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본형 변화경영연구소

연구원

칼럼

연구원들이

  • 김경인
  • 조회 수 5305
  • 댓글 수 17
  • 추천 수 0
2011년 6월 5일 22시 35분 등록

부지런히 기록하라. 쉬지 말고 적어라. 기억은 흐려지고 생각은 사라진다. 머리를 믿지 말고 손을 믿어라. 기록은 생각의 실마리다. 기록이 있어야 기억이 복원된다. 습관처럼 적고 본능으로 기록하라.

- 다산 정약용

 

나는 기억을 믿지 않는다. 시간이 흐르면서 기록되지 않은 기억은 증발하여 사라지며 때로는 왜곡되기도 한다. 19세기 독일의 유명한 실험심리학자인 에빙하우스는 망각곡선주) 통해 기억의 휘발성을 입증한 있다. 그의 연구에 따르면 학습 후 10분 후부터 망각이 시작되어, 1시간 뒤에는 50%가, 하루 뒤에는 70%, 한달 뒤에는 80%를 망각하게 된다. 따라서 이러한 망각으로부터 기억을 지켜내기 위한 가장 효과적인 방법은 기록과 주기적인 복습이라 있다. 특히, 기록은 기억을 위해 할애되는 정신적인 자원을 절약할 있는 아주 효과적인 수단이다. 천재 혹은 영웅으로 불리는 역사 속의 위대한 인물들이 가지고 있는 공통점 중의 하나가 바로 기록하는 습관이다. 그들은 기록을 기억을 위한 보좌관으로 활용하여 기억의 불확실성을 극복함과 동시에 그들이 가진 정신적 자원의 효율성을 극대화시킬 있었다.

 

천재 물리학자 아인슈타인은 늘 공책을 주머니에 넣고 다니면서 새로운 생각이 떠오르면 지체 없이 공책에다 적는 습관을 가지고 있었다. 현대미술의 거장 피카소는 "내 작품은 일기와 같다. 이런 점에서 이들 드로잉 노트의 첫 번째 대중 전시회를 '나는 노트이다'라고 부른 것은 적절한 일이었다."라고 이야기 있다. 또한 위대한 작곡가 이고르 스트라빈스키는 그의 끊임 없는 창작의 비결에 대해 "뜻 밖의 참신한 생각이 떠오를 때가 있다. 그러면 모두 메모를 해두고 적절하게 활용한다. 손가락을 얕봐서는 안 된다. 악기와 늘 접촉하는 영감의 원천이 바로 손가락이다. 그게 없으면 무의식적인 아이디어를 떠올릴 수가 없는 것이다."라며 끝에서 비롯된 성실한 기록의 중요성을 이야기 했다. 현대무용의 대가 마사 그레이엄도 "아이디어가 떠오르면 종이에 적는다. 어떤 책에서든 인상적인 구절이다 싶으면 바로 옮겨 적는다. 그리고 출처를 적어둔다. 이렇게 하면 실제 작업을 할 때 모든 과정에 대하 기록을 간직하고 있을 수 있다. 내 무용에 대한 메모는 모두 갖고 있다. 특별한 기호는 쓰지 않는다. 내 생각을 그냥 적어둘 뿐이고, 나는 내가 쓴 글과 동작의 의미가 무엇인지 잘 알고 있다. 어디로 가고 무엇을 해야 하는지 잘 알고 있다. 여기 저기에 설명이 있다." 자신의 창조적 무용동작이 끊임 없는 기록에서 비롯되었음을 이야기 하였다. 이렇듯 역사 속의 영웅들은 기록의 대가들이기도 했다.

 

기록의 목적은 단순한 끄적거림이 아니다. 그저 끄적거리기만 하는 것은 기록이라기 보다는 낙서로 보는 편이 낫다. 기록의 진정한 목적은 잊어서는 되는 소중한 것을 간직하기 위함이다. 다시 말해 내 삶에 중요한 의미가 있는 '삶의 결정적 순간' 포착하여 갈무리해 두는 것이다. 순간을 섬세하게 받아들이고 중요한 의미에 대한 관심을 촉발시키는 . 이것이 기록의 진정한 목적이다. 변화경영사상가 구본형은 "평범한 개인의 역사는 본인이 남기지 않으면 유실된다. 기록이 없으면 역사도 없고 자신의 세계도 없다. 개인의 역사는 스스로에 의해 편찬되어야 한다. 이것이 군중 속에서, 군중으로, 흔적 없이 매몰되는 자신을 잊지 않는 길이다." 라며 기록이 '개인의 정체성 확립' 위한 훌륭한 수단이 수도 있음을 강조한 있다. 이렇게 남겨진 기록은 단순한 개인의 '자아탐색' 넘어 중요한 사료가 되어 후대의 귀감이 되기도 한다. 대표적인 사례가 충무공 이순신이 7년간의 전쟁 속에서 매일 써내려 <난중일기>. <난중일기> 통해 우리는 역사 영웅의 인간적 고뇌와 시련뿐만 아니라 '임진왜란'이란 역사 속의 중요한 사건의 단면을 포착할 있게 된다.

 

나의 경우 기록의 중요성을 깨닫게 것은 직장 상사를 통해서였다. 소위 말해 ' 잘하는 사람들' 공통점 중의 하나는 끊임없이 기록하는 습관이다. 특히 내가 속한 팀의 담당 임원의 경우 업무수첩과 개인수첩 심지어는 탁상 달력까지 빼곡한 메모로 가득 있다. 업무에 대한 실무자 이상의 꼼꼼한 지식과 엄청난 기억력이 그를 '직장인의 ' 임원의 자리에 오르게 했고, 뒤에는 그의 '기록하는 습관' 자리하고 있음을 발견했다. 프로젝트 리뷰나 각종 회의시간에 그는 업무 수첩에 뭔가를 빼곡히 적었다. 그리고 시간이 흐른 기록을 정확히 찾아내어 거기서 의미 있는 아이디어를 끄집어 내어 부하직원들의 나태함을 부끄럽게 만들곤 했다. 나도 부끄러운 사람 하나였는데, 원인은 순간의 기억이 지속될 것이라는 근거 없는 믿음에 기초한 '귀차니즘' 때문이었다. 그러나 나의 기억은 철저히 에빙하우스의 망각곡선을 따랐고, 그렇게 증발된 기억들이 업무에 엄청난 비효율을 초래한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기록을 해놨더라면, 바로 찾아서 해결 있는 일들을 애써 기억해야 하고, 기억하지 못하면 주변 사람에게 묻거나 원점에서 다시 시작해야 했다. 그렇게 낭비되는 정신적 자원과 시간의 낭비가 만만치 않았다.

 

나는 회의 시간에 사람들이 기록하는 것을 유심히 관찰했다. 각양 각색이었다. 날짜만 적어 놓은 사람, 낙서를 하는 사람, 그냥 대충 적는 하는 사람 대부분의 사람들이 의무적으로 업무수첩을 펴놓았을 제대로 기록하는 사람은 거의 없었다. 그때 문득 기록하는 습관, 제대로 기록하는 습관이 업무의 효율성 뿐만 아니라 내가 갖출 있는 차별성의 측면이 있다는 생각이 들었다. 그래서 그때부터 나는 '기록'하는 일에 천착하기 시작했다. 먼저 개인적 측면에서 매일 새벽 깨어나자 마자 떠오르는 생각들을 마음껏 편하게 적어 내려가는 '모닝페이지' 쓰기 시작했다. 이것은 단순한 일기의 차원을 넘어 감정의 배수로 역할도 해주었다. 그래서 새벽이 아니더라도 회사에서 일이 풀리지 않거나, 개인적으로 답답한 상황이 생길 때면 수첩이나 컴퓨터에 적고 적었다. 업무적으로는 회의 시간 등에 멍하니 있거나 낙서를 끄적거리지 않고 무엇이 되었든 적극적으로 받아 적었다. 마구잡이로 적다 보니 정작 내가 글자를 내가 알아보기 힘들 지경이었다. 그래서 빨리 쓰는 방법을 익히기 위해 짧은 시간 안에 많은 분량의 답을 적어야 하는 기자나 사법고시생이 배운다는 '백강 고시체' 배우기도 했다.

 

그렇게 뭔가를 받아 적고 기록으로 남기는 습관은 생겼지만, 프로젝트의 문제 해결을 위한 혹은 칼럼을 쓰기 위한 아이디어는 받아 적을 준비가 되어 있는 집이나 사무실의 책상 앞이 아닌, 지하철 안에서 있을 때나, 길을 걸어갈 혹은 계단을 오를 문득 떠오르곤 했다. 그래서 손바닥 만한 수첩을 가방 속에 넣어 두고 뭔가 아이디어가 떠오르면 꺼내어 적었다. 그러나 수첩을 꺼내고, 적는 시간이 걸렸고 그러는 사이에 생각은 금새 증발해 버렸다. 그래서 찾은 대안이 휴대폰의 녹음 기능을 활용하여 순간적으로 떠오르는 생각을 녹음시키는 것이었다. 가벼운 차림으로 산책을 때나 혹은 날씨가 너무 춥거나 비가 오는 길을 걸을 버튼 하나만 누르면 녹음이 되는 휴대폰의 기능은 빛을 발한다. 중요한 프로젝트를 발표한 피드백을 받을 때도 녹음 기능을 활용하는 , 업무 수첩에 받아 적은 내용 놓친 기록을 보완할 있고, 피드백 해준 사람의 의도와 뉘앙스를 파악하는 데도 도움이 되었다.

 

그렇게 꾸준히 기록하는 습관이 자리 잡음과 더불어 지난 1년간 1 페이지가 넘는 분량의 모닝페이지, 권의 수첩이 '기록'이란 습관에 천착한 결과물로 남았지만 뭔가 채워지지 못한 허전함이 많이 남았다. 이유를 쉽지 않게 찾을 있었다. 아주 많은 생각들을 쉴새 없이 기록으로 남겼지만 시간이 흐른 정작 기록해 놓은 아이디어가 필요할 어디에 기록해 두었는지를 찾을 수가 없었다. 그저 마구 잡이로 기록하고 담아 두는 일만 열심이었지, 그것을 언제 어떻게 활용 것인지에 대해서는 전혀 생각하지 않았다. 동안 내가 기록은 언제 어디서나 필요한 순간에 기억에 의존하지 않고 필요한 아이디어를 꺼내어 있게 한다는 기록의 본질적인 목적을 간과했던 것이다. 기록을 통해 증발되는 아이디어를 잡아내어 담아두어 그때 그때 활용하는 까지는 좋았으나, 그런 좋은 아이디어를 갈무리하고 피드백 하지 않아 힘들게 모은 중요한 기록들을 사장시켰던 셈이다.

 

사가토 켄지는 그의 저서 <메모의 기술>에서 내가 동안 제대로 실천한 부분과 놓친 부분을 7개의 단계로 나누어 멋지게 설명해 놓았다.

 

내가 동안 지킨

                 놓친

 

1. 언제 어디서든 기록하라

떠오르는 생각을 기억에 의존하지 말고 생각난 바로 그 자리에서 기록한다.

늘 지니고 다니는 것, 항상 보이는 곳에 기록한다.

 

2. 주위사람들을 관찰하라

일 잘하는 사람들을 관찰하고 따라 한다.

다른 사람들의 말하는 내용, 사고방식, 언어습관 등을 기록한다.

 

3. 기호와 암호를 활용하라.

자신에게 쓰기 편하고, 보기 편하고, 사용하기 편리한 방법을 찾는다. (예 : ⓘ 아이디어, ⓣ 전화)

 

4. 중요한 사항은 한눈에 띄게 하라.

중요한 사항은 밑줄, 동그라미, 색깔 볼펜을 활용한다.

 

5.기록하는 시간을 따로 마련하라.

기록을 정리하여 갈무리 있는 시간을 따로 마련한다.

 

6. 기록을 데이터베이스로 구축하라.

언제든지 찾아 활용할 있도록 기록해 놓은 것을 DB 구축해 놓는다.

 

7. 기록을 재활용하라.

기록한 것을 버리지 말고 일정기간 보관한 후 다시 읽어 본다.

(에빙하우스의 망각곡선의 복습 기능을 활용하는 것과 같다)

 

 

기록은 재능이 아닌 습관의 영역에 속한다. 타고나는 것이 아니라 매일의 노력 속에 습관의 근육으로 길러지는 것이다. 평범함을 비범함으로 이끄는 것은 타고난 재능과 성실함이란 개의 기둥이다. 기록하는 습관은 '성실함' 영역에 속한다. 성실한 사람은 '불확실한 기억' 의존하지 않는다. 오직 자신의 손과 발의 수고로움으로 갈무리한 '확실한 기록'만을 믿는다. 그렇게 그들은 '삶의 결정적 순간' 놓치지 않은 성실함 덕분에 평범함에서 비범함으로 거듭날 있게 되는 것이다. 그런 의미에서 "호랑이는 죽어서 가죽을 남기고 사람은 죽어서 이름을 남긴다"라는 격언은 "호랑이는 죽어서 가죽을 남기고 사람은 죽어서 기록을 남긴다." 바뀌어야 한다.
 
주) 에빙하우스의 망각곡선


망각곡선4.jpg
 

망각곡선5.jpg


IP *.109.24.41

프로필 이미지
유재경
2011.06.05 22:46:05 *.35.19.58
나도 기록하는거 참 좋아하고 일가견이 있다고 생각했는데 경인이는 못 따라 가겠네.
학창시절 편지부터 친구와 주고 받은 쪽지, 97년 처음 직장생활하면서 작성한 업무 수첩까지 다 가지고 있거든.
요즘도 그런 생각을 한다. 단군일지를 쓰면서 이런 기록들을 나중에 읽어보면 많은 것들을 내게 일깨워줄거라는.
<난중일기>를 읽으면서도 일상의 기록이 얼마나 중요한지 알겠더구나.
나는 죽어서 어떤 기록을 남기게 될까?
프로필 이미지
2011.06.06 05:30:22 *.109.24.41
뭐든지 쟁겨두는 것도 참 중요한데,
그것을 후에 어떻게 활용하느냐가 참 제겐 어려운 것 같아요 누나.
책도 먹어치우듯 읽어 버리고 나면 끝.
메모나 필기도 한 번 받아적은 다음 끝.
시간이 많이 지나버리면 펼치기도 싫어지지요.
그래서 에빙하우스의 법칙을 활용해서 기억이 희끄무레 해질 때 쯤 다시 펼치고
갈무리 하는 습관을 기르면 우리같이 평생을 배우는 사람들은
엄청나게 강력한 도구가 되지 않을까 싶어요 누나.
프로필 이미지
강훈
2011.06.06 07:08:26 *.69.251.200
'메모' 혹은 '기록'과 관련한 책의 서문을 보는 듯해.
운전을 하다가도, 길을 걷다가도, 아침에 의식이 돌아오기 전 몽롱한 상황에서 번뜩이는 생각들을
경험한 적은 모든 범인에게 한두번씩은 있는 경험일거야. 
하지만 생각해보면 그것을 잘 기록해 두는 사람은 없을 뿐더러,
그것을 쫓아 뭔가를 모색해 보는 사람도 없을 것이야.
그래서 대부분의 사람들은 비슷한 깊이와 아이디어로 살고 있는지도 모르지.

기록을 잘 하는 것은 경인이 글에서처럼 위대한 사람들에게는 어떤 필수적인 도구인것 같아.
나도 항상 수첩은 가지고 다니는데, 생각들이 그곳에 살지 못하고 그냥 생각으로만 머무를 때가 아직도 많지.
습관이 되어 일상이 되는 것은 모든 것에 있어서 '시간', '노력', '집중', '본성과의 거스름'등등
많은 것을 요구하는 것 같아.

시간이 조금 지나서 <메모의 활용>이라는 경인이의 글을 볼 것 같다는 생각이 드는 구나.
프로필 이미지
2011.06.06 11:59:47 *.109.24.41
실용서 삘의 글을 쓰려던 생각은 아니었는데
그런 류의 글이 되어버린 것 같아요.
형님 말씀처럼 습관으로 만들어 일상화 시키고자 하는 것들은
시간, 노력, 몰입 등의 많은 정신적 자원들을 필요로 하지요.
그렇지만 그것은 마치 우주선을 우주 밖으로 쏘아올릴 때 엄청난 연료를 필요로 하는 것과 같지요
그러나 그 에너지는 대기권을 다시말해 지구의 중력을 벗어나기 위해 필요한 최소의 에너지이지요
대기권을 벗어나면 아무런 힘 없이도 자유롭게 우주 공간을 활보할 수 있는 것처럼
힘겹게 습관으로 근육으로 길러 놓으면
우리는 무림 고수가 극학 기예를 자유자재로 구사하듯
우리 삶에 좋은 습관하나를 체득하게 되는 거겠지요?

결국 우리가 기록을 하는 건, 좋은 습관을 체득하려고 애쓰는 것은
북극성 아래, 강들이 모여드는 바다 위에 이르는 길을
좀 더 현명하게 이르기 위함이 아닐까요? ^^
프로필 이미지
2011.06.06 10:19:02 *.108.3.39
역시 경인이의 글에는 경인이가 담겨져 있구나 
많이 배우고 간다. 
너의 글은 누구가의 삶을 한 단계 업그레이드해주는 
그런 마력이 있어
멋져 ~!
프로필 이미지
2011.06.06 12:01:28 *.109.24.41
늘 고민해요 누나.
나의 글을 나와 세상 사이 어디에 위치시켜야 할지 말이에요.
지금은 그저 의도적으로 제 내면에 가까이 위치시키려고 하는데,
아직은 다른 사람들의 생각에 쉽게 함몰되네요.
불영과불영
웅덩이를 채워야 앞으로 나아갈 수가 있는데,
채워야 하는 깊은 웅덩이가 너무 많네요.
고마워요 누나 ^^
프로필 이미지
미나
2011.06.06 11:09:06 *.203.135.2
나는 메모만 하고 다시 보지 않는게 문제였구만요...ㅎㅎㅎ.. 그래서. 어느 순간.. '메모해서 뭐하나..'란 생각이 들어서 기록 잘 안하고 있는데.. 다시 기록의 습관을 좀 만들어봐야겠네요.. ^^
프로필 이미지
2011.06.06 12:02:19 *.109.24.41
ㅋㅋㅋ
정말로 기록하는 습관을 만드는지
우리 수련일지를 얼마나 꾸준히 쓰는지 지켜보겠어!
매일의 힘을 믿어 보자 우리! ^^
프로필 이미지
2011.06.06 18:23:47 *.139.110.78
메모의 중요성은 알고 있지만 처음에는 기억할 수 있을 거란 생각에 안하고,
그 다음엔 귀찮아서 안 하고 그랬었는데 메모의 중요성을 경인의 글에서 다시 한번 느끼네.
'열정과 기질'에서 주제와 잘 맞는 것들을 잘 찾아냈네. 이미 토피카 노트를 잘 사용하고 있나보다. 
나도 해봐야 겠다. 이번에도 행동해야 할 거리를 던져주는 구나. 고맙다^^
프로필 이미지
2011.06.07 17:20:17 *.124.233.1
나도 아직까지 잘 지키지 못하고 있어..^^;;
TOPICA노트는 꾸준히 관리하려고 하는데 쉽지가 않다.
이것도 일종의 습관의 힘을 빌려야 하는 것 같아.
마음을 이끄는 것을 관심 테마 아래 갈무리 하면 되는데
우리의 귀차니즘은 그걸 못한다.
바로 그 찰나, 작은 각도가 큰 차이를 만드는 것 같어.
우리 잘 실천해 보자! 고마워 미선! ^^
프로필 이미지
2011.06.06 18:45:34 *.166.205.131
실질적으로 도움을 주는 글이구나.
이번주 나의 고민과도 맞닿아 있는 내용이라 더 그렇다.
모닝페이지를 써야겠다는 생각.
그래서 다시 <아주 특별한 즐거움>이란 책을 꺼내들었고
그 무의식에서 건져올린 것들을 의식적으로 잘 엮어
꾸준히 뭔가든 써야겠다는 생각을 했어.

네가 긴 글들을 술술 풀어 써내는 것이
매일의 모닝페이지와 수련일지의 힘인듯싶다.
다작이 예술가의 기본이라던데,
정말 그런것같아.
위대한 작품 하나만을 기다리며 사는 어리석은 사람은 되지 말아야지.

참 배울게 많은 경인이야~~ㅎㅎ
프로필 이미지
2011.06.07 17:21:49 *.124.233.1
제가 형에게 배우는게 훠어얼씬 더 많답니다! ^^
사우로써 우리가 매일 서로를 독려할 수 있는 것 중 하나가
함께 매일 오래 멀리 가도록 밀고 끄는 게 아닌가 싶어요!
아오~ 행님 보고 싶다! ^^
프로필 이미지
루미
2011.06.07 05:27:16 *.23.188.173
대학의 첫 수업때가 기억나네
고등학교 식의 수업에만 익숙해서 그저 멍하니 듣고만 있었더니
정작 중간고사 때 볼만한 것이 한 개도 없더라구요ㅋㅋㅋ
그래서 과톱의 노트를 복사했는데 그애는 거의 책 한권을 저술했더이다
연구원을 하면서 기록의 중요성을 느껴요 느낌을 메모해야 한다는 것도
나는 메모를 시작할 테니 내가 활용에 어려워할때쯤 오라버니가 도움을 주어요~ㅋㅋ
프로필 이미지
2011.06.07 17:24:03 *.124.233.1
루미큐브! ^^
광양가서 좋은 거 많이 보고 왔어?
거기도 이순신 장군이 활약했던 곳인데,
용니리 귀여운 하은이는 엄청 신나라 했겠다!
도움이라면 언제든지 ㅇㅋ ^^
프로필 이미지
2011.06.07 07:17:39 *.160.33.89
다뤄야할 좋은 주제다.  
나 역시 기록과 복원이라는 문제에 대해 생각해본 적이 있다.   나는 많이 기록하지 않는다.  기록한 다음에 보게 되지 않아서다.  잘 정돈된 기록만 한다.  그러니  우연히 나를 찾아 온 생각들이 많이 샌다.  아깝다.  그러나 나는 그 생각들이 언젠가 우연히 다른 모습으로 찾아 오기를 기다린다.   내가 노리는 것은 다시 찾아 와 재생되는 기억이다.   찾아 왔으나 잡아두지 못한 생각은 어쩌면 나의 것이 아닐 지 모른다.  언젠가 다시 찾아 올 때 나의 포충앙에 걸린다. 
나는 그 것에 대하여 길게 이야기 한다.  매일 아침 나의 글 속에서 그것은 부활한다.  그리고 그것은 책의 한 귀절이 된다.   매일 쓰지 못하면 기록은 재활되지 않는다.  기록의 습관은 메모가 아니다.  메모광을 보았다.   그가 가지고 있는 것은 꿰어지지 않은 구슬들로 가득한 지저분한 창고일 뿐이다.  기록이 매일  생각의 출발점과  실마리가 되게 해야한다.   완성도 있는 글로 살아나야 비로소 제대로 부활한 것이다.    메모하라.  그리고 다음날 아침 그곳에서 출발하여 생각을 확장하여  시작과 끝이 있는  글로 되살려라.    메모가 기록이 되고 기록이 글이 되게 해라. 그리고 글이 책이 되게 해라.    
프로필 이미지
2011.06.07 17:26:42 *.124.233.1
네 사부님!
형식이 본질을 앞서지 않도록 하겠습니다!
매일 의무감에 생각없이 끄적거리지 않고,
의미있는 기록을 생각의 출발점과 실마리가 되게 하여
매일 그 불씨를 이어가겠습니다.
메모를 기록으로 기록을 글로
매일 담은 그 글로 책을 쓰겠습니다. 
용맹정진 하겠습니다  사부님! ^^
프로필 이미지
이헌
2011.06.10 20:37:29 *.180.75.152
에공 댓글로 격려해줄려했는데 싸부님 댓글이 턱 달렸네^^
경인이의 사유가 날로날로 깊어져 응원하는 누나도 기분좋다 홧팅!!
덧글 입력박스
유동형 덧글모듈

VR Left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272 감성플러스(+) 잃어버린 신발을 찾아서 file [2] 자산 오병곤 2010.05.07 5288
» [평범한 영웅 010] 사람은 죽어서 기록을 남긴다 file [17] 김경인 2011.06.05 5305
270 어제보다 나은 식당(16) - 미래의 라이벌 벤치마킹(2) 박노진 2006.06.18 5315
269 (40)인터뷰5:양길용편-앞으로 나가는 힘은 내가 이룬 성취에서 나온다 [1] [2] 소은 2009.02.17 5318
268 내가 사랑하는 것들 100가지 [3] 콩두 2012.11.26 5320
267 어제보다 나은 식당(5) - 고객의 불평과 불만 박노진 2006.06.08 5321
266 노동과 경영 연재 3회 - 생산성 향상으로 나타난 시장의 현실(3) 박노진 2006.02.17 5325
265 '오랫동안 키웠으니까' 하는 착각 file [2] 타오 한정화 2014.10.23 5328
264 노동과 경영 연재 4회 - 노동절약기술의 발전과 노동운동의 아이러니한 동거 박노진 2006.02.17 5342
263 발표자료 file 박소정 2006.05.26 5359
262 시칠리아_김기담 file [5] 강현 2012.08.30 5364
261 꿈명함 만들기 file [14] 콩두 2012.09.17 5366
260 식당 비즈니스의 목적 박노진 2006.06.05 5367
259 어제보다 나은 식당(8) - 대박식당 엿보기 1 [1] 박노진 2006.06.10 5380
258 진나라의 승상 이사에게 보내는 편지 [6] id: 깔리여신 2012.09.03 5389
257 어제보다 나은 식당(10) - 식당의 발전, 식당의 미래, 종업원들에게 쏟는 시간이 얼마 박노진 2006.06.10 5391
256 감성플러스(+) 사소한 하루는 없다 file [1] 오병곤 2010.03.02 5393
255 #27. 생의 간결함을 추구하자. file [3] 땟쑤나무 2013.12.08 5393
254 연구원 과제 &lt;My First Book&gt; file 정경빈 2006.05.17 5400
253 No34. 반가사유상과 로댕의 생각하는 사람 file [2] 미스테리 2013.12.23 54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