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본형 변화경영연구소

연구원

칼럼

연구원들이

  • 강훈
  • 조회 수 3387
  • 댓글 수 15
  • 추천 수 0
2011년 7월 18일 07시 23분 등록

늑대는 개과에 속하는 무리동물이다. 하지만 가끔 무리생활에서 떨어져 나온 외로운 늑대가 생기게 된다. 몸이 약해서 무리에서 낙오되거나 혹은 '왕따'를 당하여 홀로되는 경우가 대부분이기는 하지만 아주 희귀하게 개성이 강해서 무리로부터 스스로 떨어져 나오는 경우도 있다고 한다.

대부분 홀로된 늑대는 오래 버티지 못하고 죽음을 맞이하게 된다. 그래서 권력투쟁에서 패한 보스 늑대들도 구차하고 비참한 삶일지라도 가능한 무리에서 벗어나지 않으려고 한다.

하지만 이런 외로운 늑대들 중에서 극한 상황을 견디고 살아남는 늑대들이 있다. 오랜 시간을 특유의 강한 생존력으로 견뎌내고, 어느 순간 다른 늑대 무리의 보스로 변신하는 것인데, 기존 무리의 보스와 싸워 권력을 쟁취하는 것이다. 자신만의 생존력을 가지고 죽을 것 같은 고통과 시련을 이겨낸 내공이 그를 새롭게 살게 하는 것이다. 내 마음에 있는 <외로운 늑대>의 메타포이자 내 삶의 모티프이기도 하다.

 

언젠가 사부님께서 '댓글'을 통해 이런 말씀을 해주셨다.

견딤은 3가지를 포함한다가난, 고독, 비존재감  그것은 아무 것도 하지 않은 것이 아니다.

가난하고 고독하고 비존재감 속으로 상징되는 10년 동굴 생활이 지나면 자신의 세계를 가지게 된다. 내 마음대로 할 수 있는 내 세상 하나그때 밥과 존재가 화해하여 하나가 된다.

나는 사부님의 말씀을 통한 배움 하나를 흔쾌히 내 마음 깊이 찔러 넣었다. 그것은 내가 앞으로 그러하리라는 다짐이기도 했다.

 

요 며칠간의 마음이 공허하다. '공허하다'라는 마음자리를 찬찬히 들여다 보니 '무언가 채우려 하는데 채워지지 않는 허전함, 그 빈자리를 물끄러미 바라보는 그리움' 같은 것이 공허함의 배후에 있는 것을 느낄 수 있다.

아무튼 이런 공허함의 원인은 요즘 생각하고 있는 '생존 혹은 생존력'이라는 화두에 있다. '홀로된 늑대를 죽지 않고 살게 하는 힘, 나에게 그것이 무엇인가'라는 물음에 답하지 못하고 있기 때문이다. 가난, 고독, 비존재감을 견디면서 '바라는 하나'는 무엇인가.

그냥 막연하게 나섰던 길인데 이제는 자꾸 어디로 가고 있는지를 묻는 마음 속의 질문에 답을 못하고 있는 당혹감 같은 것이 있다.

 

무엇으로 살 것인가. 나를 설레게 하는, 나를 기쁘게 하는 세 가지 <, , 소통>을 찾았는데 이것들을 무엇을 향해서 정렬시킬 것인가. 이 물음에 대한 답이 나의 직업, 나의 경쟁력에 대한 열쇠가 될 터인데 쉽지가 않다. 이런 물음을 앞에 두고 있으니 생각하는 이야기가 있다.

 

치타에 대한 이야기이다. 치타는 우리가 알다시피 땅 위에서 가장 빠른 동물이다. 시속 110120㎞를 거뜬히 달려 사냥감을 잡아채는 것으로 그 이미지가 선명하다. 치타의 이런 속도의 경쟁력은 정글에서 아주 중요한 핵심이라 할 수 있는데, 역시나 치타의 사냥 성공률은 다른 맹수에 비해 두 배에 이른다고 한다.

치타의 이런 속도는 처음부터 유전적으로 만들어진 것이 아니라 오랜 세월 '가젤 영양'이라는 몸집이 작고 속도가 빠른 먹잇감을 향한 유전적 변이이자 진화라는 것이다. 아무튼 그는 세월을 따라 '필살기'를 만들면서 ‘바람의 파이터’가 된 것이 틀림없다.

_113KM~1.JPG 

나에게는 가젤영양이라는 먹잇감이 보이지 않는다. 나를 진화시킬 그 무엇을 찾지 못하고 있어서, 필요한 생존력을 어디에 집중해야 할지 정하지 못하고 있다.

이런 답답함의 원인은 많이 있겠지만 지금까지 살아온 삶의 진화가 너무나 제한적이어서 유전적 다양성이 나에게는 결여되어 있다는 것을 느낄 수 있다. 다양한 환경에 스스로를 노출시키지 못하고 안전한 곳만을 지향하여 살아온 삶은 동물원의 우리를 벗어난 나에게 정글에서 생존할 수 있는 생명력을 부여하지 못하고 있는 것이다.

 

스스로 먹잇감을 잡아채기 위한 고민과 진화가 없었으니, 어느 날 찾아나선 울타리 밖의 삶에 당혹감을 갖는 것은 당연한 것이라고 한편으로 스스로를 위로한다.

하지만 이런 위로가 먹잇감을 쥐어주지는 못한다. 동물원에서는 적당한 긴장감과 적당한 포만감이 삶을 위로할 수 있었지만 정글에서는 '적당함'이 통하지 않는다는 것을 알고 있다. 이제 폼이나 위세는 중요하지 않다. 생존이 문제이기 때문이다. 동물원에서는 으르렁거리는 위세가 사자에게 먹잇감을 주는 경쟁력이었지만 정글에서는 위세를 부린다고 으르렁거릴수록 사냥감은 더 멀리 달아나기 마련이다. 지금까지 나를 지배했던 법칙을 버리고 정글에서 살아남을 수 있는 본성과 비기(秘器)를 살피어 깨우는 일부터 시작해야 할 듯하다.

 

가젤은 치타보다 빨라라 살수 있고,

치타는 가젤보다 빨라야 살 수 있다.

이것이 지금 내가 보는 정글의 법칙이다. 나는 무엇보다 빨라야 하는가. 이것은 내가 다시 태어나느냐 그렇지 않느냐를 결정하는 중요한 물음이다. 이런 물음을 앞에 두고 나의 고민이 깊어지고 있다. 이런 저런 고민과 생각 속에서 외로운 늑대의 하루가 지나가고 있다. 그 하루에는 지금의 고통과 견딤이 남들은 흉내내지 못할 나만의 생존력을 만들어 주고 있다라는 위안과 믿음이 존재하고 있다.

지금의 길은 사부님께서 알려주신 견딤의 지혜와 뚝심이 필요할 때이다.
그러나
그 견딤은 막연한 기다림이 아니라 치타가 '바람의 파이터'가 되게 하는 매일의 진화를 전제로 하는 것이어야 한다. 그래서 외로운 늑대가 고독을 통해 무리의 제왕이 되고, 외로움을 통해 홀로 우는 울음을 합창으로 바꿀 수 있는 것이리라.

 

IP *.69.251.200

프로필 이미지
미나
2011.07.18 07:45:31 *.38.222.35
저 치타 사진 참 멋있다~~!! 생동감 넘치고, 군더더기 없는 몸매가 얼마나 열심히 먹잇감을 찾아 뛰어다녔는지 보여주는듯...

나도 한동안 공허함과 무기력함에 빠져 허우적거렸는데.(물론 아직도 여전히.;;;) 물론 훈 오라버니랑은 다른 차원이겠지만..ㅋㅋ..

왠지 지금 훈오라버니를 보면 이미 조금씩 자신의 무리를 만들어가고 있다는 느낌이 드는데.
외로운 늑대 스스로도 자신의 생존력과 무리를 찾았다는 느낌이 드는 날이 빠른 시일 안에 찾아들기를 !!!^^

기운내세염!! ^______________^ 땡7이가 항상 옆에서 응원합니다.ㅋ
프로필 이미지
늑대
2011.07.19 10:57:36 *.163.164.178
철학은 존재를 묻게 한다.
하지만 존재를 물으니 자꾸 공허해진다.
그러나 공허함을 단순히 허전하게 놓아두지 않는다면 언젠가는 가슴뛰는 충만함을 얻을 수 있으리라.

매일 조금 진화하는 것이 유일한 답이다.
그것이 약이 될지 독이될지는 그 끝에 가서야 알 수 있겠지. 
프로필 이미지
미옥
2011.07.18 10:38:00 *.237.209.28
師友, 고민의 궤적을 공유하는 사람들이란 뜻이겠죠?

한참 저를 힘들게 하던 주제네요. 
하지만 일단 여기까지 오셨다면 우선 축하드려야할 것 같은데요. ^^

사람 수만큼이나 다양한 해법이 존재하겠지만
전 어렵게 생각하지 않기로 했어요.

결국 정해진 목적지까지 무엇을 타고 가느냐의 문제인 거잖아요.
당연히 바로 눈앞에 보이는 '무언가'를 타고 가야겠죠? 그게 뭐든 말이죠.
 
지금 자신의 손을 기다리는 '현실적' 문제가 무엇인지 살펴보는 것도 좋은 방법인 것 같아요.
바로 내 앞에 놓인 '현실적 문제'야말로 내가 타고 갈 수 있는 유일한, 그러나 가장 효율적인 수단이라고 믿거든요.
'현장'이 중요한 것도 이런 이유때문이겠죠?

참고로 저의 메인현장은 '가정'입니다.
아내로서, 엄마로서 풀어야할 문제들을 '사람'들이 정해준 방식이 아니라 '나만의' 방식으로 풀어가는 것이
저에게 주어진 숙제이자 놀이죠. 
읽고, 생각하고, 실험하고, 기록하는 저만의 방식으로 신나게 놀이를 즐기다보면
나도 모르게 '그곳'에 도착해있지 않을까 믿고 있습니다. 
아니 어쩌면 '그곳'에 도달할 수 있는가는 하늘의 영역인지도 모르죠.
그치만 마음을 다해 이 숙제를 풀어갈 수 있다면 적어도 제 삶에 대한 후회는 없을 것 같습니다.

늑대님의 현장은 어디인가요?  
 
프로필 이미지
늑대
2011.07.19 11:03:40 *.163.164.177
여기까지 왔다는 것을 인정해주시니 조금씩 진화하고 있는 것이네요.
변화하고 있다라고 생각하는 믿음과 같은 것이지요?

내용없는 사고는 공허하고 개념없는 직관은 맹목이다. <칸트>

맞아요. 묙선배의 말처럼 현장을 찾는 것이
사고의 공허함을 방지하고,
맹목으로 흐를 수 있는 직관에 올바른 칸트적 '인식'을 부여하는 시작이라고 봐요.

선배도 매일 진화하고 계시죠. 글에서 어렴풋이 보고 있습니다.
감사~~~~
프로필 이미지
양갱
2011.07.18 11:48:16 *.166.205.132
내가 느끼기에 형의 먹잇감은 '첫 책'이 아닐까 싶네요.
<책, 글, 소통>이라는 형의 기쁨의 도구를 사용해 잡아야 할 첫 먹이!
그 놈 아닙니까? 
잘하고 계시잖아요!
화이팅입니다! 땡7이를 믿고 뛰삼!
프로필 이미지
양파
2011.07.19 11:20:03 *.166.205.131
거의다 가신거에요~~
일단 쓰세요!
프로필 이미지
늑대
2011.07.19 11:05:30 *.163.164.177
아!! 그런데 뭘 쓰냐고~~~~~~~~~~~~~~~???

나의 먹잇감이 '고기'인 것은 알것는디
'고기'중에서 어떤 놈인지는 도통 모르겄다.

양갱아. 답답허다.
프로필 이미지
2011.07.18 14:19:22 *.45.10.23
오빠는 엄살이 심해요 ㅎㅎㅎ
저같은 사람은 어찌하라고.. ^^;
힘내세요 에네르기파로 기운 가득한 응원 보내요~!
양갱오라버니처럼 저 역시 오빠의 첫 책 무지 기다리고 있습니다~

emoticon
프로필 이미지
늑대
2011.07.19 11:08:31 *.163.164.177
뭣이?? 엄살이라고?
이번 주 금요일~일요일 <나를 찾아 떠나는 여행>에 입소?하는데
나를 찾을 수 있을지 심히 의문스럽다.
음식 재료는 이것 저것 주섬주섬 준비했는데
무엇을 만들지 몰라 두리번 거리는 마음 같은 것이다.

엄살아니다 잉!!!!!
프로필 이미지
2011.07.18 14:39:27 *.124.233.1
아! 형님 닉네임이 '늑대'라는 사실을 잊고 있었습니다.
선한 인상과 부드러운 목소리만 생각하고 나무같은 사람이라 생각했었거든요.

부드러운 인상, 부드러운 글 뒤에
야성의 뜨거운 피가 흐르고,  번뜩이는 동물적 본성이 느껴집니다.

'외로운' 잠행의 시간이 곧 지나가고 나면
그 동안 갈고 닦은 비기를 통해
가젤같이 재빠르게 도망치는 첫 책 사냥에 성공하리라 믿습니다! ^^
프로필 이미지
늑대
2011.07.19 11:13:29 *.163.164.179
경인아!! 사랑하는 아우야!!
꾸준히 가자. 끊임없이 조금씩 진화하자.
사부님이 너에게 말씀하셨듯 '도시 속에서 만들어 가는 너만의 월든'을
매일 나무 한그루 살피듯이 그렇게 만들어 가자.

글을 쓰다보니 '외로운 잠행'과 같이 오늘이 표현되기도 하였다만
나는 매일 걷는 이길이 즐겁고 재미있다.
처음부터 나는 이곳에 금광이 있다라고 기대하고 오지 않았다.
나는 함께 걸어갈 수 있는 길이 있다라고 보았다.

그 길을 동행하는 벗과 스승이 있어서 즐겁고 재미있다.
네가 있어서 더욱 의미있는 길이 되기도 했다.

동상~~~ 힘내시고, 사뿐히 걸어 가소~~~
프로필 이미지
글쎄요..
2011.07.19 09:49:02 *.104.207.204


..당신은 꽃 속에 숨었습니다.
아닙니다.
한 잎의 꽃 이파리 속에 당신이 숨었습니다.
흥분의 도가니지요. 환희와 희열, 가식과 억압으로부터 터지는 봇물 같은 자유가 꽃이지요.

캄캄한 죽음이지요.

미치지 않고 어찌 저 꽃들을 본 답니까.
세상으로 이어진 모든 끈을 놓는 아름다운 자유,
나를 풀어버리는 해방,
견디고 참을 수 없는 광기,

그게,꽃입니다. 이승도 저승도 없는, 삶과 죽음의 입술이 닿는
완벽을 향한 저 찬란한 죽음 같은 것이. 꽃입니다. 당신은, 당신이....

지금 꽃입니다.

.. 김용택 님의 글에서 퍼 왔습니다. 늑대님에게는 존재를 아우르는 고민.의 시간이실 지금을..
비슷한 상황으로 공감하는 1인.. 이어서일까요^^ .. 그래서 보내드립니다.. 꽃 ..내 맘대로..  ㅎㅎ
아.. 지금 살아있는 것들은  모두 아름답다 ..  그래서 .. 말했습니다.. 내 맘대로..ㅎㅎ
emoticon


프로필 이미지
늑대
2011.07.19 11:25:39 *.163.164.176
자연은 무심하지만
인간은 유심하여 보는 것 마다에 마음을 불어 넣는다.

생에 대한 유심(有心)으로 시작했던 길이
땀 뻘뻘 흘리며 걷는 길의 한가운데 있게합니다. 

왜 이 길에 있는가를 생각해보니
'감탄'하고자 하는 삶의 욕구가 생각납니다.

왜 사냐구요?
행복하려고 삽니다.
행복할때 우리는 '오호~~'하며 감탄합니다.
왜 사냐구요?
감탄하려고 삽니다. 
길 위를 걷다보니 주저 앉아 있을때 보다 감탄할 일이 많아서 좋습니다.
행복한 것이지요.

감탄하는 하루 되시길 바랍니다. 
들러주셔서 감사합니다.
프로필 이미지
2011.07.20 10:06:41 *.160.33.89

치타를 잘 보아라. 
먹이를 잡으려면 빨라야한다.  발과 다리는 재능이다.
근접하여 숨통을 물어 쓰러 뜨려야한다.  목에 박혀 빠지 않은 강한 이빨과 근육이 있어야 한다.  이빨이 필살기다.  
글쓰기는 재능이고 책은 이빨이다. 
그 책으로 네가 한 분야의 전문가 임을 입증시켜야한다.  
알아서 쓰기도 하지만 쓰다보면 깊이 알게 된다.  그러니 책은 네 분야의 리서치며 전문가되기 위한 수련이다. 
   
프로필 이미지
강훈
2011.07.26 14:47:31 *.163.164.178
과거의 배움과 경험에서 정수를 뽑아 내어,
미래의 희망과 바램에서 진정성을 추려내어,
세상의 목소리에 가만히 귀 기울여,

만나는 지점에서 나오는 좋은 글을 쓰도록 노력해보겠습니다.
사부님 감사합니다.
덧글 입력박스
유동형 덧글모듈

VR Left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2552 성공 키워드 아줌마를 보라 - 2. 카멜레온의 도발 書元 2011.07.24 2125
2551 단상(斷想) 74 - 의기천추(義氣千秋) file 書元 2011.07.24 3001
2550 응애 75 - 어떤 출판 기념회 [14] 범해 좌경숙 2011.07.21 2186
2549 응애 74 - 마케팅 [6] 범해 좌경숙 2011.07.19 2653
2548 [Sasha] 컬럼16. 천상의 음악 듣기-자유의 그 길 위에서 file [6] 사샤 2011.07.18 2916
» [늑대16] 외로운 늑대 이야기 file [15] 강훈 2011.07.18 3387
2546 나비 No.16 – 철학과 여자 file [5] 유재경 2011.07.18 4062
2545 16. 전문가가 된다는 것은... file [8] 미선 2011.07.18 2354
2544 16. 소크라테스의 죽음에서 얻는 삶의 지혜 [8] 미나 2011.07.18 2411
2543 미움을 사랑으로 내쫓기 - 용서 [6] 루미 2011.07.18 2014
2542 [양갱] 니가 진짜로 원하는게 뭐야? file [10] 양경수 2011.07.17 3604
2541 성공 키워드 아줌마를 보라 - 1. 학습된 본능의 차이 書元 2011.07.17 2288
2540 단상(斷想) 73 - 빨래 file [1] 書元 2011.07.17 3993
2539 [평범한 영웅 016] 고달픈 삶에 대한 해독제 file [10] 김경인 2011.07.17 4527
2538 강을 거슬러 하늘로 오른 걸음, 천상데미 file [2] 신진철 2011.07.15 2368
2537 [07] 라디오 스타 [7] 최우성 2011.07.13 2150
2536 [Sasha] 컬럼15. 지금의 나를 만들어 온 가장 중요한 경험 (7월오프수업) [4] [1] 사샤 2011.07.13 2088
2535 15. 세 가지 사건과 나의 미래 미선 2011.07.12 2003
2534 15.지금의 나를 만들어 온 가장 중요한 경험 3가지 [2] 미나 2011.07.12 2973
2533 [양갱] 내 인생의 경험을 바탕으로 꿈꾸는 미래 모습! 양경수 2011.07.12 418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