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본형 변화경영연구소

연구원

칼럼

연구원들이

  • 이선형
  • 조회 수 2462
  • 댓글 수 8
  • 추천 수 0
2011년 2월 21일 11시 16분 등록

1. 제목

    결혼예찬 (가제)
    - 우리가 불륜 같다고?!
      친구 같은 남편, 더 깊은 사랑을 꿈꾸는 달콤, 쌉싸름한 결혼이야기
  

  

2. 나는 왜 이 책을 쓰게 되었나?   
   * 시작점
   대부분의 사람들이 사랑을 하고 결혼을 한다. 
   한편 결혼은 환상이 아닌 생활이요, 사랑의 무덤이라고도 말한다.
   일상 속에서 배우자를 계속 사랑하기란 정말 불가능한 일일까? 
   어떻게 우린 그 불가능에 도전할 수 있을까?

  
   * '이선형'은?
    결혼 11년차. 초등학생 두 아이의 엄마.
    2년 6개월의 연애를 거쳐, 내 사랑이 최고라 믿으며 멋모르고 결혼함.
    결혼 초기 "너희, 아직도 연애하냐?" 를 거쳐 요즘은 "너희, 이젠 불륜이냐?" 소리를 듣는 행복한 커플.
    다른 사람들과 똑같이, 결혼의 현실 속에서 매일 좌절하지만, 일상 속의 사랑과 행복한 가족에 대한
    꿈을 위해 도전과 성장을 멈추지 않는 사람.
    그 결과 자기자신과 배우자를 더 깊이 이해하고 사랑하게 된 사람. 


3. 이 책의 주제는 무엇인가?

     사랑, 결혼, 성장  

   ‘결혼 = 성장하는 사랑’   


4. 이 책의 차별성은 무엇인가?

   * 결혼의 적극적 긍정 

    주도권을 잡아야 하고 내가 바라는 대로 상대방을 움직이고자 하는 갈등과 기싸움의 관점이 아니라,
    조화와 관계의 관점에서 바라본 결혼이야기이다. 실용서이긴 하지만 남편을 휘어잡는 법이나 여우같이
    구는 법 등의 내용은 없다. 친밀하고 깊은 이해와 사랑을 바탕으로 서로를 후원하고, 그 결과 서로의
    성장을 위해 최고의 장(場)이 될 수 있는 결혼생활을 꿈꾼다.        

    

  * 현실과 이상의 접목

    '결혼 전의 환상 vs 결혼 후의 현실'이라는 대립이 아니다. 
    내가 꿈꾸는 결혼생활을 일상 속에서 이루기 위한 하나하나의 단계와 노력을 이야기한다.
    다양한 사람들의 다양한 사례 등 단편적인 이야기를 통해 이론적 이야기와 법칙을 말하는 책이 아니다.
    평범한 한 사람의 10여년에 걸친 이야기를 통해, 그리고 과정 속에서 겪게 되는 어려움과 변화를 통해,
   이상은 깨어지는 것이 아니라 현실 속에서 더 아름답게 가다듬어짐을 공감하게 되는 이야기이다.

  * 실용성

    이 책의 내용은 너무 먼 곳에 있는 구구절절 옳은 소리가 아니라 현실속의 이야기이다. 결혼을 경험하지
    않은 분들이 높은 경지에서 이야기하는 현실과 유리된 이상적인 이야기가 아니다. 다 옳은 소리 같지만
    돌아서면 내 현실과 너무도 동떨어진 채 마음만 위로해주고 끝나는 이야기가 아니다. 우리가 직접 부딪
    히는 현실에서 저자가 실제 적용해온 여러 방법을 통해 나의 삶에 적용할 팁을 얻을 수도 있으며, 자신
    의 생활에 맞는 새로운 아이디어로 적극적으로 활용할 수 있다.    


5. 나는 이 책의 독자에게 무엇을 줄 수 있나? 

   * 결혼, 정말 해야 할까? 이 사람과 해도 되나?
       => 행복한 결혼에 대한 기대와 설레임. 내게 맞는 사람과 시작한다는 확신
   * 결혼, 무엇이 달라질까? 내가 잘 할 수 있을까?
       => 현실 속의 결혼생활에 대한 이해와 공감. 나도 잘 해낼 수 있을 거라는 자신감의 회복
   * 결혼, 무엇을 얻을 수 있을까?
       => 결혼은 너와 나의 성장의 한 과정이라는 꺠달음. 내 옆에 있는 사람에 대한 소중함의 확인

      

6. 이 책의 독자는 누구인가?

   a. 결혼해서 행복하게 살고 싶다. 만나는 사람도 있다. 그런데 지금, 이 사람과 결혼해도 괜찮을까?
       결혼하면 여자가 희생해야 할 것이 너무 많지 않을까? 일도 계속하고 싶고 꿈도 이루고 싶다.
       내 삶과 결혼생활을 함께 한다는 것이 가능할까?
       = 결혼하고 싶지만 두렵기도 한 30대 미혼 여성


   b. 드디어 결혼을 했다. 그런데 이게 정말 내가 꿈꾸던 결혼이 맞아?
       큰 문제는 없지만 결혼 전과 달라진 모든 것들 속에서 당황스럽고 고민된다. 
       사랑한다고 믿었던 그 사람마저 변한 것 같다.
       결혼하면 다 그렇다고들 말하는데 나도 더 욕심내지 말고 그냥 이렇게 살아야 하는 걸까?
        = 보다 행복한 결혼생활을 꿈꾸는, 마음은 아직 신혼인 30대 기혼 여성

7. 어떻게 전개할 것인가?
   “Example”
     - Me-Story : 결혼 11년 차 일상에서 직접 겪은 나의 이야기
    
- 닮고 싶은 결혼생활, 나의 역할 모델들  
     - 기타 사례들 (내 주변, 신문, 인터넷 등 자료 활용)
    "Outline"
     - 결혼과 부부에 대한 책들에서 말하는 관계론적 이야기를 나의 생각과 언어로 정리한 메시지
    "Benefit"
     - 직접 자신의 결혼생활에 적용해 볼 수 있는 실용적인 Tip

IP *.230.26.16

프로필 이미지
2011.02.21 11:20:36 *.230.26.16
어제밤 드디어 북페어 자료를 보냈습니다.
지난달 야심찼던 계획은 온데간데 없이...
기획안 붙들고 씨름하랴... 참고도서 읽느라 끙끙대다... 
결국은 더 멋진 새 글은 쓰지 못하고 마무리했습니다. 
졸업시험이긴 하지만 이것이 끝이 아님을 기억해야겠습니다...   
프로필 이미지
상현
2011.02.21 11:27:34 *.236.3.241
잘 받았다. 오버 ㅎㅎ
자료가 선형이 꼼꼼한 성격을 그대로 닮았더라.

북페어 성공을 위한 베이스캠프 설치는 끝난 셈이고,
정곡을 찌르면서 선형이의 개성이 잘 드러난 발표가
되기를 빈다.

이 책의 핵심이 관계론이라면 여자의 시각과 남자의 시각을 균형을 맞춰
보여줬으면 좋겠다. 이 책의 독자는 아직 남녀 양쪽의 입장을 입체적으로
고민해볼 기회가 별로 없었을테니...
프로필 이미지
2011.02.21 12:05:41 *.230.26.16
오빠, 오빠~
균형맞춘 남녀 시각...그건 무리예요 ^^;;
이제 전 간신히 나만의 시각을 벗어나고 있는걸요 ^^
이 책의 핵심은 '나'의 좁은 관점에서 벗어나 결혼을 통해 성장하는 이야기인걸요.
10년쯤 후에 40대 후반에 지난 10년을 돌아보면서 남녀의 균형잡힌 이야기를 쓸 수 있었으면 참 좋겠어요.
뭐, 희망은 그 때쯤 신랑이랑 공동집필할 수 있다면 최고죠. ㅋㅋㅋ
프로필 이미지
우성
2011.02.21 11:41:29 *.30.254.21
선형아...아나. 션..ㅎㅎ

나는 제목이 지난번..
[결혼, 진짜 사랑에 도전하다.] 가 더 마음에 와 닿는다..
제목 정할 때, 참고만 해라...ㅎㅎ
프로필 이미지
2011.02.21 12:08:15 *.230.26.16
제목, 넘 어려워요. ㅠㅠ
<결혼예찬>은 묙이 추천작인데, 아직 잘 모르겠어요.
근데 왜 불륜에 당겨하는 사람이 많은 거죠???
심지어 결혼안한 처자조차! ㅋㅋㅋ
사실은 저도 첫 제목이 제일루 좋아요. 아마 첫 정이라서 그런가봐요 ㅎㅎㅎ
프로필 이미지
진철
2011.02.21 16:25:53 *.105.176.105
저걸로 발표할거지?
좋다.. ㅎㅎ 제목은 결혼예찬을 조금 작게하고,
 "뮈? 우리가 불륜같다고?"
이렇게 하면 어떨까? ㅎㅎ
프로필 이미지
우성
2011.02.21 19:26:56 *.30.254.21
맞다..
그게 더 좋겠다...ㅎㅎㅎ
프로필 이미지
종인
2011.03.01 14:29:58 *.140.253.40
친구~ 축하하네~ ㅎㅎ
멋진 기획안이야!  특히 '결혼= 성장하는 사랑' 멋지네 ^^
꼭 책나오면 사서~ 읽고 선물도 해야겠어..ㅎㅎ
북페어 발표 잘하길~홧팅!
덧글 입력박스
유동형 덧글모듈

VR Left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5212 [33] 시련(11) 자장면 한 그릇의 기억 secret [2] 2009.01.12 205
5211 [36] 시련12. 잘못 꿴 인연 secret [6] 지희 2009.01.20 209
5210 [38] 시련 14. 당신이 사랑을 고백하는 그 사람. secret 지희 2009.02.10 258
5209 [32] 시련 10. 용맹한 투사 같은 당신 secret [2] 2008.12.29 283
5208 [37] 시련. 13. 다시 만날 이름 아빠 secret [3] 2009.01.27 283
5207 [28] 시련(7) 우리가 정말 사랑했을까 secret [8] 지희 2008.11.17 330
5206 칼럼 #18 스프레이 락카 사건 (정승훈) [4] 정승훈 2017.09.09 1661
5205 마흔, 유혹할 수 없는 나이 [7] 모닝 2017.04.16 1663
5204 [칼럼3] 편지, 그 아련한 기억들(정승훈) [1] 오늘 후회없이 2017.04.29 1717
5203 9월 오프모임 후기_느리게 걷기 [1] 뚱냥이 2017.09.24 1746
5202 우리의 삶이 길을 걷는 여정과 많이 닮아 있습니다 file 송의섭 2017.12.25 1749
5201 2. 가장 비우고 싶은 것은 무엇인가? 아난다 2018.03.05 1779
5200 결혼도 계약이다 (이정학) file [2] 모닝 2017.12.25 1780
5199 7. 사랑스런 나의 영웅 file [8] 해피맘CEO 2018.04.23 1789
5198 11월 오프수업 후기: 돌아온 뚱냥 외 [1] 보따리아 2017.11.19 1796
5197 (보따리아 칼럼) 나는 존재한다. 그러나 생각은? [4] 보따리아 2017.07.02 1797
5196 12월 오프수업 후기 정승훈 2018.12.17 1799
5195 일상의 아름다움 [4] 불씨 2018.09.02 1805
5194 칼럼 #27) 좋아하는 일로 먹고 사는 법 (윤정욱) [1] 윤정욱 2017.12.04 1809
5193 [칼럼 #14] 연극과 화해하기 (정승훈) [2] 정승훈 2017.08.05 18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