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본형 변화경영연구소

구본형

구본형

개인과

/

/

  • 구본형
  • 조회 수 7227
  • 댓글 수 5
  • 추천 수 0
2010년 5월 11일 06시 12분 등록


   여기 한 생명체가 있다. 그것은 시력을 가지고 있지 않다. 그러나 자신이 부딪히는 물체들이 무엇인지 알고 싶은 막연한 욕구를 가졌다. 이 막연한 욕구가 마침내 눈을 창조해 내는 노력들을 이끌어 냈다.  드디어 이 생명체는 눈을 가지게 되었다. 이것이 창조적 진화다.

  진화는 예술가의 작품 활동처럼 진정으로 창조적인 과정이다. 활동하려는 충동, 막연한 욕구는 이미 존재한다. 이것이 본능이다. 그러나 욕구가 충족되기 전까지는 욕구의 대상이 무엇인지 그 본성을 알 수 없다.  목적이 미리 알려져 있지 않기 때문에 진화는 목적을 가지고 있지 않다.  막연한 욕구가 눈을 만들어 내기는 했지만, 미리 그것을 상상할 수는 없었다. 따라서 진화의 과정은 예측할 수 없다. 이것이 바로 앙리 베르그송의 진화론의 핵심이다.

  나는 오늘 생각한다. 우리는 욕망한다.  그러나  그 욕망의 대상의 본질에 대해서는 잘 알 수 없다.  우리는 하고 싶은 일을 하며 살고 싶다.  그러나 그것의 본질이 무엇인지는 알 수 없다. 우리는 잘하는 일을 하며 살고 싶다. 그러나 그것의 본질이 무엇인지 알 수 없다. 우리에게 욕망은 있으나 그 욕망의 대상이 미리 알려져 있지 않다.  우리의 삶이 창조적 진화 과정을 거치려면 본능에서 직관으로 도약할 때 최고의 상태에 이르게 된다.  베르그송은 말한다.  "직관이란 사심없이 자신을 의식하고, 대상에게로 무한히 확장할 수 있는 본능"이다. 

  우리가 만나는 세상을 알고 싶어하는 욕망이 정말 눈을 만들어 냈으면 좋겠다. 그러러면 그 욕망의 맥박이 커야하고, 오랫동안 끈질겨야 할 것이다.  그리하여 눈이, 맑은 눈이 생겼으면 좋겠다.

IP *.160.33.180

프로필 이미지
조현희
2010.05.12 09:24:21 *.106.111.211
어제.....5월 11일 수원청소년문화원에서 강사님의 강의를 들었습니다.
주부잠으로 오프닝을 시작하셔서 무라카미 하루키의 이야기......그리고 프랑스 철학자 앙리베르구송의 이야기...
열망으로 가득한 저에게 한 마디 한 마디는 놓칠 수 없는 말씀이였습니다.
 특히나 무엇을 하고 살고 싶으며...무엇을 좋아하는 지..무엇을 잘하는지.....
그것을 찾아가는 방법과 선택...집중은....절 많은 생각을 하게 해 주었습니다.
다시 뵈올 수 있다면..다시 듣고 싶은..그런 강의 였습니다.
너무 감사드리며 오늘 햇살처럼....강사님의 그 고유한 미소,....... 함께 하고 싶습니다.^^*
프로필 이미지
구본형
2010.05.12 11:02:09 *.160.33.180

강연장에 수백명이 앉아 있으면 꽃이 핀 듯 합니다.   그 중에 유난히 크고 환한 꽃이 있게 마련입니다.  그때 내 눈에 그 환한 빛이 틀림없이 보였을 겁니다.  그 힘차게 반응하는 빛 때문에  무대에 있는 사람은 최선을 다하게 되는 것이랍니다.  강연이 좋았다면 그건 틀림없이 그런 빛들 때문에 그랬을 것입니다.   고마운 일입니다.    
프로필 이미지
indy
2010.05.12 16:43:37 *.218.163.100
이것 참 놀랍고도 무서운 글이네요.
그렇게 느껴졌습니다.
프로필 이미지
2017.03.19 15:57:03 *.212.217.154

간절하고 절실함으로 다가갈 때 이룰 수 있겠지요.

그것의 다른말이 직관이 아닐까요?

주변의 이런 저런 풍파에 흔들릴 수록

내면의 목소리로 귀 기울여 봅니다.

프로필 이미지
2018.11.22 21:44:21 *.212.217.154

끝까지 제 욕망을 놓치지 않기위해 발버둥 쳐 왔습니다.

그 결과일까요?

이제 작은 빛이 보이기 시작합니다.


아직 뚜렸하지는 않지만, 희미하게나마

그 욕망이 서서히 그 구체성을 보여주기 시작합니다.


그 욕망이 나를 어디로 데려갈 지 알수없지만,

그 기분좋은 두근거림을 따라가다보면

분명 멋진곳에 이를것임을 의심하지 않습니다.

덧글 입력박스
유동형 덧글모듈

VR Left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423 자신을 실험하라 그것이 가장 잘 배우는 방법이다 [2] 구본형 2004.06.06 7288
422 휴먼 네트-인간에 대해 아는 것, 그것이 함께 잘 지내는 요결이다. [3] 구본형 2003.12.26 7293
421 당신의 파라슈트는 어떤 색깔입니까 ? [4] [1] 구본형 2006.01.15 7299
420 어려서 감꽃을 줍던 손으로 이제는 돈을 세고있네 [2] 구본형 2002.12.25 7306
419 변화의 의미 - 변화하지 않을 때의 기득권과 변화할 때의 혜택 [2] [1] 구본형 2002.12.25 7309
418 소년의 기쁨으로 살 일이다 file [3] 구본형 2009.08.25 7309
417 어떤 사람을 믿을 수 있을까 ? [2] 구본형 2006.05.08 7310
416 터닝 포인트 5- 영원히 살 것처럼 꿈을 꿔라 [4] 구본형 2009.06.02 7314
415 영원한 초보, 그것이 창조적 전문가의 정신이다 - 생각탐험 6 [4] 구본형 2010.04.27 7314
414 먼저 믿게한 다음에야 설득할 수 있다 [5] 구본형 2005.08.30 7315
413 길현모 선생님, 중요한 길목마다 그 분이 거기 서계셨다 [8] 구본형 2006.07.22 7315
412 비즈니스 미덕- 하나의 기본, 두 개의 원칙 [4] 구본형 2008.04.04 7316
411 미침에 대하여 [4] 구본형 2007.05.16 7321
410 경영의 민주주의를 믿어라 file [5] 구본형 2009.09.09 7323
409 ‘제법 똑똑한 파리’ 이야기 - 3 개의 좌표 [5] 구본형 2006.03.22 7326
408 프리에이전트의 시대가 오고 있다 [2] 구본형 2002.12.25 7336
407 꽃은 하루 밤 사이에 피고 버드나무는 하루 밤 사이에 푸르러 진다. [2] 구본형 2007.03.12 7343
406 기업의 사회적 책임 경영 [2] 구본형 2007.09.28 7347
405 자신만의 방식이 없으면 재물을 모을 수 없다 [2] 구본형 2005.10.01 7349
404 인간은 예감이며 시도이다 file [5] 구본형 2009.08.29 735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