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구본형
- 조회 수 6735
- 댓글 수 2
- 추천 수 0
인생과 자연을 바라보는 인디언의 지혜
베어 하트, 황금가지, 1999
동아일보 '구본형의 자아경영' 4월 20일 , 2000
누군가 바람이 한 말을 전하고, 강물이 전해준 이야기를 나누어주고 나무가 생각하고 있는 것을 들려주면 우리는 믿지 못한다. 문명인은 그것을 미신이라고 부른다.
해가 하루는 북쪽에서 뜨고 그 다음 날에는 남쪽에서 뜨지 않는 이유는 어떤 규칙이 있기 때문이다. 어떤 '위대한 힘'이 자연을 통제하고 있는 것이다. 강, 바람, 나무들은 자연의 일부이다. 우리도 자연의 일부이다. 자연과 함께 한다면 어떤 '위대한 영혼' 안에서 우리는 서로 이해할 수 있을 지 모른다. 태도를 바꾸면 모든 살아 있는 것들은 그 영혼 안에서 하나가 될 수 있을 지 모른다. 그리고 우리가 얼마나 같은 지 알게 될 지 모른다. 우리가 미신이라고 부르던 것은 이제 믿음이 될지 모른다.
칼럼버스가 신대륙에 도착했을 때, 원주민들은 그를 젊잖게 받아들여 주었다. 그래서 칼럼버스는 자신의 일기장에 '이들은 신의 사람들이다' (인 디오스 In Dios) 라고 적어 놓았다고 한다. 나중에 인 디오스는 인디언이 되었다고 한다.
이 책은 한 인디언 주술사의 이야기다. 지금 우리와는 아주 다른 믿음의 체계를 가지고 있는 사람의 이야기다. 매일 같이 모든 날이 다 성스러운 날이라는 인식 속에서 생활하는 사람의 이야기다. 그는 '우리의 모든 걸음이 하나의 기도가 되게 하라'는 부족의 교육을 받고 자란 사람이다. 그는 아침마다 이렇게 노래를 부르며 자랐다. " 또 하루를 주신 당신께 감사드립니다. 오늘도 가치 있게 걸을 수 있도록 힘을 주시어 밤에 잠자리에 들 때 부끄럽지 않게 만들어주소서"
이 책에는 우리 안에서 마음이 울리는 소리를 들을 수 있는 이야기들이 많이 있다. 네 살 짜리 아이가 있었다. 동생이 태어나 병원에서 집으로 왔다. 네 살 위인 아이가 부모에게 말했다. "잠깐 동안만 동생과 단둘이 있게 해 주셔요" 네 살 난 아이는 아기 침대 위로 올라갔다. 그리고 동생에게 말했다. " 신에 대해 이야기 해 주렴, 이제 나는 신을 잊고 있어" 신이 아이들을 세상에 보내는 이유는 겸손해 지는 법과 용서하는 법을 가르쳐 주기 위해서라고 한다.
사람들은 인디언들이 나무나 독수리 그리고 파이프 같은 것을 숭배한다고 말한다. 그러나 그들이 믿고 있는 것은 살아있는 유일신이다. 신이라는 말 대신에 '생명을 주시는 그분' 혹은 '위대한 신비'라고 부를 뿐이다. 다양한 종교가 있고 종교 속에 다양한 교파가 있듯이 인디언에게도 조물주를 나타내는 그들의 언어가 있는 것이다. 그들이 자연물의 하나 하나를 숭배하는 것처럼 보이는 것은 그것들이 바로 사람을 돕는 조물주의 선물이라 존중해 주기 때문이다.
요즘처럼 환한 봄날이 없다. 이 책은 꽃의 웃음과 바람의 이야기를 우리의 마음이 들을 수 있도록 도와준다. 실험해 보라. 원래의 제목은 'The wind is my mother'
IP *.208.140.138
베어 하트, 황금가지, 1999
동아일보 '구본형의 자아경영' 4월 20일 , 2000
누군가 바람이 한 말을 전하고, 강물이 전해준 이야기를 나누어주고 나무가 생각하고 있는 것을 들려주면 우리는 믿지 못한다. 문명인은 그것을 미신이라고 부른다.
해가 하루는 북쪽에서 뜨고 그 다음 날에는 남쪽에서 뜨지 않는 이유는 어떤 규칙이 있기 때문이다. 어떤 '위대한 힘'이 자연을 통제하고 있는 것이다. 강, 바람, 나무들은 자연의 일부이다. 우리도 자연의 일부이다. 자연과 함께 한다면 어떤 '위대한 영혼' 안에서 우리는 서로 이해할 수 있을 지 모른다. 태도를 바꾸면 모든 살아 있는 것들은 그 영혼 안에서 하나가 될 수 있을 지 모른다. 그리고 우리가 얼마나 같은 지 알게 될 지 모른다. 우리가 미신이라고 부르던 것은 이제 믿음이 될지 모른다.
칼럼버스가 신대륙에 도착했을 때, 원주민들은 그를 젊잖게 받아들여 주었다. 그래서 칼럼버스는 자신의 일기장에 '이들은 신의 사람들이다' (인 디오스 In Dios) 라고 적어 놓았다고 한다. 나중에 인 디오스는 인디언이 되었다고 한다.
이 책은 한 인디언 주술사의 이야기다. 지금 우리와는 아주 다른 믿음의 체계를 가지고 있는 사람의 이야기다. 매일 같이 모든 날이 다 성스러운 날이라는 인식 속에서 생활하는 사람의 이야기다. 그는 '우리의 모든 걸음이 하나의 기도가 되게 하라'는 부족의 교육을 받고 자란 사람이다. 그는 아침마다 이렇게 노래를 부르며 자랐다. " 또 하루를 주신 당신께 감사드립니다. 오늘도 가치 있게 걸을 수 있도록 힘을 주시어 밤에 잠자리에 들 때 부끄럽지 않게 만들어주소서"
이 책에는 우리 안에서 마음이 울리는 소리를 들을 수 있는 이야기들이 많이 있다. 네 살 짜리 아이가 있었다. 동생이 태어나 병원에서 집으로 왔다. 네 살 위인 아이가 부모에게 말했다. "잠깐 동안만 동생과 단둘이 있게 해 주셔요" 네 살 난 아이는 아기 침대 위로 올라갔다. 그리고 동생에게 말했다. " 신에 대해 이야기 해 주렴, 이제 나는 신을 잊고 있어" 신이 아이들을 세상에 보내는 이유는 겸손해 지는 법과 용서하는 법을 가르쳐 주기 위해서라고 한다.
사람들은 인디언들이 나무나 독수리 그리고 파이프 같은 것을 숭배한다고 말한다. 그러나 그들이 믿고 있는 것은 살아있는 유일신이다. 신이라는 말 대신에 '생명을 주시는 그분' 혹은 '위대한 신비'라고 부를 뿐이다. 다양한 종교가 있고 종교 속에 다양한 교파가 있듯이 인디언에게도 조물주를 나타내는 그들의 언어가 있는 것이다. 그들이 자연물의 하나 하나를 숭배하는 것처럼 보이는 것은 그것들이 바로 사람을 돕는 조물주의 선물이라 존중해 주기 때문이다.
요즘처럼 환한 봄날이 없다. 이 책은 꽃의 웃음과 바람의 이야기를 우리의 마음이 들을 수 있도록 도와준다. 실험해 보라. 원래의 제목은 'The wind is my mother'
댓글
2 건
댓글 닫기
댓글 보기
VR Left
번호 | 제목 | 글쓴이 | 날짜 | 조회 수 |
---|---|---|---|---|
543 | 경영자의 실패 [2] | 구본형 | 2008.04.15 | 6660 |
542 | 우리, 있는 그대로 이미 즐거운 존재 [3] | 구본형 | 2002.12.25 | 6661 |
541 | 건망증에 대하여 [3] | 구본형 | 2003.12.07 | 6663 |
540 | 불안과의 동행, 그리고 성장 [3] | 구본형 | 2004.09.25 | 6664 |
539 | 자신을 불태우고 그 위에서 새로워져라 [2] | 구본형 | 2002.12.25 | 6666 |
538 | 살아있음의 경이로움 - '현재'는 선물입니다 [2] | 구본형 | 2002.12.25 | 6667 |
537 | 사랑하고 노래하고 투쟁하다 [3] | 구본형 | 2008.04.15 | 6667 |
536 | 가족 [4] | 구본형 | 2007.12.19 | 6670 |
535 | 년초에 세상의 변화를 엿보자 [2] | 구본형 | 2007.02.12 | 6672 |
534 | ‘우리 속의 나’ [3] | 구본형 | 2005.08.30 | 6676 |
533 | 지금이 바로 그때이다(1999.7) [2] | 구본형 | 2002.12.25 | 6680 |
532 | 동.서양 철학자의 현대 지성 이중주 [2] | 구본형 | 2002.12.25 | 6681 |
531 | 느림과 기다림에 대하여(1999.8) [2] | 구본형 | 2002.12.25 | 6683 |
530 | 흑과 백 사이에는 여러가지 색이 있다 [3] | 구본형 | 2002.12.25 | 6686 |
529 | 한정된 자원을 통한 경제의 지속적 성장 [2] | 구본형 | 2002.12.25 | 6688 |
528 | 인간은 건축을, 건축은 인간을 만든다 [2] | 구본형 | 2002.12.25 | 6688 |
527 | 쟁취하지 말고 부드러운 혁명을 시도하라. [2] | 구본형 | 2002.12.25 | 6690 |
526 | 선수를 똑바로 보세요. 승리의 신화가 보일 테니 - HR 스코어카드 [2] | 구본형 | 2002.12.25 | 6692 |
525 | 일, 여행, 그리고 자신을 발견하는 시간 [3] | 구본형 | 2002.12.25 | 6697 |
524 | 한 번의 미소가 내 목숨을 구해주었다 [7] | 구본형 | 2006.06.23 | 669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