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본형 변화경영연구소

연구원

칼럼

연구원들이

  • 미선
  • 조회 수 2403
  • 댓글 수 23
  • 추천 수 0
2011년 4월 12일 01시 25분 등록

좌선생님은...

 나의 멘토이신 범해 좌경숙 선생님은 자신의 큰 울타리 안에서 마음껏 나의 의지대로 하고자 하는 것을 해보라고 하셨다. 그럼 자신은 뒤에서 즐겁게 지켜보시며 필요할 때 보조를 해주시겠다면서 누군가에게 의지해서 가는 것이 아니라 스스로 내면의 재능을 꺼내 자립할 수 있어야 한다고 하시며 멘토, 멘티의 역할 바꾸기를 제안하셨다. 지금 나에게 가장 적절한 멘토링 방식을 제안해 주신 것을 보면 김용규 선생님을 인터뷰 하던 날 처음 뵌 선생님은 그때 나의 기질을 간파하셨나 보다.
연구원 1년 과정이 끝내게 되면 자신의 힘으로 불꽃은 꽃을 불러 일으켜 활짝 피어나고 또 열매를 맺어 세상에 공헌하는 힘으로 나아가야 한다며 앞으로 어떻게 살까? 에 대한 생각을 하며 죽음 앞에 달려가는 삶을 살아가는 것이 필요하다고 말씀하시는 선생님의 모습을 보면 저 한없이 솟아나는 에너지는 어디서 나오는 것일까? 하는 생각에 부러운 마음도 든다. 나이가 들면 그만큼 모든 것들이 저하된다는 것을 당연하게 여기며 살았던 나에게 선생님은 그 모습 자체로 새로운 시각을 가지게 해주셨고, 자극이 된다.
경주로 가는 버스 안에서 선생님과 나눈 대화는 유쾌함 그 자체였다. 선생님과의 사이에 있는 시간의 거리를 넘어서 젊은 사람들과도 막힘없이 소통할 수 있는 그 비밀은 선생님의 호기심 때문인 것 같다. 늘 세상을 향해 몸과 마음을 열어놓으시고 장난 가득한 웃음으로 반겨주시는 선생님을 보면 마음으로 따뜻한 바람이 들어온다.

뭔가 조언을 구할 사람이 필요할 때, 따뜻하게 나를 마음으로 안아줄 사람이 필요할 때 선생님께 손을 내밀어 보세요. 그러면 잡아 주실 것이고 함께 강가를 산책하며  세상사에 대한 푸념을 들어주실 것입니다.

좌선생님과 함께.jpg

글쓰기의 자세

 책을 쓴다는 것은 세상과 소통하는 그 장을 마련해주는 도구라고 하시는 선생님의 글은 대화할 때와 마찬가지로 정답게 들려주시는 것 같아 마음이 편안한 상태가 되어 읽게 돼 글의 느낌이 마음속으로 부드럽게 들어온다. 한자, 한자 꾹꾹 눌러쓰시는 글이기에 더욱 진솔성이 느껴지는 건 아닌가 하는 생각도 든다.
책을 쓰면 제 1독자는 물론 자기 자신이 될 터이지만 제 2독자를 미리 정하고 책이 되어가는 과정을 주-욱 함께 가면 아주 훌륭한 준비가 되지 않을까 하는 생각을 가지고 계시고, 뒤에서 호랑이가 쫓아오고 있는 듯한 긴박감을 느끼면서, 선생님은 매일 매일 써야지 하는 원칙을 가지고 정해진 시간에 글을 쓰신다.
너무 두려워하지 말고, 너무 게으르지도 말자. 게으른데다가 두려움에 떨기까지 하고 있으면 그 글은 제 1독자인 자기 자신도 들여다보지 않을 석고뭉치가 될 것이니 용기를 가지고 제 2의 독자를 찾아내서 그에게 공을 들임으로써 첫 번째 고개를 잘 넘어가도록 해보자. 라는 마음으로 말이다.

 만약 글을 쓰는 사람이 글의 힘으로 세상을 바꾸어 보고자하는 열망이 있으면 그의 삶속에 동료를 위하여 헌신하는 습관이 먼저 몸에 들어와 있어야 할 것 같다며 만약 자기 자신에게는 가을 서리처럼 엄격하고 글을 읽는 사람에게는 다리달린 봄처럼 따뜻한 마음을 전할 수 만 있다면 우선 마음을 활짝 열어주게 되어 힘들게 내어놓는 자기의 이야기는 용기 있는 사람의 마음이므로 듣는 사람에게는 선물이 된다. 그러므로 남들이 다 넋을 놓고 있을 순간에도 치열하게 자기 성찰을 하고 앞일을 가늠하며 고뇌의 시간을 가져야하는 것은 당연하고 이렇게 저렇게 엮인 인연의 사슬도 회한이 남지 않게 잘 가꾸어나가야 비로소 마음 편하게 이 세상 소풍을 마칠 수 있을 거란 생각이 들었다고 하시며 책을 내어 놓는데 있어서, 세상에 나를 내다 팔기 위해서는 반드시 나의 비전을 알아야하고 내가 누구인지를 알아야한다고 하신다.

선생님 책의 방향

 죽음이라는 주제는 삶이라는 주제처럼 너무 큰 화두이지만 한번은 정면으로 맞닥뜨려 보아야 할 주제라고 생각했기에, 그리고 이제 그 시간이 무르익어 있는 것 같아서 에너지를 모아 공부를 하기 시작했다고 하신다.
이성이 이해한 죽음을 감성이 받아들이는 그 길은 참 멀고도 먼 여행길이다. 현대 문명은 매우 위생적이고 신속한 방식으로 죽음을 배제하기에 현대인들은 죽음을 낯설어하고 죽음이 당혹스럽기만 하다. 한 세상을 살아나가는데 매우 중요한 일을 우리는 아무 준비 없이 맞이한다. 누가 나를 위해 내가 죽어갈 때 곁을 지켜줄 수 있을까? 아니면 죽음을 충분히 애도할 수 있도록 조용히 기다려주는 사람은 어디에 있을까?" 하는 생각이 들었고, 필요가 길을 찾는다고, 결국은 내가 먼저 그런 사람이 되어야 할 것 같았다고 하신다.

 자신을 죽임으로 인해 마음 깊은 곳에 있는 기억들이 섬세하게 눈앞에 펼쳐져 그 이야기들이 춤을 추기 시작했고 존재 이유인 자유를 한껏 누리게 된다. 인간에 대한 예의는 산 자에게나 죽은 자에게나 같이 지켜져야 한다고 생각한다고 하시며, ‘죽은 자는 말이 없다.’ 라고 말하지만 억울한 죽음은 언젠가 그의 하소연이 받아들여지는 순간 한을 풀고 저세상으로 갈 수 있다고, 우리는 자기에게 닿아있는 사람들의 죽음을 애도하며 동시에 그의 영혼과 화해하는 순간을 가져야 한다고 말씀 하신다.
내가 나를 살펴 몸과 마음이 서로 돕지 않으면 어찌 온전한 꽃을 피울 수 있겠는가? 나의 마음을 들여다보는 것으로 하루를 시작하고 생명의 환희를 노래하며 하루를  마칠 수 있으면 좋겠다. 이 책이 그 첫 운을 떼는 길잡이가 되기를 바란다. 고 하신다.

 스피노자의 "모든 고귀한 것은 드물고 또 어렵다." 말을 선생님은 후반생의 지표로 삼을까 한다고 하셨다. 나도 이제는 어려운 과정을 통해 고귀한 것을 얻을 수 있다면 그 길을 가는 데 전보다 덜 주저 할 것 같다. 함께 해주는 사람들이 있어서, 너무나 따뜻한 사람들을 만나게 돼서, 그리고 이렇게 뒤에서 지켜봐 주시겠다는 선생님이 계셔서 말이다.
선생님~ 저의 멘토가 되어주셔서 다시 한번 감사드려요^^

IP *.205.67.118

프로필 이미지
범해
2011.04.12 09:15:44 *.113.130.40
미선,
그 짧은 시간에 범해 칼럼, 응애칼럼, 호랑이 칼럼까지 다 읽어내다니.... 정말  대단해요.
게다가 그대는
나보다 심지가 굳고, 나보다 기획을 잘하고, 나보다 부드러우니....
나는 웬 사람 복이 이리도 많은 것일까요?

자, 앞으로 딱 100일...
그 귀여운 장흥사지 사자처럼....한판 춤사위를 벌려 보십시다.  
사람이 곧 삶이 되는 무한 에너지 쇼를 시작해 보자구요. 
샬 위 댄스? 
프로필 이미지
2011.04.12 13:14:55 *.76.248.166
선생님의 댓글만으로도 힘이 되네요^^
박자를 엉거주춤 따라가겠지만 저도 즐겁게 선생님과 함께 춤사위를 벌려보겠습니다.
프로필 이미지
2011.04.12 11:10:30 *.45.10.22
이야 역시나 멋진 화답인 듯 ^^ 
프로필 이미지
사꾸범
2011.04.13 10:07:12 *.67.223.154
그렇지, 사샤?
내가 한 댓글 한단다. 우리 역할교대 멘토가 조용하시니...
이 멘티가 답글 순례 하려고... 사샤,  난 5기야.  까먹었을까봐 또 말해주는 거거등.
그대 속에 조용히 타오르고 있는 불꽃...나는 알지... 언제 불꽃놀이를 하실건가?  기대하고 있을께. 
프로필 이미지
2011.04.12 12:57:41 *.111.51.110
멘토& 멘티 역할을 바꾼다고요? 대단한 발상의 전환 멘토링입니다!
전 좌선생님의 부드러운 말씀을 들었고 인자한 미소를 보았습니다.
따뜻한 사람, 그속의 강한 심지.
프로필 이미지
꾸라 범
2011.04.13 10:12:53 *.67.223.154
난, 레이스 중에 경수씨의 글을 매우 유심히 보았어요.
왜냐하면, 첫번째 내 눈에 닿은 글이기에....
에..또... 그래서 이 첫사랑을 계속 유심히 살피는 중이니.......어제보다 나은 글을 맨날 쓰면 좋겠어요.  ㅋㅋㅋ

황룡사지 당간지주 앞에서 찍은 사진들 괜찮게 나왔으면 얼릉 올려놔요.
프로필 이미지
유재경
2011.04.12 14:22:50 *.35.19.58
역시 좌선생님이시다. 미선에게 꼭 맞는 방법을 어찌 찾으셨을꼬.
미선, 이번 줄은 꽈악 잡고 절대 놓치면 안돼.
춤추면서 100일 보내고 나면 달라진 네가 보일거라고 난 믿는다.
화이팅~~~
프로필 이미지
유재경
2011.04.13 20:22:46 *.35.19.58
장성우 선배와 이은주 선배를 융합해 놓은 웨버라면 이거 보통 칭찬이 아닌것 같은데요.
감사합니다!!!
프로필 이미지
사꾸라 꽃
2011.04.13 10:16:41 *.67.223.154
내 마음에서는 아직 꽃이 지지 않아서
사꾸라 밖에 보이는 것이 없습니당. 칠기 웨버님.
장성우와 이 은주를 융합해 놓은 것 같은 땡칠기 웨버의 앞날에 무궁한 발전을 기원하며
노미선 샘의  멘티 사꾸라 범 큰 목소리로 외칩니다.
"충성!"
프로필 이미지
aini520
2011.04.12 14:44:54 *.44.6.78
 the perfect shoes and the perfect partner intoxicating jimmy choo sale But this also manolo blahnik shoes means that people cannot discount christian louboutin shoes buy such brian atwood heels a brian atwood maniac kind ysl handbags of shoes Lanvin shoes so yves saint laurent shoes easily
프로필 이미지
사꾸라 신발
2011.04.13 10:58:43 *.67.223.154
나는 새 신이 필요없는데요.
알으론 이런 댓글 달지 않으셨음 좋겠습니다.
매우 진지한 제가 당신의 글에도 답글을 다느라고....애를 쓰고 있거든요.
프로필 이미지
강훈
2011.04.12 16:37:45 *.219.84.74
나는 좌선생님의 카리스마에 왠지 주눅든다. 그리고 풍기는 카리스마와 따뜻함이 부럽다.
앞으로 연구원의 선배로서 삶의 어른으로서 바라보며 같이 춤 출수 있음이 영광이다.

복 많은 7기다. 미선이를 통해서 우리도 배운다.
프로필 이미지
칼없는 범
2011.04.13 10:24:23 *.113.130.40
아침밥도 못먹고 댓글에 답글 다느라 바쁩니다.
외로운 늑대,
그대가 일차 관문을 통과하기 전에
막강 관심 댓글 달아놓은 사람이 바로 나였지롱.
바로 그 아이디가 좋았어요. 본래 늑대는 춤을 잘 추는줄 알고 있는데....
보름달이 떠야만 춤을 출 수 있다카던가?.. 난, 칼이 본래 없고...더구나 변경에선 무장해제랍니다. ㅎㅎ

프로필 이미지
루미
2011.04.13 04:56:51 *.23.188.173
좌선생님께서 호기심에 안동 소주를 한 모금 하셨다는 말을 듣고 웃었었는데
정말 젊음의 비결이신듯~
좌선생님의 댓글 정말 멋져요~
프로필 이미지
범 루미
2011.04.13 10:34:03 *.113.130.40
그 안동소주 부지깽이 샘은 세상에서 제일 맛잇는 술 이라카시던데....
난, 당최 마실 수가 없어. 선생님 글을 훔치려면 눈 딱 감고 마셨어야 했는데...

그대신 우리 5기에 심신애라고....부뚜막이면서 동시에 불확인 사랑밖엔 모르는  예쁜 사람이 있는데....
담에 이 선배의 댓글, 답글을 탐색해봐요. 진짜 댓글 짱이다.!
그런데 그 불확이가 안동 소주를 마셨어. 그리고 바로 노래를 부르더라. 사랑밖엔 난몰라~ 라꼬....
담날 아침에 우리 방 머릿장에 그 동그란 술병이 떡~버티고 있는데...불확이는 자기가 안고온 줄도 몰라요 글쎄 ~

아이구 클났다. 일급 기밀을 누설해서리....
루미가 댓글 멋있다꼬 날 띄워서....흥에 겨워 국가 기밀을 누설했다. 난 이제 불확이에게 맞아죽을지도 몰라~ 흙흙
프로필 이미지
미나
2011.04.13 07:25:46 *.58.97.19
버스에서 두 사람이 대화하는 걸 보며 왠지 나도 저기 끼고 싶다는 생각을 잠깐 했었는데.
좌선생님 멋있어요.^^ 마구마구 손 내밀고 싶어 지는 분.
프로필 이미지
범미나
2011.04.13 10:38:34 *.113.130.40
나도 자주 미나를 돌아보았는데...
 젊은 남자랑 어찌 재미있게 얘기를 하고 있던지....
그대의 글도 재미있게 읽었다오. 자, 김이 미나, 김이미 나, 김 이미나. 김 이미 나...
어디에 키 악센트를 주느냐에 따라 여러가지 모습으로 변형해서
제 3탄 김이미나 변신이야기를  신나게 써내려가기를 바랍니다.
프로필 이미지
2011.04.13 10:11:01 *.124.233.1
미선글은 언제나 차분하고 부드럽고 다정해..^^

좌선생님! 인자한 관세음보살의 미소..
그 아름다운 미소 아래 끓어오르는 영원히 식지 않는 배움에 대한 열정..
아마도 우리 모두가 바라는 미래의 모습이 아닐까요?

선생님! 올 가을에 저희 땡7이와 함께 성북동 길상사로 꽃무릇 보러가요!
그리고 선생님 책 나오면 제가 1등으로 주문할꺼에요~ㅋㅋ^^

프로필 이미지
사꾸라 범해
2011.04.13 10:46:23 *.67.223.154
경인의 진지함 ...땜에 싸부님이 ...유심히...배려하고 계시는 걸  아시나요?  경인씨...
그대가 진지도 못 드시고 , 진지하게 사느라 힘을 모두 다 써버리면...쓰러질까봐서...
이 관세음보살도  염려가 된다우.
정말 필요한 순간에 최선을 다해 그 무엇이 되어주는 경인씨...
신비한 꽃무릇은  그대에게도 참 잘 어울리는 꽃일거예요. 길상사에선 더 아름답겠지요.

법정스님께 대한 공경을 함께 나눌 수 있어서 좋았고...
그 말이 안되는 말을 하며 걸었던 그 긴 밤 ..함께 있어줘서 더욱 좋은 밤이었어요.

근데 말이지... 정말...
목련꽃을 보고 목련꽃 같다고 하는 사람이 어디 세상에 또 있던가요? ㅎㅎㅎ 
프로필 이미지
미선
2011.04.13 13:20:17 *.76.248.166
선생님이 이렇게 답글을 일일이 달아주시는 것을 보니
제가 저의 역할을 잊고 있었다는 걸 알게되었습니다..
감사하고 앞으로 열심히 앞장서 가겠습니다.
저도 충성!!합니다.^^
프로필 이미지
봄범
2011.04.13 16:34:46 *.96.68.130
헐~
내가 그대를 위해 쩌어기 연구원 커뮤니티에도
어젯밤에 시를 하나 짊어져다 놨걸랑요. ㅋㅋ

허걱 허걱~
허각 허각~
프로필 이미지
범해
2011.04.15 15:22:14 *.113.130.40
내가 너무 편애하는 걸 표내면 .....공동체 정신에 구멍이 날 수도 있으니깐
그냥 우리끼리만 보고 듣자.  하하하

김용규 샘이 딸을 위해 풀어쓴 철학 통조림 씨리즈가 너무 재미있어서
외출 준비를 다 하고도 소파에 드러누워 쵸코렛 쩝쩝 거리면서 즐기고 있다.

무슨 철학 책이 이리도 재미있을까?
궁금한 걸 쪽집게 도사처럼 잘도 집어내셨다.
그 딸이 나하고는 한  삼십년은 더 차이가 날텐데...
나하고 정신연령이 똑같은 것 같다. ㅎㅎㅎ

도덕을 위한 철학 통조림-매콤한 맛, 
                                              달콤한 맛
지식을 위한 철학 통조림  담백한 맛
                                              고소한 맛

아무래도 이 통조림은 세트로 먹어야 할 것 같다.
김샘 , 캄사합니다.

철학자 김용규샘은 이번엔 조리사 김용규로 탈바꿈 하셨다.
그의 요리는 짱이다.
맛이 있다. 먹는 재미도 쏠쏠하다.

담엔 스피노자도 한 깡통 만들어달라고 해야겠다.
거인의 어깨에 올라 세상을 보면 이리도 쉬운 것을.....우히힛~

프로필 이미지
미선
2011.04.15 16:17:06 *.76.248.156
철학을 받아들이시는 선생님의 마음이 젊으셔서 그런 것은 아닐까요?
소파에 누으셔서 어떤 표정으로 책을 읽고 계실지 상상해 봅니다.^^
책을 읽는 것 자체가 거인의 어깨 위에서 세상을 보는 것이라는 생각은 못했는데
이런 마음가짐을 가지고 읽으면 저에게도 조금은 더 가볍게 다가오겠죠?
덧글 입력박스
유동형 덧글모듈

VR Left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2312 아우라지 강가에서 신진철 2011.04.16 2188
2311 <소설> 우리 동네 담배가게 아저씨 나폴레옹(15) [4] 박상현 2011.04.15 2070
2310 [호랑이 실험 9 - 3 & 4차 실험보고] 수희향 2011.04.14 2063
2309 푸르잔 스토리 - 2 홍현웅 2011.04.14 2057
2308 [여행후기] 너는 봄이다. file [20] 최우성 2011.04.14 2338
2307 <소설> 우리 동네 담배가게 아저씨 나폴레옹(14) [8] 박상현 2011.04.13 2028
2306 사람들은 사랑의 힘을 기적이라고 불렀다 [8] 이은주 2011.04.13 2302
2305 점순이는 어찌되었을까 file [13] 신진철 2011.04.13 2713
2304 글이 나를 가두다. 만들다. [9] 달팽이크림 2011.04.13 2197
2303 응애 63 - 구원은 어디에 : 호랑이 철학 9 [4] 범해 좌경숙 2011.04.13 2279
2302 [선배탐구] 무지개 빛 마법사 박미옥 [18] 강훈 2011.04.12 2219
2301 2. [선배탐구] 홍승완 연구원을 만나다. file [20] 미나 2011.04.12 2787
2300 푸르잔 스토리 - 1 [4] 홍현웅 2011.04.12 2115
2299 [선배탐구] Riverboy, 신진철_열정의 사람 file [17] 양경수 2011.04.12 4618
2298 푸르잔 스토리 - 서문 [12] 홍현웅 2011.04.12 2285
2297 [평범한 영웅 002] 맑고 향기로운 영웅 #1 file [25] 김경인 2011.04.12 7357
2296 [선배탐구컬럼] 헤르메스의 환생 file [21] [2] 사샤 2011.04.12 3981
» 무한 에너지 범해 좌선생님 file [23] [5] 미선 2011.04.12 2403
2294 나비 No. 2 - [선배탐구] 달콤 살벌한 그녀 file [20] 유재경 2011.04.12 4547
2293 먼별 샤먼에서 옆별 샤먼으로 [27] 루미 2011.04.12 225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