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구본형
- 조회 수 6744
- 댓글 수 2
- 추천 수 0
간절히 원하고 뜨겁게 행동하라 - 동아일보 5월 12일
존 그레이, 들녘미디어, 2000년 7월
한국어 표제와는 달리 이 책은 매우 차분하고 조용하다. 원래의 제목은 '바라는 것을 얻고 자신이 가진 것을 소중히 여기는 법' 정도로 번역될 것 같다. 말하자면 물질적 성공과 정신적 행복을 모두 얻는 마법에 대한 강의라고 할 수 있다.
우리는 자라면서 행복을 찾기 위해 마법을 거는 힘을 잃어버렸다. 다섯 살쯤 된 아이들은 작은 별 모양의 펜던트를 가슴에 안고 아주 행복한 표정으로 소원을 빌곤 한다. 소원을 빌었지만 이루어지지 않으면 걱정스럽게 엄마에게 물어 본다. 그러면 엄마가 대답해 준다.
"아주 간절히 빌어라, 얘야. 계속 빌면 반드시 그 소원은 이루어진단다. 그렇지만 늘 모든 소원이 당장 이루어지는 것은 아니란다. 어떤 소원은 시간이 아주 많이 걸리거든. 참고 기다리려무나"
그러면 아이들은 기대에 찬 밝은 표정으로 다시 돌아가곤 한다. 그렇지만 정작 어른들은 그렇게 하지 못한다. 자신의 주술의 힘을 믿지 않기 때문이다.
그러나 원하는 것을 얻게되는 물질적 성공은 늘 이렇게 찾아온다. 몸과 마음을 다해 오래도록 소망하면 이루어진다. 그 외에 다른 어떤 더 좋은 방법이 있단 말인가 ! 기억해야할 것은 물질적 획득은 곧 더 많은 것을 바라게 하는데 그 누구도 욕망을 만족시킬 만큼 '충분히' 부자가 될 수는 없다는 사실이다. 그래서 이미 가진 것으로 만족할 줄 아는 정신적 성숙이 없이는 행복해 질 수 없는 것이다.
불행한 부자의 수가 불행한 가난뱅이만큼이나 많은 이유가 여기에 있다. 반면 지금 가지고 있는 것에 만족하는 사람들은 자신이 더 많은 것을 원한다는 사실 때문에 불행해지지 않는다. 오히려 그것은 즐거운 목표가 되고 간절한 소망이 된다. 탐욕스럽게 당장 가지려하지 않고 공을 들여 조금 씩 그곳에 접근하고, 마침내 그것을 얻게 될 때 그것은 소중한 보물로 오래도록 간직된다.
오랜 기다림을 통한 성취는 물질적 성공 뿐 아니라 자신에 대한 존중과 사랑 그리고 관용을 키워줌으로 더욱 자신과 세상을 사랑할 수 있게 한다. 정신적 행복은 물질적 성공을 통해 그 풍요로움을 강화한다.
정신적 성숙은 자신의 내면을 들여다봄으로써 시작된다. 이것은 자신 속에 내재하는 신과의 만남이다. 그 신을 어떻게 규정하든 그것은 개인적인 자유이다. 나에게는 하나밖에 없는 길이지만, 세상에는 똑같이 선한 길이 수없이 많다는 것을 인정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 때 비로소 우리는 다르지만 평화롭게 공존할 수 있다.
종교의 교리가 중요한 것이 아니라 믿음의 깊이가 중요하다. 자신의 행복을 찾아가는 마법은 바로 이 믿음의 깊이에서 온다. 깊은 곳에서 이렇게 자신에게 주술을 걸어보라.
"세상은 나를 보살펴 주었고 또 나를 필요로 한다." 이 간절함이 그대를 적시게 되면, 마치 요술처럼 그대는 원하는 것을 얻게 되고 이미 가진 것에 만족하게 된다. 행복은 이렇게 오는 것이다. 이 아름다운 오월에 한 번 실험해 보시길.
IP *.208.140.138
존 그레이, 들녘미디어, 2000년 7월
한국어 표제와는 달리 이 책은 매우 차분하고 조용하다. 원래의 제목은 '바라는 것을 얻고 자신이 가진 것을 소중히 여기는 법' 정도로 번역될 것 같다. 말하자면 물질적 성공과 정신적 행복을 모두 얻는 마법에 대한 강의라고 할 수 있다.
우리는 자라면서 행복을 찾기 위해 마법을 거는 힘을 잃어버렸다. 다섯 살쯤 된 아이들은 작은 별 모양의 펜던트를 가슴에 안고 아주 행복한 표정으로 소원을 빌곤 한다. 소원을 빌었지만 이루어지지 않으면 걱정스럽게 엄마에게 물어 본다. 그러면 엄마가 대답해 준다.
"아주 간절히 빌어라, 얘야. 계속 빌면 반드시 그 소원은 이루어진단다. 그렇지만 늘 모든 소원이 당장 이루어지는 것은 아니란다. 어떤 소원은 시간이 아주 많이 걸리거든. 참고 기다리려무나"
그러면 아이들은 기대에 찬 밝은 표정으로 다시 돌아가곤 한다. 그렇지만 정작 어른들은 그렇게 하지 못한다. 자신의 주술의 힘을 믿지 않기 때문이다.
그러나 원하는 것을 얻게되는 물질적 성공은 늘 이렇게 찾아온다. 몸과 마음을 다해 오래도록 소망하면 이루어진다. 그 외에 다른 어떤 더 좋은 방법이 있단 말인가 ! 기억해야할 것은 물질적 획득은 곧 더 많은 것을 바라게 하는데 그 누구도 욕망을 만족시킬 만큼 '충분히' 부자가 될 수는 없다는 사실이다. 그래서 이미 가진 것으로 만족할 줄 아는 정신적 성숙이 없이는 행복해 질 수 없는 것이다.
불행한 부자의 수가 불행한 가난뱅이만큼이나 많은 이유가 여기에 있다. 반면 지금 가지고 있는 것에 만족하는 사람들은 자신이 더 많은 것을 원한다는 사실 때문에 불행해지지 않는다. 오히려 그것은 즐거운 목표가 되고 간절한 소망이 된다. 탐욕스럽게 당장 가지려하지 않고 공을 들여 조금 씩 그곳에 접근하고, 마침내 그것을 얻게 될 때 그것은 소중한 보물로 오래도록 간직된다.
오랜 기다림을 통한 성취는 물질적 성공 뿐 아니라 자신에 대한 존중과 사랑 그리고 관용을 키워줌으로 더욱 자신과 세상을 사랑할 수 있게 한다. 정신적 행복은 물질적 성공을 통해 그 풍요로움을 강화한다.
정신적 성숙은 자신의 내면을 들여다봄으로써 시작된다. 이것은 자신 속에 내재하는 신과의 만남이다. 그 신을 어떻게 규정하든 그것은 개인적인 자유이다. 나에게는 하나밖에 없는 길이지만, 세상에는 똑같이 선한 길이 수없이 많다는 것을 인정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 때 비로소 우리는 다르지만 평화롭게 공존할 수 있다.
종교의 교리가 중요한 것이 아니라 믿음의 깊이가 중요하다. 자신의 행복을 찾아가는 마법은 바로 이 믿음의 깊이에서 온다. 깊은 곳에서 이렇게 자신에게 주술을 걸어보라.
"세상은 나를 보살펴 주었고 또 나를 필요로 한다." 이 간절함이 그대를 적시게 되면, 마치 요술처럼 그대는 원하는 것을 얻게 되고 이미 가진 것에 만족하게 된다. 행복은 이렇게 오는 것이다. 이 아름다운 오월에 한 번 실험해 보시길.
댓글
2 건
댓글 닫기
댓글 보기
한달정도 전에, 예정에 없던 일이 있었습니다.
제가 다니고있던 작업실에서 예상치 않게 짐을 빼야했던것이었지요,
원래 계획과 차질이 생겨서 우왕 좌왕하다가,
어찌어찌하여
제 거주지 근방의 공방을 찾게 되었습니다.
신기하게도,
그 공방도 새로 사람을 찾은지가 한달이 체 되지 않았지요,
쫓기듯 작업실을나와 방황할 뻔 했지만,
지금 되돌아 보니, 그때 작업실을 비우지 못했다면 지금의 공방을 들어오지 못했겠지요.
이곳에서 배우는것이 또한 크고 깊어
이곳에 오지못했으면 어찌했을까, 하는 생각마져 들었습니다.
하늘은, 정말 바라고 원하면
어떠한 방식으로든 그것을 이루어 준 다는것을 다시한번 몸으로 느낍니다.
오직 제 내면의 소리를 따라 갑니다.
오늘도 좋은 말씀 감사합니다.
VR Left
번호 | 제목 | 글쓴이 | 날짜 | 조회 수 |
---|---|---|---|---|
523 | 부서의 벽 넘어 커뮤니케이션을 잘하려면 [3] | 구본형 | 2005.10.01 | 6720 |
522 | 인간은 건축을, 건축은 인간을 만든다 [2] | 구본형 | 2002.12.25 | 6721 |
521 | 세상은 '가능성의 장(場)이다 [2] | 구본형 | 2002.12.25 | 6724 |
520 | 인사관리의 의미 [2] | 구본형 | 2002.12.25 | 6726 |
519 | 변화의 대가들 [2] | 구본형 | 2002.12.25 | 6727 |
518 | 직장 민주주의 실험 [2] | 구본형 | 2010.12.05 | 6728 |
517 | 천리포 수목원 [2] | 구본형 | 2003.02.10 | 6732 |
516 | 아직 늦지 않았다(1998.8) [3] | 구본형 | 2002.12.25 | 6735 |
515 | 보보스 [2] [2] | 구본형 | 2002.12.25 | 6737 |
514 | 바다를 보다 [4] | 구본형 | 2002.12.25 | 6738 |
513 | 축복에 대하여 [9] | 구본형 | 2007.08.21 | 6739 |
512 | 내가 멈추고 돌아보는 이유, [4] | 구본형 | 2005.07.11 | 6740 |
» | 오랜 기다림 끝의 성취가 진정한 행복 [2] | 구본형 | 2002.12.25 | 6744 |
510 | 시간과 삶 그리고 경영 [2] | 구본형 | 2005.04.01 | 6747 |
509 | 이 여름날의 독서 [2] | 구본형 | 2004.08.12 | 6748 |
508 | 이것이 디지털이다 [2] | 구본형 | 2002.12.25 | 6749 |
507 | 시간을 벗삼아 ... [2] | 구본형 | 2002.12.25 | 6750 |
506 | 일에 대한 헌신과 개인의 행복 [3] | 구본형 | 2005.06.22 | 6750 |
505 | 버스- 빠른 시대의 느린 세상 [2] | 구본형 | 2003.11.20 | 6751 |
504 | 어느 때 변화가 가능한가 ? [2] | 구본형 | 2004.08.31 | 675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