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본형 변화경영연구소

연구원

칼럼

연구원들이

  • 양경수
  • 조회 수 4289
  • 댓글 수 10
  • 추천 수 0
2011년 6월 26일 23시 14분 등록

Episode #1

  나의 중학생 시절은 발을 헛딛는 것으로 시작됐다. 첫 조회였던가 입학식이었을 것이다. 운동장에 전교생이 모이는 행사였다. 좁은 운동장에 북적 북적대며 줄을 맞추고, 마이크 소리가 웅웅 울렸다. 반편성고사에 대한 상장을 받는 순서였다. 난 상장을 받게 되었고 담임선생님이 학생주임이라 여러 명의 학생들 중 내가 조회 단상에 올라가게 되었다. 그때 난생 처음 단상이란데를 올라가면서 발을 헛딛는 몸 개그로 전교생을 웃기게 된 것이다. 그 순간은 창피했지만, 왠지 마음은 편했다. 어쩌면 무의식이 일부러 발을 헛딛게 했는지도 모른다.

  국민학교 시절엔 공부란 것을 모르던 내가 중학교 반편성고사를 잘 보게 된 사건은 융이 유년시절 겪은 경험과 비슷하다. 국민학교 시절, 내가 살던 장위동, 번동 지역은 아직 논밭이 남아있던 서울의 북쪽 변두리였다. 친구들의 부모님들은 대게 맞벌이를 하셨기 때문에 방과 후에는 무조건 모여 골목을 누비며 놀러 다니는 것이 일이었다. 내 주변의 아이들만 그랬는지도 모르지만 학원 다니는 아이들은 거의 없었고, 공부에 신경쓰는 아이들도 별로 없었다. 초등학교 졸업식날이었다. 보통은 할머니랑 같이 잤었는데, 왠일인지 그날은 부모님과 동생과 한 방에서 잤다. 특별한 날이어서인가 밤에 잠이 잘 오지 않았고, 부모님의 대화를 엿듣게 되었다. 그때 난 아버지의 걱정을 들었다.

  "저 녀석, 어쩌려고 저러지? 공부를 전혀 안하나 보네."

  내가 졸업식 날 받은 상이 개근상 뿐 인 걸 두고 하는 말이었다. 다른 친구들은 뭔가 이것저것 상도 많이 받던데, 난 빠지지 않고 열심히 다닌 증거 밖에 남지 않았다. 카를 융이 간질병이 의심되어 집에 있을 때, 아버지의 대화를 엿 듯고 벼락을 맞은 듯 충격을 받은 것처럼 나또한 큰 충격을 받았다. 그 순간의 충격은 그 뒤 나의 학창시절을 규정했다. '공부를 해야 겠다'고 생각했다. 부모가 그걸 바라고 있지 않은가! 난 우리 동네 아이들 중에 유일하게 반편성고사 문제집을 사서 열심히 풀었다. 그 결과 조회 때 앞에 나가 상을 받게 된 것이다. 이건 나에게도 놀라운 사건이었다. 그런데 무의식이 말하고 싶었던 것은 무엇이었을까? 부모의 기대라는 현실과의 충돌로 인해 공부를 하긴 했으나, 그것만이 내 모습이 아니라는 것을 보여주기 위해 전교생이 보는 앞에서 발을 헛 딛은 것은 아닐까?

 

Episode #2

  중학교 시절, 전교생을 웃긴 또 다른 에피소드가 있다. 체육대회 때였다. 동네를 누비고 다녀 가벼운 몸이었던 나는 우리반 릴레이 두 번째 선수로 뽑히게 되었다. 우리 학교는 남자반 여자반이 나누어져 있는 남녀공학이었다. 내가 2학년 9반이었는데, 8반 여자반에 나를 좋아한다는 애가 있었다. 원래 그 시절엔 누가 누구를 좋아한다는 소문만 무성한 시절 아닌가. 달리기를 기다리는데 내가 뛸 방향에 그 반 아이들이 모여서서 나를 응원하고 있었다! 무척 긴장이 되었다. 무관심한 척, 신경 안쓰는 척 했지만 그 애들이 부르는 내 이름이 자꾸 신경이 쓰였다. 출발 총소리가 들리고 첫 번째 주자가 들어왔다. 릴레이는 바통 터치가 중요하다. 잽싸게 뛰어 나가면서 바통을 잡고 앞에서 나를 응원하며 환호하는 그 애들을 쏜살같이 지나갔다. 내 앞에는 아무도 없었다. 그 여자반 다음에 우리반이 모여 있었는데, 우리반 애들도 소리치며 막 난리다. 그런데 어떤 놈이 주전자를 나한테 던지는게 아닌가. 난 멋지게 주전자를 뛰어넘고 계속 발이 안보이도록 뛰었다.

  그렇게 1등으로 다음번 주자에게 바통을 전해주려 하는데 이게 웬일인가, 다음 주자가 손을 내저으며 바통을 안 받는 것이 아닌가? 뒤를 봤다. 아무도 따라오고 있지 않았다. 나 혼자 뛴 것이다! 누군가의 실수로 릴레이가 중단되었는데 난 그것도 모르고 반 바퀴를 혼자 전력질주를 한 것이다. 그때서야 나를 응원하는 줄 알았던 아이들이 나를 멈추게 하려고 소리를 쳤으며, 주전자를 던졌던 것임을 깨달았다. 내 머릿 속엔 모든 사람이 나를 보고 있는데 혼자 뛰고 있는 모습만 그려졌다.  그 뒤 그 릴레이가 어떻게 되었는지 기억이 나지 않는다. 지금 와서 생각해보면 이 황당한 경험도 무의식이 나만의 독특한 면을 보여준 것이며, 더 나아가 현실에 대한 규칙을 넘어서려는 모습을 보여주고자 한 사건으로 받아들인다. 적어도 나에겐 이 코메디같은 일화가 세상에 대한 저항의 모습을 상징한다.

 

Episode #3

  버스 안에서였다. 차가 신호에 걸려 정지해있었다. 지나가던 학생들의 얼굴을 멍하니 쳐다보며 상념에 빠졌다. 그런데 문득 이상한 질문들이 떠올랐다.(생각한 것이 아니라 떠올랐다는 표현이 정확할 것이다.)  '왜 나는 저 아이가 아니라 나로 태어났지? 내가 저 아이로 태어날 수 도 있지 않았을까?' 질문은 더 나아가 '그럼 나라고 의식하는 이 나는 뭐지?' 하며 '나'라는 존재에 의문을 가지는 생각들로 나아갔다. 내 인생에 처음으로 던진 철학적인 질문이었고, 아직까지도 그 때의 놀라운 느낌을 생생히 기억한다. 

  유년시절 칼 융이 돌 위에 앉아 돌에게 질문을 던졌던 것처럼 나는 버스 안에서 다른 사람을 바라보며 질문을 던졌던 것이다. 융은 돌과의 대화를 통해 영원한 것과 일시적인 것의 실재를 체험했다고 하는데, 나는 이 체험을 통해 영원한 것은 모르겠으나 최소한 내가 실체가 있는 존재라는 것을 명확히 체험했다. 그 사건 뒤로도 나는 여전히 덜렁거리며 실수도 많이 하는 아이였지만, 속으로는 진지한 아이가 되었다. 밤에 혼자 깨어 어둠 속에서 상념에 빠지기도 했으며, 이해도 못하는 도스토예프스키의 책을 붙잡고 끝까지 읽기도 했다. 융이 그랬듯이 나의 정신이 무의식적인 출발을 한 것이었다. 중학생 이후로 난 굉장히 종교적인 사람이 되었고, 영적인 것들에 끌렸었다.

무의식과의대화.JPG

<사진/양경수>


  이런 외적인 사건들과 내적인 체험들이 얽히고 설켜 지금의 내 모습을 만들었다. 돌아보면 외적인 사건, 그 자체 보다는 그것을 어떻게 내적으로 받아들였는지가 중요하다. 기존의 사회 조직에 그대로 들어가기는 하지만 내적으로는 저항하는 모습, 남과 다른 독특한 나만의 모습을 찾고자 노력하는 기질, 종교적인 것에 관심이 많고 근본적인 질문에 대한 답을 찾으려는 성향 등이 중학교 시절의 세 가지 일화를 통해 찾은 나의 모습이다. 이러한 기질과 성향이 타고난 것인지 만들어진 것인지는 잘 모르겠다. 다만 이 무의식의 표현 과정을 통해 참된 나 자신의 모습을 찾아 가고 있다는 느낌이 든다.

  칼 융은 자서전 첫머리에 이렇게 썼다.

  "나의 생애는 무의식의 자기실현의 역사다. 무의식에 있는 모든 것은 외부로 나타나 사건이 되려 한다."

  난 이 말을 거꾸로 적용해 외부의 사건들을 관찰함으로써 나의 무의식을 엿보려고 했다. 아직 깊고 통합적으로 이해하지는 못하지만 이런 사건들을 통해 내 안에서 무의식이 표현되었고, 그게 또 나의 개성이 되어 내 자아를 발달시켰다는 것은 알게 되었다.


  융 심리학의 중심개념을 '개성화'라고 말한다. 진정한 개성을 실현한다는 뜻이다. 융은 이 '개성화'를 위해 자신의 무의식에 관심을 두고 그 뜻을 이해해야 한다고 했다. 또한 무의식에 존재하는 가능성을 적극적으로 실천해야 '개성화'가 가능해진다고 주장했다. '개성화'는 인간이면 누구나 가지고 있는 욕망이다. '자기계발', '자기실현'의 욕구라고 생각해도 좋겠다. 융은 그것을 통해 흔들리지 않는 중심에 이르게 된다고 했다. 우리 변화경영연구소에서 하고 있는 '개인사' 쓰기가 '개성화'의 좋은 방법이 될 것이라고 생각한다. '개인사'를 쓰면서 내 삶의 무의식적인 표현들을 주의 깊게 바라보게 된다면 더욱 '융'이 말한 '자기실현'에 다가서게 될 것이다. 무의식과의 대화는 내가 어떤 사람인지 명확히 알 수 있는 방법이다. 그것은 내 세상을 만드는 첫 걸음이 되리라 확신한다.

IP *.111.51.110

프로필 이미지
루미
2011.06.27 00:18:40 *.23.188.173
오라버니도 융을 읽었구나........
오라버니 칼럼을 읽고 나니까.... 나 올릴 자신이 뚝뚝 떨어지는데......ㅋ
뭐지? 이 넘어설 수 없는 차이 같은 건 말이야?
나는 어렸을 적 유행한 철학책을 읽고 생각했었지.....
내가 뭐기는? 나지.... 그게 뭐 어떻다고~ 라고 말이야..ㅋㅋㅋ
암튼... 용기가 조금 사라지긴 했지만 타고난 뻔뻔함으로 그저 칼럼을 올려야 겠지요?
ㅋㅋㅋㅋㅋ 그게 나니까~
사진~ 넘흐 멋져~~ 항상 감탄해
프로필 이미지
2011.06.27 12:50:19 *.111.51.110
루미의 글을 읽고 왔는데,
나도 루미를 넘어설 수 없겠다 느꼈다.
우리 사이좋게 지내자.
우린 서로의 영역이 다르니까 힘을 합치면 더 큰 일을 할 수있을꺼야^^

프로필 이미지
강훈
2011.06.27 14:19:47 *.219.84.74
경수야.
네가 발을 헛딛는 모습에서, 주전자를 뛰어넘는 모습에서 왜 이렇게 웃음이 나오냐.
그리고 왠지 그 모습이 너랑 잘 매치가 되는 것은 또 무엇이냐. 

그런 소실 적 기억들을 잘 해석해 보는 것이 요즘 시간 날때 해보는 것인데.
융을 읽고 나서 하는 것이라서 더욱 어려운 것 같아.
마음만 무겁고, 해석을 되지 않고.
그런데 넌 가볍게, 그리고 경쾌하게 잘 해석했구나. 

암튼 너의 무의식은 엉뚱하게 웃기는 일면을 가지고 있구나. 
프로필 이미지
양갱
2011.06.28 09:45:43 *.111.51.110
해석은 나중이고 일단 글로라도 정리해야지라는 생각이었어요.
아직도 명확히 기억하고 있는 중학교 시절의 일화가 주는 의미가 있을꺼라 생각했죠.

배꼽잡을 정도로 재미있는 일이었는데, 글로 쓰니 생각보다 좀 밍밍하긴 해요~ ^^
프로필 이미지
유재경
2011.06.27 16:11:19 *.35.19.58
나는 지금까지 살면서 '내가 왜 태어났을까?'란 질문은 하지 않았다.
'이왕 태어난 거 잘살면 되잖아'했지.
 경수는 융과 이야기가 되는 사람인가봐.
그런데 나도 앞쪽 에피소드 읽으며 푸하하하 웃었어.
경수, 재미있네. ㅋㅋ
프로필 이미지
양갱
2011.06.28 09:47:49 *.111.51.110
저도 인생 뭐있어~ 그냥 잘살면 되지~ 하기도 하고
잘살려면 어떻게하지 라며 깊은 상념에 빠지기도 하는
2개의 인격을 가지고 있답니다.
재동누님의 유머에 따라갈 수야 없지만,
누님을 웃겼다니! 흐뭇합니다!!
프로필 이미지
미나
2011.06.27 17:24:45 *.142.255.23
뭔가..재미있는 일상의 에피소드와 무의식을 엮으니.. 무의식도 그렇고 융도 그렇고 쉽게 이해되는 느낌...

재미있어요!!! ㅋㅋ..
프로필 이미지
양갱
2011.06.28 09:49:48 *.111.51.110
재미있었다니~ 기쁘다!
더 깊게 통합되는 날을 위해
더 치열하게 연구원과정에 몰입해야 겠어.
그게 무지 재미있지 않냐!?
프로필 이미지
2011.06.28 15:49:55 *.124.233.1
마치 형 중학교 시절의 몸속으로 들어가
구령대에서 넘어지고,
반 바퀴나 돌고나서,
부끄러워 얼굴이 화끈거림까지 느끼게 되네요 ^^

전 융을 읽으면서 
제 직관 혹은 직감이 맞았던 순간
그리고 제가 꾸었던 꿈 중에서 기억나는 꿈들이 상징하는 것을 떠올려 봤어요.
그래서 제 꿈을 기억하고 기록해보려고 하는데 쉽지가 않네요 생각보다.
그래도 빙긋 웃으며 드는 생각은,
무의식, 꿈, 상징, 신화를 배우고 가슴으로 받아들임으로써
적어도 저는 제가 아는 것 보다 더 큰 존재이고,
더 전체적으로, 더 풍성하게 존재할 수 있다는 '가능성'을 느꼈답니다.
프로필 이미지
양갱
2011.06.28 18:23:14 *.166.205.131
'구령대'라는 단어가 있었구나! ㅎㅎ

무한한 가능성을 품고 사는 '평범영웅' 우리들!
그래 우린 위대한 인생을 살 수 있어~ 뭐든 할 수 있지!

근데, 오프수업날 찜질방 수다 어때? ^^
덧글 입력박스
유동형 덧글모듈

VR Left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2512 [Sasha] 컬럼13. 인류의 만다라 (Neti-Neti Circle) file [20] [2] 사샤 2011.06.27 3819
2511 13. 내 안의 쉴 곳을 찾아 [15] 미선 2011.06.27 2259
2510 나의 꿈 [10] 루미 2011.06.27 2383
2509 [늑대13] 그리움 하나 file [20] 강훈 2011.06.27 2163
» [양갱] 나의 중학생 시절 _ 무의식과의 대화 file [10] 양경수 2011.06.26 4289
2507 나비No.13 – 인간적인, 너무나 인간적인 인간 이순신 [8] 유재경 2011.06.26 3853
2506 13. 진짜 페르소나를 찾아서. [5] 미나 2011.06.26 2415
2505 라뽀(rapport) 57 - 오롯이 한길을 걷는다는 것 [1] 書元 2011.06.26 2105
2504 단상(斷想) 70 - 섬과 섬 사이에는 아무것도 없는 게 아니다 file 書元 2011.06.26 2388
2503 [평범한 영웅 013] 눈송이의 무게 [16] 김경인 2011.06.26 4699
2502 머슬 메모리 (Muscle Memory) 1-2 홍스 2011.06.24 3516
2501 푸루잔 스토리_7 홍스 2011.06.24 2221
2500 [이미지 사냥] 하루살이의 죽음 file [1] 한정화 2011.06.24 2744
2499 [Sasha] 컬럼12. 카오스를 품은 춤추는 별 file [16] 사샤 2011.06.20 3279
2498 [늑대12] 제 멋대로 사는 인생 [19] 강훈 2011.06.20 2170
2497 오빠와 나 [6] 루미 2011.06.20 2306
2496 12. 때론 웃음에도 몰입이 필요하다. [10] 미선 2011.06.20 2115
2495 12. 그림그리기에 대한 욕망 [12] 미나 2011.06.20 2219
2494 [양갱] 젊은 배기태의 열정 file [12] 양경수 2011.06.19 3378
2493 나비No.12 - 아버지의 소망 [10] 유재경 2011.06.19 375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