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본형 변화경영연구소

연구원

칼럼

연구원들이

  • 강훈
  • 조회 수 1994
  • 댓글 수 16
  • 추천 수 0
2011년 4월 17일 23시 29분 등록

많은 시간을, 오랜 시간을 내 안에 갇혀 있었다.
내 안에서 묻고 답하고, 스스로 상승과 하강을 반복했다.
깨침을 원하는 바램은 새로운 껍질로 나를 가뒀다.
안으로도 바깥으로도 새로울 것 없던 자리에 만남이 있다. 경주로 간다.

 

[1] 랩소디가 빚어내는 절묘한 화음처럼

모든 사람에게 있어서 여럿 앞에 드러내지 않거나 혹은 드러나지 않는 측면이 있을 것이다. 나에게도 의식하여 꼭꼭 감추어둔 비밀과 같이 빗장 걸린 부분도 있고, 의식하지 않지만 본능적으로 드러남에 불리를 느껴 절로 은밀해진 부분도 있다. 하지만 어느 쪽이건 그것이 많은 사람 앞에 드러나면 스스로 낭패감에 빠질 가능이 많다는 점에서 별 차이는 없는 듯하다. 그런 것을 감안하여 생각하면 우리가 다른 사람에게 내비치어 주고 받는 소통이라는 것은 결국 많은 한계와 자의적인 범주를 태생처럼 가지고 있는 것이다.
어떤 비밀스럽고 은밀한 자신의 불리는 가려져 있고 드러나 보이는 페르소나는 결국 우리의 일부분 혹은 약간 비틀려져 있는 어떤 모습일 가능성이 농후한 것이다.

 

불이 꺼졌다. 비바체로 흐르던 음악이 멈춘 후 정적이 흐르듯, 모든 움직임이 멈추고 한곳을 응시한다.
우리가 죽을 자리이다. 촛불이 둥글게 감싸 안은 자리에서, 그 소박한 자리에서 불꽃이 흔들리고, 우리들 마음도 너울거린다. 두고 떠나는 사랑에 마음 아려하고, 가지고 가지 못한 추억을 놓아야 했으며, 주고 싶은 사랑도 접어야 했다. 꿈꾸기만 하고 가보지 못한 삶이 각자의 가슴을 타고, 우리라는 가슴 속에 강이 되어 흐른다. 울지 않으리라 했지만 이성은 멈추고 흐르는 눈물을 주체하지 못한다.
각자의 삶이 흘리는 눈물이지만 같은 눈물이었다.
죽는 이의 삶이 슬퍼서 우는 눈물이 아니라 그들의 말을 통해서 내가 주체하지 못했던 지난 시간들이 울고 있었다. 모두가 그러했으리라.

홀로 맞이하는 죽음이었지만 그 길 끄트머리에서 손 흔들어 주며 어깨를 감싸는 고마운 영혼들이 있다.
그들의 영혼에는 향기가 있고, 함께 흘리는 눈물은 삶의 한 순간을 다시 피어나게 한다.

그 곳에서는 삶과 죽음에 대한 통찰과 공감이 그렇게 서로의 고독감을 다독이고 있었다.

자유로운 랩소디가 절묘한 화음으로 연주되는 순간이다.

 

어설픈 자아는 스스로의 무지가 물음으로 드러나는 것 때문에 물음을 망설이게 된다.
용케 그 야릇한 자존심을 버려도 얻고자 하는 대답은 결국 교훈이나 규범의 틀에 갇히고, 진실한 마음은 한 순간의 치기로 치부되고 만다. 지금껏 내가 인식하고 있는 소통의 한계는 이렇듯 나를 가두고 있다.
그날 저녁, 사람의 마음을 내어 보이는 것과 담을 수 있는 것에 대해서 어렴풋이나마 새로운 지평을 본다. 조건이나 자아의 의도적 제약 없이도 내보이거나 담을 수 있음을 안다.

삶을 흔히 길이라 하고, 한바탕의 꿈이라고도 한다. 나는 길의 끝을 알아야 걸었고, 납득할 수 있어야 꿈꿨다. 그리고 길이건 꿈이건 결국은 혼자서 하는 것이라는 치기 어린 미숙함이 나의 만남과 소통을 구획하고 있다. 나는 같이 가는 길 위에서 손을 잡을지 말지, 내밀지 거둘지를 생각하며 어떤 이유의 납득을 구하고 있었는지 모른다.

 

경주에서 서울로 오는 늦은 밤길, 몇몇은 잠이 들고, 창 밖에는 간간히 빗방울이 스친다. 안으로 서려 있는 김을 손으로 비비니 어두운 저녁 풍경이 환하게 까맣다.
"
혼자 가면 힘들지만 함께 하면 멀리 갈 수 있다"라는 스승님의 말씀이 함께한 시간위로 오버랩 된다.
머리에 있던 동행이 가슴으로 내려와 느껴진다.
화음의 기본이 가락의 섞임이듯, 동행의 기본은 우리 마음의 섞임이다.

 

나보다 어른스럽고, 재능이 있는 땡7이들과의 동행에 나의 마음을 싣는다.
초보적인 대인관념을 마음에 담는다.

 

[2] 강물에 종이배를 띄워 그것을 따라 뛰어가는 어린애처럼

4월 초순의 자연은 초록이 물오르기 전이다. 경주로 가는 길, 개나리는 넘실거리며 산에서 언덕에서 우리에게로 파도 친다. 겨울의 끝에서 봄을 맨 처음 맞이하였던 매화와 산수유는 연이은 개나리와 진달래에게 화려함의 자리를 내어 준다. 호미 곶에서의 유채꽃 향기는 바다 내음과 함께 우리의 여정을 달래고, 해가 뉘엿거리며 서쪽으로 성급할 때 토함산의 목련은 석양에 몸을 내어 주며 소색(素色)의 빛깔을 부끄럽게 물들인다.
인간이 젊음을 겪고 나서야 진실한 인생에 입문할 수 있듯이, 자연도 이같은 정열의 낭비를 통해서야 질서를 조정할 수 있는가 보다.

토함산 자락을 구비하며 내려가는 길에서 스승님께서는 살면서 문득 문득 추억할 수 있는 것이 많으면 잘 사는 인생이라고 하신다. 특별한 하루가 우리의 삶이니 그런 이야기를 가지라 하신다. 스승님의 '여러분은...할 것이다.'하는 명료한 어투가 삶의 모습을 봄 꽃처럼 확연히 드러나게 한다.

 

자정이 지난 시간. 산비탈의 논밭 한 켠에 위치한 진평왕릉은 고고하면서 소담스럽다. 형체들의 실루엣만이 공간과 존재를 구분할 수 있게 한다. 주위는 어둡고 고요하며 세월을 담은 나무의 정령들이 묘한 분위기로 왕릉을 보위하고 있다.
냉랭한 밤기운을 우리는 안동소주로 달래고 데운다. 기타의 선율을 따라 노래 가락이 흐르고, 스승은 진평왕에 얽힌 전설 같은 이야기를 들려주신다. 봉분의 꼭대기에 올라 원을 그리고 술을 따르고, 절을 하고, 그 위에 눕는다. 다들 어린애처럼 웃고 감탄한다.
마음이 담지 못하면 여느 곳과 다름없이 그냥 스쳐가는 거소일 뿐이지만 마음이 풀어져 나도 하나의 부분이 되니, 자연의 껍질에만 머물던 마음이 그들의 속살을 더듬는다. 사는 것도 매 한가지일것이다. 노상 쫓기듯이 주어지는 삶의 소소한 것에 대부분의 시간을 허락하는 까닭에 마음주어 머물러야 하는 곳에서는 무심하고 둔감하다. 삶을 껍질에만 묶어놓는다. 즐겁게 속살 더듬은 지혜는 언제쯤 생길런지. "잘 놀다 갑니다."하며 올리는 마지막 절이 자연과 역사라는 큰 어른 앞에서 흔쾌히 받아들여지는 어린애의 사랑스런 몸짓 같다.

 

인각사를 지나 우리는 강을 마주하고 스승을 대한다. 봄볕의 두께가 딱 맞는 두께의 담요 마냥 푸근하다. 깊고 오묘한 깨달음의 내용을 조리 있게 펼쳐 보이며 우리를 감동시키고 인도하는 것이 스승의 힘이구나 생각한다. 더불어 우리의 섞임에서 서로를 통해 감동하고 삶의 오의를 느낄 수 있었던 것은 앞으로 우리가 경험해야 하는 온전한 배움의 모습이구나 마음에 새긴다.

'만쇄(萬刷)'의 주문에 학소대 강물에 엉거주춤 발을 담근다. 주문을 외는 마법사는 까르르 웃는다. 그녀의 웃음이 참 좋다. 그녀의 마법이 같이 발 담근 물을 타고 나를 타고 흐르기를.

 

함께 한 시간들을 기억해라. 그 표정과 눈빛과 웃음을 기억해라.

좋은 말을 기억하고, 어깨에 얹혔던 손길을 기억해라. 함께 웃음과 감동을 만들어 가라.

배움만큼 기쁜 놀이가 없으며, 함께 사는 것 보다 웃음이 많은 것이 없다.

- 스승님의 학소대 가르침에서 -

 

모질게 불어대는 겨울 찬바람을 꿋꿋하게 견뎌낸 꽃 가지들이 그 끝에 연두를 매달고,
살랑살랑 봄바람은 벚꽃을 달래어 팝콘처럼 속살을 터트리게 한다.
함께하는 길에서 일상은 소스라치는 깨달음이었다.
깊고 큰 호흡으로 자연과 벗들이 보내는 삶의 향기를 가득 담는다.
그리고 봄 꽃처럼 다시 태어난다.

IP *.219.84.74

프로필 이미지
2011.04.18 01:53:50 *.111.51.110
멋지다!
형이 쓰는 뭐랄까 고풍스런? 단어, 시적인 어투에 매료되네요.

조금씩 보여주는 형의 속 마음에 친밀감을 느끼구요.
보고싶습니다~

프로필 이미지
외로운늑대
2011.04.18 09:55:26 *.219.84.74
확 보여 주고 싶고, 확 끌어 안고 싶다만 
보여줄것도 많지않고, 끌어 안을 품도 좁다.

태어나서 가장 정신없던 2주를 보내고 나니 마음이 조금 차분해진다.
그래 보고싶다. 자주 안부라도 전하자. 
프로필 이미지
루미
2011.04.18 04:49:36 *.23.188.173
같은 여행을 다녀온 모습이 왜 이렇게 다른거야?
나는 이런 거 참 부러워요
같은 걸 보고도 다른 걸 보는 사람.
그걸 글로 멋지게 표현하는 사람
오라버니처럼요~
프로필 이미지
외로운늑대
2011.04.18 10:03:11 *.219.84.74
같이 만들어낸 풍경이었다.
너가 있어서 더욱 의미있는 시간이었다.
너의 재능을 보며 부러워했다.

너도 아주 멋진 사람이다. 사랑스런 사람이다.
프로필 이미지
유재경
2011.04.18 05:16:35 *.35.19.58
우리 늑대 오라버니는 소시적에 여린 감성의 문학소년이셨나봐.
그 얼굴에서 어떻게 이렇게 아름다운 글이 나오지? ㅋㅋ
영구 모자쓰고 카메라 들고 왔다갔다만 하는 줄 알았더니 아니었네.
나도 이번 경주여행에서 많은 상념이 스치더이다.
올 봄이 내가 내 인생에서 맞는 첫 번째 봄인것 같아.
이제 벚꽃 향기가 어떤지 알겠어. 그 색깔하며 나뭇가지를 꺾을 것 같은 주체할 수 없는 아름다움까지.
그동안 뭐했느나 그런 것도 느끼지 못하고 살아왔는지.
내 인생의 첫번째 봄에 늑대 오라버니가 있어 참 좋네.
프로필 이미지
외로운늑대
2011.04.18 10:09:23 *.219.84.74
칭찬인가 아닌가. 이것과 저것 사이에게 표정이 마뜩찮다. ㅎㅎㅎ
<그 얼굴에서....> 소실적 어머니가 만족해하신 얼굴이었는데, 사부님께서 '강훈은 잘생겼다' 하셨는데...

다시, 거울 한번 보고 너에게 한표!

그래! 봄이 이렇게 내 마음 깊이 들어온 적이 있었던가 생각해본다.
내 삶이 이토록 깊이 내 속을 찌른 적이 있었던가 생각해본다.
혼자서는 알 수 없는 그런 것이라 생각했다.
그저 고맙고 감사할 따름이다.
프로필 이미지
미나
2011.04.18 06:12:08 *.246.71.33
경주가, 그 때 그 느낌들이 고스란이 다시 떠올라요..
훈 오라버니, 보기보다 참 감수성이 예민한 사람인듯.ㅋㅋㅋ.

이런 감성적인 글 쓸 수 있는 사람이 너무 부럽다는...ㅜㅜ..

잘 읽고 갑니닷!!^^
프로필 이미지
외로운늑대
2011.04.18 10:15:13 *.219.84.74
같이 할 수 있어서 의미있는 시간이었다.
혼자 책읽고, 혼자 여행하면서 얻지 못한 느낌과 배움이 있었다.

미나야, 
봄날, 해지는 시간 즈음에 벙개한번 하자. 쏘주도 좋고 막걸리도 좋다.
만나자, 놀면서 배우자.
프로필 이미지
미옥
2011.04.18 10:26:58 *.10.44.47
여행...
지난 1년 목숨을 내어놓고 만들어놓은 나를 스스로에게 선뵈이고 싶었습니다.
달라진 나를 자랑하고 싶었는지도 모르겠습니다.
자신도 있었습니다.

그런데...
어찌된 일인지..
흩날리는 꽃비를 맞으며 내가 만난 나는
여전히 제 자리를 찾지 못하고 정신없이 흔들리고 있더군요.
덜컥 겁이 났습니다. 
이런 내가 누군가를...

돌아오는 차속에서 '편하게 불러주세요'
부탁드렸었죠?
우리 사이에 놓인 화살표는 였음 좋겠습니다. 
그래야 서로 마음껏 배울 수 있을테니까요..  ^^
프로필 이미지
외로운늑대
2011.04.18 10:53:17 *.219.84.74
묙선배와 함께 했던 두번의 시간 모두 즐거움이 있습니다.
웃음과 추억을 만드는 놀라운 마법이지요.

즐거움의 시간이 끝나고 혼자 있는 시간이면 마법이 또 한가지의 얼굴을 드러냅니다.
나에게는 '불편한 부러움'입니다.
불편한 것은 내가 가지고 싶지만 가지지 못한 것에 대한 적나라한 인식인 것이지요.
내 속에는 쓸데없는 것들이 너무 많아요.  선배는 참 경쾌합니다.
한꺼번에 할 수 있는 것이 아니어서 조금씩 버릴 생각입니다.
그래서 춤도 추고, 노래도 하고...
송년의 밤쯤이면 멋지게 스스로 만족하는 '변신'을 할 수 있지 않을까 싶어요.

마법사가 마법을 알려주는 것에 꺼려함이 있는 것은 아니죠?
사람 가려 받나요? 
 emoticon

나는 멘토로서 대하는 마음을 가져가고 싶어요. 그래서 '묙선배'라는 호칭이 제일 편안하네요.
싸랑합니다. 묙선배!!
프로필 이미지
2011.04.18 17:47:46 *.124.233.1
형.. 형님글을 읽으며 내 속에는 없는 아니 내 속엔 너무나 희미하게 존재하는 시인을 만나게 됩니다.
목적을 찾고, 찾은 그 목적을 성취하려 하고, 그리로 가는 동안 좌우 뒤도 돌아보지 않고,
그저 앞만 보고 직선으로 달려가는 불나방 같은 제 삶이 부끄럽게 느껴지며 갑자기 눈시울이 붉어집니다.
형님과 한 배를 탄 것은 제게 있어 운명이라는 생각이 들어요.
형님을 통해 다른 세계로 들어 갈 수 있는 열쇠를 얻은 듯 합니다.
고마워요 형님 ^^
프로필 이미지
외로운늑대
2011.04.19 10:57:55 *.219.84.74
1년 아니 얼마가 될지 모를 시간을 함께 해야 하니 인연도 보통 인연은 아니다.
너의 말대로 우리 만남은 운명이다.

아르곤 원정대의 모험처럼 그렇게 멋진 여행이었으면 좋겠다.
이아손은 웨버와 총무다. 잘 이끌어다오.
프로필 이미지
미선
2011.04.19 06:07:36 *.76.248.166
그 날의 여행들이 소설의 한 대목처럼 너무나 멋지게 그려져있네요.
오빠의 깊은 감성을 느낄 수  있어요^^
어쩜 이렇게 물 흐르듯이 글들이 이어져 나갈 수 있나요?
우리 땡칠이들 한 번 만나야 하지 않겠어요?ㅋ
프로필 이미지
강훈
2011.04.19 11:02:36 *.219.84.74
오프수업때 한번 보는 것은 조금 부족한 느낌이다.
격주로 보면 좋을 것 같다는 생각....
읽었던 책에 대한 이야기도 하고, 고민 같은 것도 이야기하고.
오늘 저녁 만나면 논의해 보자.

프로필 이미지
우산
2011.04.19 10:03:48 *.146.26.24
늑대님 한결 성숙해 가고 있어요. 느낌이 확~
어젠 풀잎님과 점심을 같이 했지요
다음엔 늑대님과 삼겹살 파티를 해야 하는데
언제가 좋을까요. 시간 좀 내주십쇼?ㅎㅎ
프로필 이미지
외로운늑대
2011.04.19 11:09:29 *.219.84.74
짧은 시간이었지만 먼 길을 온느낌입니다.
시간에도 변화가 있어서 몇가지의 생활들을 조정했습니다.
변화의 한가운데서 이제서야 뭔가 조금 보이는 느낌입니다.
한번 뵈어야죠. 그럼요. 다음주에 전화드리겠습니다.
덧글 입력박스
유동형 덧글모듈

VR Left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2332 <소설> 담배가게 아저씨 나폴레옹(최종회) [14] 박상현 2011.04.21 2927
2331 응애 64 - 호랑이 철학 모두 모여라 - 36쪽이니 클릭 조심하기 [5] 범해 2011.04.21 2930
2330 [호랑이] PM 공지- 필. 독... [1] crepio 2011.04.21 1985
2329 [첫책 기획] 서문 [7] 최우성 2011.04.20 2066
2328 <소설> 우리 동네 담배가게 아저씨 나폴레옹(17) [8] 박상현 2011.04.19 2262
2327 [호랑이 실험 10 - 4장 소목차 및 4-1~3 초고] [6] 수희향 2011.04.19 2039
2326 아이 키우기, 우리 키우기 (1) [5] 2011.04.19 2050
2325 푸르잔 스토리 - 3 홍현웅 2011.04.19 2202
2324 <소설> 우리 동네 담배가게 아저씨 나폴레옹(16) [4] 박상현 2011.04.18 2282
2323 서커스에서 걸어나온 영웅 file [6] [1] 사샤 2011.04.18 4239
2322 내 안의 아이에게 [12] 루미 2011.04.18 2141
2321 새로운 인센티브 [10] 달팽이크림 2011.04.18 3771
2320 [양갱2] 도깨비를 구하는 방법 file [11] 양경수 2011.04.18 3675
2319 3. 영웅을 찾기 위해 함께 가는 길 [13] 미선 2011.04.18 2096
» [늑대3] 아름다운 소통_경주에서 [16] 강훈 2011.04.17 1994
2317 [평범한 영웅 003] 하루 2시간의 혁명, 그 300일 간의 대장정을 마치며 (1부) [13] 김경인 2011.04.17 4952
2316 나비 No.3 - 당신이 통과해야 할 세 개의 문 [6] 유재경 2011.04.17 4169
2315 3. 나의 여정은 어디쯤인가?? [6] 미나 2011.04.17 3289
2314 라뽀(rapport) 47 - 엄마라는 명제의 이름 [2] 書元 2011.04.17 2129
2313 단상(斷想) 60 - 그곳에 내가 있었다 file 書元 2011.04.17 256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