해외까지 신나게 놀러 다녔던 즐거운 기억보다도, 또 밤새 끙끙대고 머리를 쥐어짜며 숙제를 하던 힘들었던 기억보다도 더 잊지 못할 것은 스승님과 동기들의 말 한마디였다.


  시작은 지난 6월 서산에서 했었던 수업이었다.

  수업 이튿날 개심사에서 내려오던 길, 우리는 스승님을 모시고 이런 저런 이야기를 나누며 굽이진 산길을 걸었다. 그 주 북리뷰 과제가 니진스키의 <영혼의 절규>였던 터라 동성애에 대한 생각들도 우연히 나누게 되었다. 그 이야기 끝에 스승님께서 의미심장한 언급을 하셨다.

  “‘다르다’와 ‘틀리다’를 많은 사람들이 구분해서 쓰지 못한다. 즉 ‘다르다’고 이야기해야할 자리에서 ‘틀리다’라고 이야기하는 사람이 의외로 많다.”     

  스승님께서 처음 이 말씀을 꺼내실 때만 해도 그냥 그렇구나 하면서 들었다. ‘나도 두 단어의 미묘한 차이를 한 번도 생각해 보지 않았구나.’라고 생각하면서. 그런데 이어지는 스승님의 말씀에 정신이 번쩍 들었다.

  “그런데 이 중에서 아주 일관성이 있는 사람이 있다. 시종일관 ‘틀리다’라고 하는 사람이 있지. 바로 선형이다.”

  평소 ‘일관성’을 중요하게, 또 ‘일관성이 있다’는 것을 칭찬으로 생각하는 나였지만 이 말씀은 결코 칭찬이 아니셨다. 스승님께서 웃으며 던지신 한 마디를 붙들고 나는 조용해졌다. ‘언제 그랬을까, 어디에서 그런 표현을 썼을까’부터 시작해서 ‘왜 그랬을까, 언제부터 그랬을까’ 이런저런 생각들이 머리를 채웠다.

  7월 오프수업 때에도 스승님은 같은 이야기를 하셨다. 다름과 틀림을 받아들이는 우리의 자세에 대한 스승님의 가르침은 듣는 모든 이들에게 깊은 울림을 남긴 듯 했다. 개심사 이후 이 화두를 마음에 담고 있던 나에게도 깊이 되새길 수 있는 또 한 번의 기회가 되었다. 


  나와 시어머니의 관계는 비교적 좋은 편이다. 솔직히 말하자면 큰 트러블이 없는 관계이고 나쁘지 않은 편이라는 것이 정확하다. 효자에 다정다감한 신랑과 어머니는 주기적인 전화통화를 통해 안부를 전하고 대소사를 의논했으며 함께 할 일정을 맞추었다. 나는 주로 이야기를 전해 들으며 내 의견을 보태기도 하고 절충을 하기도 했다. 가끔은 남편이 먼저 결정해 놓고 나의 의견을 듣는 모양새를 취하기도 한다. 나는 때로는 모르고, 때로는 알면서도 모르는 척 따라가곤 했다. 처음에는 어머니에게 직접 전화를 드리려 노력하기도 했지만 의례적인 안부와 서먹서먹한 몇 마디 이야기를 한동안 거친 끝에 어느새 서로 솔직하게 이야기할 수 있는 편한 상대가 가운데 있는 지금의 형태로 굳어졌고 나도 어머니도 만족하는 우리 집만의 의사소통 방식이 되었다. 신랑도 오히려 더 편안해했다. 아이들이 보고 싶어 자주 놀러 오시는 시부모님들도 늘 남편이 집에 있을 때 오셨고 옛날에는 회사일로 요즘은 연구원 생활로 바쁜 며느리를 빼놓고도 자주 놀러 다니셨다. 아주 가끔 며느리는 어디 갔냐는 아버님의 핀잔 아닌 핀잔이 있으셨지만 그만큼 함께 하는 일정을 더 반가워하셨다.

  10년이란 꽤 긴 세월이 흐르며, 또 아이들이란 혈연으로 연결되어가면서 점차 운명공동체라는 의식이 생겨났지만 그 시간의 깊이만큼 어머니와 나의 관계가 깊어지지는 않았다. 사람과 사람의 관계가 정말 깊어지기 위해서는 시간외에 다른 것도 필요했다.  

  속마음을 툭툭 편하게 이야기하지 않는 두 사람의 성향 탓도 물론 있겠지만 또 다른 무엇이 있었던 듯하다. 나는 그것이 무엇인지 이제야 점차 알 것 같았다.

  사랑을 하고 결혼을 결심할 때 중요하게 생각했던 것들이 있었다. 스스로에 대해 비교적 잘 알고 있다고 자신했던 나는 결혼할 사람에 대해서 몇 가지 확고한 기준이 있었다. 이 기준에 맞지 않는 사람과는 헤어진 경험도 있을 정도로 이 기준들은 나에게 아주 중요했다. 다행히도 이러한 생각들은 크게 어긋나지 않았다. 비슷한 관심사와 비슷한 선호와 취향, 거기다 내가 원하는 성향을 가진 사람과의 결혼생활은 비교적 편안했다. 

  그러나 결혼과 동시에 가족이 되어버린 시댁, 특히 어머니는 내가 익숙하던 친정과는 많이 달랐다. 결혼하기 전에 보이던 외적인 상황 외에 크고 작은 일을 겪으며 나는 이질적인 환경에 융화되고 섞이기 보다는 약간의 거리를 두고 나의 관점을 고수하는 편을 택했다. 내가 며느리의 의무라고 생각하는 것들에 대해서는 철저하게 내 역할을 다했지만 그 외의 것들에는 사실상 별다른 관심이 없었다. 물론 나의 울타리를 깨려고 드는 사람이 없었기에 가능한 일이기도 했다. 어째든 문제제기를 하는 사람이 없는 상황 속에서 나름대로 평온한 시간이 지났다.


  별일이 아니면서도 큰 차이로 느껴졌던 것은 어머니가 음식하기를 아주 싫어하고 외식을 좋아하시는 점이었다. 때로는 겉치레라고 느껴질 만큼 친인척간의 대소사를 중시하는 친정에서, 또 종종 좋아하는 사람들을 불러 모아 먹이고 또 음식을 들려 보내는 것에서 보람과 기쁨을 느끼시는 엄마와 살아왔고 선생님인 언니가 사돈댁에서 각종 김치와 밑반찬을 가져다 먹는 것을 자연스럽게 생각했던 나에게 가족 간의 만남에서도 번거롭다며 외식을 고집하시는 시어머니가 너무도 낯설었고 때로는 이상했다. 김치 담그는 것이야 일상사이고 철따라 각종 엑기스를 내고 메주와 청국장을 띄우고 간장과 고추장을 담그고 두부도 만들어 먹는 조금은 유난스러운 친정어머니가 어느새 나의 ‘어머니’의 기준이 되어 버렸던 것이다. 오랜만에 맛있는 거 먹으러 나가자면 깨끗하지도 않고 돈만 든다며 집으로 오라고 하시던 친정어머니와 늘 당연하게 맛있는 거 먹으러 가자는 시어머니가 은연중에 내 마음속에서 비교되었고 그 두 분의 차이는 취향과 선호에 따른 ‘다름’이 아니라 ‘옳음’과 ‘그름’의 차이로 나 혼자 판단하고 구분했다는 것을 이제야 느끼게 되었다.

  두 분이 살아온 환경이 다르고 현재의 상황이 다르고 장점이 달랐음에도 불구하고 나는 단 하나만의 잣대로 장점과 단점을 비교하고 판단하고 있었던 것이다. 더구나 그런 어머니의 딸인 나 또한 음식 만드는 데 솜씨가 없을 뿐만 아니라 관심도 전혀 없고 이제껏 김치를 얻어먹는 형편이면서 말이다.

  그동안 나는 왜 친정에서는 직접 해주시는 맛있는 것을 잘 먹고 또한 얻어올 수 있어서 좋고 시댁에서는 외식을 선호하는 덕택에 설거지며 뒷정리 같은 힘든 일을 안 해도 되고 음식에 관심 없는 며느리를 탓하지 않으서 너무 좋다는 마음을 가지지 못했을까. 왜 미리 판단하고 선을 긋고 넘어가지 않았을까.

  자식에게 헌신적인 대신 기대도 많은 친정어머니와는 분명히 다르지만, 장점도 많은 분이었다. 그런데 나는 늘 단점을 보며 아쉬워했다.

  이것이 바로 나의 한계였다. 비단 시어머니와의 관계에서만이 아니었다. 돌이켜 생각해보면 나는 많은 경우, 또 많은 사람들과의 관계에서 동일한 모습이었다. 점차 철이 들면서 부드럽게 표현하고 때로는 내심을 잘 숨기면서 무난하게 지내왔을 뿐이었던 것이다.

  이러한 나의 모습이 결국 나 자신에게 돌아와 외롭다는 생각을 하게 된 것이 아닐까. 겉으로는 지극히 평범하게 잘 살고 있어 보일지라도 스스로는 만족하지 못하는 사람.


  한 해가 지나도록 나는 여전히 ‘틀리다’고 말한다. 지적을 받고서야 또 ‘틀리다’고 말했다는 것을 뒤늦게 깨닫는다. 결혼한 지 10년이 넘어도 시댁의 ‘다른’ 문화가 여전히 낯설다. 경조사를 대할 때마다, 크고 작은 행사가 있을 때마다, 가족모임 때마다 자꾸 ‘옳고 그름’을 판단하는 나를 발견한다. 상대편이 내가 생각하는 반응을 보이지 않을 때 혼자 섭섭해 하고 내 마음 같지 않은 그들을 비난한다. 내 마음이 마치 절대적으로 옳은 것처럼.

  ‘다른 것을 받아들이는 태도’가 인생의 폭과 깊이를 결정한다는 것은 아프지만 진실이다. ‘다른 것’을 ‘틀리다’가 아니라 ‘다르다’고 받아들이는 마음, 그 마음을 가지지 않고서는 아무리 많은 책을 읽고 좋은 곳으로 여행을 가도 무엇이 보이겠는가.

  살아간다는 것은 자신의 작은 마음과 좁은 생각과 편협한 시야를 조금씩 넓혀가는 것인가 보다. 쉽게 바뀌지 않는 자신을 조금씩 바꾸어 가는 것, 그래서 결국 자신이 원하는 사람이 되어가는 과정. 그 쉽지 않은 일을 시작할 동기와 에너지를 주는 최고의 장치가 바로 사랑과 결혼이라는 것을 오늘도 느낀다.

IP *.230.26.16

프로필 이미지
미옥
2011.02.07 12:39:57 *.10.44.47
딱 내 마음에 난 길의 모양대로만 열리는 게 세상이라는 것...
저도 지난 1년 아프게 깨달았습니다.

제가 어디서 어떤 역할을 연기하고 있더라도
본질적인 깊이와 폭은 늘 그대로라는 것도 함께...

좋은 사람이 되기 위해, 그러니까 사람과 더불어 즐거울 수 있는 사람이 되기 위해
나를 넓히고 깊게하는 수련을 게을리하지 말아야겠다는 깨달음.
이 것 하나만으로도 지난 1년이 충분히 값진 시간이었다고 생각합니다.  ^^



프로필 이미지
2011.02.08 14:12:20 *.221.154.123
^^
프로필 이미지
우성
2011.02.07 15:09:23 *.30.254.21
네 컬럼 보고, 공감 많이 했어..
특히, 우리 어머니와 장모님의 차이가 그대로 감정이입되었거든...
아마 많은 사람들도  고개 끄덕이며 공감할 부분일 것 같다...
역시 실제 경험한 것이 힘이 센 것 같아...
힘 내서 고고 해라!!

오늘 아침,
네가 준 노트북 가방을 가지고 출근했다.
 "고맙다"
프로필 이미지
2011.02.08 13:33:08 *.221.154.123
공감했다는 말, 이렇게 기분 좋은 말인지 예전엔 미처 몰랐지요 ^^
연휴도 끝났으니, 이제 고고~~
가방 오빠에게 잘 어울릴 것 같아요. 그래서 저도 기분 좋아요 ㅎㅎㅎ
프로필 이미지
부지깽이
2011.02.11 09:48:06 *.160.33.89
선형이는  어느 순간이 지나면 빨리 는다.  처음엔 잘 바뀌지 않는다.  가드레일이 강해서다.  틀린 길도 일관성 있게 간다.  그러나 일단 방향을 바꾸면 또 그 길로 일관성 있게 간다.   그래서 방향을 잘 잡으면 금방 멀리 갈 수 있다. 

  몇 달 사이에 글이 좋아졌다.   역시 글쓰기에 대한 몇가지 조언을 글을 쓸때 마다 적용해 보도록 해라.   첫 문장을 채집하고,  자신에게 적합한  문체를 찾아내고, 촛점을 잃지 마라.   사랑이 담담하면 끌리지 않듯이 글이 평이하면 당기는 맛이 없다.   당겨서 가슴에 안도록 해라.   가슴을 내어 주어라.  가슴은 옳고 그름을 따지지 않고 품을 뿐이다.   레슨만을  원하지도 마라.  인간은 실수가 많은 동물이니. 후회는 후회로만 남아 슬픔이 되기도 하나니,  배우지 않아도 삶은 그 자신의 짐을 지고 있나니.  가여워하면 잘못이 있어도 품을 수 있나니.    
프로필 이미지
우성
2011.02.11 11:20:38 *.30.254.21
아...역쉬...사부님...

선형이..힘이 절로 나겠다..
선형이 덕에 나도 힘이 절로 난다.
프로필 이미지
2011.02.12 10:37:00 *.230.26.16
가슴이 탁 막히는 듯 해요, 사부님...
벅차기도 하고 막막하기도 하고...
얼른 뵙고 싶습니다. 수요일이 기다려집니다.
덧글 입력박스
유동형 덧글모듈

VR Left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2212 천담에서 구담가는 길 (3) file 신진철 2011.02.17 2670
2211 천담에서 구담가는 길 (2) file [2] 신진철 2011.02.17 2659
2210 작가로서 어떻게 먹고 살 것인가? [3] 맑은 김인건 2011.02.15 2452
2209 < 자신의 인생을 지휘하고 싶은 아이 > 김연주 2011.02.14 2364
2208 [Tip 2] 마음을 결정하기 전에 꼭 확인해야 할 것 [3] 이선형 2011.02.14 2428
2207 [호랑이 실험 1- Case Studies 실험 키트] file [1] 수희향 2011.02.14 2157
2206 <소설> 우리 동네 담배가게 아저씨 나폴레옹(9) [5] 박상현 2011.02.14 2368
2205 [컬럼] 상처회복 메뉴얼 [6] 최우성 2011.02.14 2495
2204 종합 영양제 [5] 이은주 2011.02.14 2375
2203 목차 수정-ver11 박경숙 2011.02.14 2229
2202 칼럼-인지의 전환을 하라 박경숙 2011.02.14 2447
2201 라뽀(rapport) 41 - 살아 남은자의 슬픔 [1] 書元 2011.02.13 2238
2200 단상(斷想) 50 - 행복 마켓 file 書元 2011.02.13 2239
2199 천담에서 구담가는 길 (1) file [5] 신진철 2011.02.13 3101
2198 장보기 1탄 - 나의 보물창고 '동대문 종합시장' file [10] [2] 불확 2011.02.11 4485
2197 호랑이 프로젝트 - 표범과 호랑이 [1] crepio 2011.02.09 2400
2196 응애 55 - 외로운 글쓰기 [8] 범해 좌경숙 2011.02.08 2524
2195 <소설> 우리 동네 담배가게 아저씨 나폴레옹(1~8) [3] 박상현 2011.02.07 2367
2194 프롤로그 - 혹시 당신의 아이, 사랑한다면서 원수처럼? [4] 김연주 2011.02.07 2297
» [칼럼] 우리가 서로 다르다는 것 [7] 이선형 2011.02.07 218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