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본형 변화경영연구소

연구원

칼럼

연구원들이

  • 강훈
  • 조회 수 2303
  • 댓글 수 16
  • 추천 수 0
2011년 5월 29일 21시 45분 등록

살아 보니 나이 든다고 사람이 모두 그럴듯해지진 않는 것 같다. 제법 총명했던 어린 시절에 괴이쩍은 어른들을 보며 이미 눈치 깠지만, 정말 나이 든다고 사람이 다 괜찮은 어른으로 둔갑하는 게 아니라는 건 다른 사람은 차치하고서라도 나 자신을 보면 알 수 있다.

 

스물의 청춘을 정리하고 삼십 대를 맞이할 때 나는 앞으로의 생()을 사회적으로나 가정적으로나 책임감 있게 살고 싶다는 대견한 바램을 가졌다. 처세술이라는 약간 얄팍한 뭔가를 배워서 인맥이라는 나의 거미줄을 잘 만들고 스파이더맨처럼 내 삶의 무대를 종횡무진 하는 것을 상상했고, 재테크라는 테크니컬한 스킬을 배워서 나의 통장을 복되게 하리라고 다짐했다. 그래서 아이를 낳거든 내가 가진 모든 삶의 비법을 전수해서 삶의 초장부터 보란 듯이 잘 나가게 하리라고 흐뭇해했었다. 그리고 세상은 "우리 모두가 꿈을 성취할 수 있는" 민주적이고 자본주의적인 무대라는 믿음이 있었고, 설령 자본주의가 내포하는 어떤 불평등 같은 기제가 있더라도 나의 청춘은 이런 것들을 충분히 훌쩍 넘어설 수 있다라는 내 능력에 대한 무한한 신뢰도 있었다.

 

하지만 이제 마흔을 조금 넘기고 보니 무책임하게 살고 싶다는 생각이 더 많이 든다. 세상은 어렵고 만만치 않다라고 눈을 내리깐다. 어깨에 진 짐을 내려놓고 일상에서 희희낙락(喜喜樂樂)하며 살고 싶고, 아이에게는 돈과 처세보다는 나의 손때 묻은 책과 낙서 정도를 잘 정리해서 물려주면 되겠구나 하고 생각한다. 스파이더맨처럼 종횡무진한 삶은 아니지만 그저 그런 삶이라도 나의 일에 대한 소중함 정도를 알려주는 나만의 이야기가 있으면 좋겠다 라고 희망해본다.

"얻을 수 없는 뭔가를 가지려 할 때마다 우리는 가진 재산에 관계없이 가난해진다."라는 루소적인 생각으로 부()의 부족함에 대해서 나를 방어하고, 적은 것을 기대하면 적은 것으로 행복할 수도 있다라는 행복론을 가족 중에 유일하게 주창하고 있다. 철이 드는 것이 아니라 철 결핍쯤 되는 것 같다. 나이 든다고 모두가 철드는 것은 아닌 것이다. 아니, 친구 중에는 내가 오육십대의 생각을 하고 있다고 핀잔하는 것을 감안하면 나는 너무 철이 많이 들었는지도 모르지만 아무튼 나의 생각을 괜찮은 것으로 이해해주는 사람이 많지 않은 것을 보면 일정부분 괴이쩍은 것이다.

 

아주 철이 없던 어린 시절. 무협지에 빠져서 도서관 간다는 핑계로 어머니의 정성 어린 도시락을 싸 들고 발길 바쁘게 만화방으로 향했던 시절이 있었다. 그때 만화방은 500원이면 '일일자유이용권'을 끊어서 몇 시간을 있던, 몇 권을 읽던 그건 참가자의 자유였다. 그렇게 시간 가는 줄 모르고 현실을 떠나 무공의 세계에 살 수 있었고, 덕분에 느지막이 들어가는 날은 공부 열심히 한다고 부모님께 칭찬까지 받았으며, 동석한 친구들끼리는 비밀을 나누고 우정을 두텁게 했으니 일석(一石)으로 수십 마리의 새를 때려 잡을 수 있는 어린 청춘의 자랑이었다.

 

무협지의 세계에서 꿈과 현실이 모호해진다. 나도 어딘가에 있을 무림중원으로 떠나 절대 무공의 스승을 만나고 인고의 세월을 보내 스승으로부터 말로만 전해오는 무림의 비법을 전수받아 절대 신공을 가진 고수가 되며, 운명을 따라 세상을 떠돌고, 비련의 여인을 만나 이루어 질 수 없는 사랑을 하는 꿈. 그런 근사한 꿈을 무협지는 현실에서 꿈꿀 수 있게 했다.

무협지 몇 권을 읽고 집으로 돌아오는 길은 무서울 것이 없다. 어깨에 들어간 힘은 우리들 스스로가 중원무림의 고수가 되어 무엇이든 걸리면 추풍낙엽 시킬 포스로 무장한 것이다. 무협지 몇 권은 태권도 도장 몇 달의 삘(feel)을 느낄 수 있는 그런 한방이 있었다. 마치 영웅본색을 보고 거들먹거리는 걸음과 의미심장한 썩소를 날리며 극장을 걸어 나왔던 모든 수컷들의 본성처럼.

 

그런 꿈은 어른이 되면서 잊혀져 갔지만 지금도 친구들을 만나면 야한 비디오를 훔쳐봤던 이야기와 함께 그때 만화방의 추억은 우리들의 영원한 안주거리이다. 지금은 모두에게 꿈같은 이야기가 되었다. 무림고수는 철없는 청춘들에게나 아름다운 꿈인 것이다.

나는 요즘 꿈꾼다. 무림고수의 꿈을. 중원을 제패하는 날을 생각하며 운명을 찾아 속세를 떠나는 나그네의 모습을 그린다. 스승을 만나 고초를 겪으며 내공을 쌓아 절대신공에 이르고, 비검 한 자루를 갈고 닦아 달과 물을 베어내는 그런 경지에 이르는 순간을 상상한다. 스승은 달빛 아래에서 뒷모습만 보이며 말씀하신다. "하산하라." 그러면 나그네는 도포자락 휘날리며 속세로 돌아오고 그는 감춘 듯 살지만 그의 칼은 항상 피의 울음을 듣는다. 그리고 세상에 그의 이름이 자자해진다. 그리고 전설같이 살다가 구름처럼 사라진다.

 

무림고수의 꿈은 나를 들뜨게 한다. 한편으로는 누군가 알면 흉볼까 걱정이다. 길가다가 방귀뀌고 누가 들었을까 둘러보는 것처럼 항상 남 몰래 생각하고 덮어둔다. 하지만 아무도 없었을 때 혼자서 웃는 웃음처럼 나는 나의 스토리를 그려 보는 것이 재미있다. 어떤 그림이 그려지는 것이 나의 마음을 가볍게 한다.

얼마 전까지만 해도 아무리 그려보려고 해도 그려지지 않았다. 떠나고 싶은 무림도 없었고, 찾고 싶은 비기(秘器)도 없었다. 길을 떠나는 것은 무용하며, 치기(稚氣)어린 행동에 지나지 않았다. 그래서 지금 그릴 수 있는 그림에 감사한다. 그런 그림이 조금씩 그려지니 숨통이 트인다.

돈이 가물던 때 통장에 돈이라도 몇 푼 들어오면 느껴지던 해갈의 기분, 급하게 줄 선 화장실에서 꽉 닫힌 문을 누군가 선뜻 열고 나올 때의 다급함의 해소처럼 무림 고수의 꿈은 나의 숨통을 트이게 한다.

나이 든다고 철이 드는 것이 아니며, 세월은 거꾸로 갈수도 있는 법인가. 회청춘(回靑春)이다.

 

'1인 기업'으로 밥벌이를 구상한다. 미래의 어느 한 대목을 타켓팅하여 필요한 것들을 준비해 나간다. 1인 기업이라는 모토를 생각하니 삶이 비즈니스요 비즈니스가 삶이다. 무림의 한가운데로 들어서는 것이다. 그곳은 내가 알지 못하는 수 많은 고수들이 곳곳에서 자기만의 비기로 눈을 부릅뜨고 있고, 스스로 방어하거나 공격하지 못하면 어느 누구의 몫으로 자신의 생을 내어 놓아야 할지 모른다. 세상은 친절히 적과 조력자를 구분하여 주지 아니한다.

나는 무엇을 가져야 할까. 한판 싸움을 생각하니 내가 준비해야 할 것은 몇 십대의 거마로도 부족하고 담아야 할 것은 끝도 없는 가운데 버려야 할 것에 손익이 헛갈린다.

 

그런 생각에 스승은 나를 향해 착한 펀치를 날리신다.

스승은 그의 책 <사람에게서 구하라>를 통하여 내가 준비하고 차려야 할 나의 봇짐을 정의해 주신다. 나는 세상을 보는 눈도, 사람을 보는 눈도 철 없는 아이처럼 미진하다. 1인 비즈니스를 생각하면서 오로지 '싸움의 기술'에만 열중하고 있었다. 기쁨과 죽음이 교차하는 지점에서 지면 죽음이요, 이기면 사는 것이다라고 삶을 생각하고 있었다.

그런 나에게 스승은 싸우는 법이 아닌 살아가는 법을 역사의 이야기와 그것의 해석을 통해 나를 가르치신다. 홀로 해야 하는 것과 함께 해야 하는 것들을 친절히 안내하신다.

나는 싸워서 버티는 법이 아니라 화()하여 살아가는 법을 터득해야 한다. 그러한 토대 위에 나의 비기(秘器)를 갈고 닦는다면 나는 고수(高手)라 일컬어 부끄럽지 않을 듯하다.

칼을 지니지 아니하고도 당당한 무림의 고수가 길을 간다. 나는 그 길을 꿈꾼다.

 

<>

IP *.69.251.200

프로필 이미지
2011.05.30 09:18:20 *.45.10.22
ㅎㅎ 오빠의 글을 읽다가 보니 중학교때에 한 참 영웅문에 빠져 있었는데 그 때의 생각이 나네요. 
우리 무림고수가 되어 만나보아요 ~!!
프로필 이미지
강훈
2011.05.30 12:06:35 *.219.84.74
한때 순정만화를 좋아한 적이 있었는데, 그대는 영웅문에 빠졌다니.
남자 아이들도 가끔은 요리하는 소꼽놀이를 좋아하는 것을 보면
성(性)으로 어떤 취향을 가르는 것은 참으로 쓸데없는 생각이구나 하고 느낀다.

그대가 고수가 되는 길에 그대만의 비기를 볼 수 있는 날을 기대하오. .
프로필 이미지
2011.05.30 21:09:23 *.111.51.110
헐~ 너도냐!
나도 친구네 집에서 매일 한권씩 빌려보던 때가 있었는데..ㅋ
프로필 이미지
우성
2011.05.30 10:05:01 *.30.254.21
초등학교부터 좋아했던, 만화방..결국은
대학교 때까지 가더군요...
초식이 점점 화려해 집니다.
무림고수의 등장이 점점 기대됩니다.
프로필 이미지
강훈
2011.05.30 12:12:18 *.219.84.74
선배님, 잘지내죠?
얼굴 뵌지가 어언 두달? 땡7이 벙개에 한번 모셔야 하는데..
어설픈 초식을 일견해주시니 감읍합니다.
보고 배운 것을 흉내내봄입니다.
선배님들이 펼치시는 권(拳)과 공(功)의 조화를 잘 보고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프로필 이미지
루미
2011.05.30 10:08:02 *.23.188.173
난 왜 바람의 검심이 생각나는 거지?
오라버니가 도포자락을 휘날리고 있는 사진에
세로로 재경언니의 붓글씨가 써지는 거야.
강하고 훈훈한..... 뭐 이러면서... ㅋㅋㅋㅋ
나혼자 상상놀이~~~
배경은 대나무숲????
프로필 이미지
미나
2011.05.31 12:39:08 *.142.255.23
ㅋㅋㅋ 다들 왤케 웃기심... 훈 오라버니 글을 읽으니.. 이미 고수이신듯 하오..ㅋㅋ
프로필 이미지
강훈
2011.05.30 12:16:59 *.219.84.74
루미야, 빵하고 웃긴다. 댓글을 읽다보니 나도 그려진다. 이런 느낌인거지~~.

재경이가 붓글씨 휘갈길때
나는 나의 검으로....

떡 썰고 있는 것 아니니?
프로필 이미지
2011.05.30 14:15:53 *.124.233.1
형님 글의 또 다른 모습을 보며 웃었어요 ^^
형님께는 무협지가, 제게는 무협지 삘 나는 환타지 만화가 숨을 틔워주네요.
집으로 돌아오는 길에 어깨에 들어간 힘, 레이저 광선이라도 나갈 듯한 눈 빛.
필살기를 갖추되 궁극적으로는 세상과 더불어 살아가기 위함이어야 한다.
맛깔나는 글 잘 읽었어요 형님 ^^
프로필 이미지
강훈
2011.05.30 15:28:06 *.219.84.74
그래, 바라는 것은 있는데 보이지 않을 때 답답하지.
어떤 방식으로나 그 답답함을 풀어야 하겠지.
최상의 해소는 바라는 것의 성취일텐데.

아직 갈길이 멀었으니 그 답답함은 무협의 세계에서 혹은 판타지의 세계에서
혹은 소주집에서 가끔은 노래방에서 등등 풀어야지.

쏘주는 언제 할까?
프로필 이미지
2011.05.30 21:16:16 *.111.51.110
형의 어휘는 무한 확장이군요!
눈치깐다. 때려잡다. 삘, 썩소에 마구 방귀를 날려주는 유쾌함까지~
무협지나 무협영화 한편 보고 나면
스스로 고수가 된듯한 느낌이 들면서 
마구 액션을 날려주던 모습이 생각나네요~
1인 기업으로서 형의 세계를 세우고, 그 경지가 많은 사람을 포용할 그날이 꿈만은 아니겠지요.!
프로필 이미지
강훈
2011.05.31 11:16:04 *.219.84.74
그래, 막연한 꿈이 구체적인 희망이 되어가고 있다.
그래서 준비해야 하는 것들도 하나씩 보이고,
그 길에 함께 이야기 할 수 있는 사람들이 있어서 좋다.
프로필 이미지
유재경
2011.05.31 11:15:09 *.35.19.58
그래요, 사부님은 항상 우리에게 '한방' 멕이시는 것 같아요.
그런데 우리 수련 시작한지도 얼마 안되었잖아요?
아직 밥하고 불때야 하는 시기인것 같으니 너무 낙심하지는 맙시다.
하다보면 알게되고, 가다보면 깨닫게 되는 날이 올겁니다.
프로필 이미지
강훈
2011.05.31 11:18:05 *.219.84.74
그렇다.

멀리 보고,
천천히 가는 것이

우리가 얻고자 하는 것의 비법인 것이다.
프로필 이미지
2011.06.03 06:37:30 *.160.33.89
유치하지.  그러나 가장 기본적인 성장 소설이 바로 무협소설이다. 
 
 먹고 살기 위해 쓰고 남는 시간에는 비가 오나 눈이 오나  체력을 다지거라.    갓 자라기 시작한 대나무를 매일  뛰어 넘고,   무릎을 굽히고 그 위에 찻잔을 올려 두고 차가 쏟아 지지 않도록 하거라.  그러면 강철 같은 다리를 가지게 될 것인데,  운동은 다리로 하는 것이니, 근육을 잘 키워 두어야한다.   

너는 부채를 쓰는 법을 배우면 어떠냐.   옥면서생들은 , 너는 얼굴이 좀 검긴 하지만 잘 생겼으니,  대개 부채를 무기로 쓴다.     백산이 부채를 가지고 다니니 한 번 물어 보아라.     

그럼, 제군들 무림 지존이 될 때까지,  열심히 불 때고 밥하시게.  
프로필 이미지
강훈
2011.06.07 09:13:01 *.219.84.74
씨푸(싸부의 중국영화발음. 합장!)
존명(尊命)!
생존을 위한 시간을 제외하고 힘을 기르는데 쓰도록 하겠습니다.
강철같은 다리로 어떤 공격에도 흔들리지 않을 그런 중심을 갖도록 하겠습니다.
존명(尊命)! 휘리릭~~~
덧글 입력박스
유동형 덧글모듈

VR Left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5212 [33] 시련(11) 자장면 한 그릇의 기억 secret [2] 2009.01.12 205
5211 [36] 시련12. 잘못 꿴 인연 secret [6] 지희 2009.01.20 209
5210 [38] 시련 14. 당신이 사랑을 고백하는 그 사람. secret 지희 2009.02.10 258
5209 [32] 시련 10. 용맹한 투사 같은 당신 secret [2] 2008.12.29 283
5208 [37] 시련. 13. 다시 만날 이름 아빠 secret [3] 2009.01.27 283
5207 [28] 시련(7) 우리가 정말 사랑했을까 secret [8] 지희 2008.11.17 330
5206 칼럼 #18 스프레이 락카 사건 (정승훈) [4] 정승훈 2017.09.09 1661
5205 마흔, 유혹할 수 없는 나이 [7] 모닝 2017.04.16 1663
5204 [칼럼3] 편지, 그 아련한 기억들(정승훈) [1] 오늘 후회없이 2017.04.29 1717
5203 9월 오프모임 후기_느리게 걷기 [1] 뚱냥이 2017.09.24 1747
5202 우리의 삶이 길을 걷는 여정과 많이 닮아 있습니다 file 송의섭 2017.12.25 1751
5201 2. 가장 비우고 싶은 것은 무엇인가? 아난다 2018.03.05 1779
5200 결혼도 계약이다 (이정학) file [2] 모닝 2017.12.25 1782
5199 7. 사랑스런 나의 영웅 file [8] 해피맘CEO 2018.04.23 1790
5198 11월 오프수업 후기: 돌아온 뚱냥 외 [1] 보따리아 2017.11.19 1796
5197 (보따리아 칼럼) 나는 존재한다. 그러나 생각은? [4] 보따리아 2017.07.02 1798
5196 12월 오프수업 후기 정승훈 2018.12.17 1800
5195 일상의 아름다움 [4] 불씨 2018.09.02 1806
5194 칼럼 #27) 좋아하는 일로 먹고 사는 법 (윤정욱) [1] 윤정욱 2017.12.04 1809
5193 [칼럼 #14] 연극과 화해하기 (정승훈) [2] 정승훈 2017.08.05 18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