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본형 변화경영연구소

구본형

구본형

개인과

/

/

  • 구본형
  • 조회 수 7795
  • 댓글 수 5
  • 추천 수 0
2010년 5월 18일 10시 49분 등록

 비오는 날 나는 알베르 까뮈를 읽었다. 태양을 그리워했기에 비를 미워하며, 그러나 비가 있기에 태양을 더 그리워하며 읽었다. 물론 나는 태양이 너무 뜨거운 날, 그리하여 내 밭의 채소들이 신음할 때, 이글거리는 태양을 미워하고 비를 그리워 한다. 모든 지속되는 것들, 날씨만한 변덕이 없는 것들은 심드렁한 것이다.

까뮈는 말한다.

"부정적 사고만큼 예술에 이바지 하는 것은 없다....'아무 것도 아닌 것을 위하여' 일하고 창조하는 것, 찰흙에 조각하는 것, 자신의 창조가 미래를 지니고 있지 않다는 것을 아는 것, 자신의 작품이 여러 세기를 거쳐 내세울 만한 아무런 중요성도 지니니 못한다는 것을 깊이 인식하면서 하루 사이에 자신의 작품이 파괴되는 것을 보는 것, 이것들이 바로 부조리한 사고가 정당화되는 험난한 예지다. 이러한 두 가지 노력을 동시에 하는 것, 한편으로 부정하고 한편으로 열광하는 것, 이것이 부조리한 창조자에게 열리는 길이다. 그는 허공에 색칠을 해야만 한다. "

그렇다. 심오한 사고는 계속 생성되는 과정에 있다.   삶은 다양한 경험과 결합되고 거기서 만들어 진다.   한 인간의 창조는 다양하게 계속되는 모습 속에서 다져진다.  철회하고 부정하고 수정하고 보완한다.  무언가가 지속적인 생성 과정을 멈추게 된다면 완벽해졌기 때문이 아니라, 그것을 창조해 내는 창조자가 죽었기 때문이다.

그는 다시 말한다.

" 창조는 인간의 존엄성에 대한 파격적 증언이다. 그것은 나날의 노력, 억제력, 진리의 한계에 대한 명확한 판단, 그리고 절도의 힘을 요구한다. 그것은 하나의 고행이다. 더욱이 이 모든 것은 '아무것도 아닌 것을 위해서' 반복하고 발버둥치기 위한 것이다"

나는 오늘 동의한다. 예술이란 작품 그 자체의 중요성 보다, 인간에게 요구되는 적나라한 현실에 가장 가까이 접근할 수 있는 기회라는 것을.    정신은 삶과 작품의 성숙을 기다린다.   그러므로 계속되어 온  모든 작품은 성숙에 이르는 실패의 수집에 불과하다.   남는 것은 운명이며, 죽음이라는 숙명을 제외하면, 기쁨, 행복, 결국 그 모든 것이 자유다. 자유.

IP *.160.33.180

프로필 이미지
조현희
2010.05.18 12:09:12 *.106.111.211
많은 생각을 하게 하는 그런 시간이네요.
그런데 이런 생각을 할 수 있는 시간을 통해 제 자신이 발전해 나가지 않나 싶습니다.
가끔은 어려운 글을 접하고 깊이 다른 각도에서 생각하는 글을 접할때.....전 많은 시간을 그 글과 함께 합니다.
그리고 여러가지 생각을 해보게 됩니다.

오늘...비가 촉촉히 제 가슴까지 적셔주는 시간....
강사님의 귀한 글로 깊은 생각의 시간으로 빠져 들어가 봅니다.^^*
프로필 이미지
2010.05.18 13:36:42 *.119.66.84
어제 내리는 비를 맞으며 자유를 떠올렸습니다.
비를 맞을 수 있는 자유. 그리웠던 자유였습니다..
그런 자유의 길로 인도해주신 사부님께 다시 한 번 감사드립니다..
프로필 이미지
이헌
2010.05.18 13:58:01 *.35.254.135
"철회하고 부정하고 수정하고 보완한다."

마구마구 무찔러듭니다. ^ ^

프로필 이미지
2017.01.09 13:08:22 *.212.217.154

창조.

예술.

인간.

알베르 까뮈의 글은 아직 어렵습니다.

언젠가 다시 차분하게 읽으면

마음으로 와 다을날이 있겠지요^^

프로필 이미지
2018.04.15 11:30:36 *.212.217.154

창조!

파괴!

그리고 자유!

덧글 입력박스
유동형 덧글모듈

VR Left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443 직장인을 위한 제언 [2] 구본형 2002.12.25 7657
442 비즈니스와 글쓰기 [3] 구본형 2004.04.17 7659
441 바다를 보다 [4] 구본형 2002.12.25 7660
440 내가 크게 쓰일 날 [6] 구본형 2006.03.22 7663
439 밝음을 경영하라 [6] 구본형 2010.05.17 7665
438 삶의 원칙- 프리드리히 니체, 생각탐험 22 [3] 구본형 2010.06.23 7667
437 자기 설득(1999.겨울) [2] 구본형 2002.12.25 7675
436 세계지식포럼 참관기 - 레스터 소러 교수 기조연설 [2] [2] 구본형 2002.12.25 7679
435 흑과 백 사이에는 여러가지 색이 있다 [3] 구본형 2002.12.25 7679
434 한 번의 미소가 내 목숨을 구해주었다 [7] 구본형 2006.06.23 7683
433 먼저 믿게한 다음에야 설득할 수 있다 [5] 구본형 2005.08.30 7688
432 내게 어울리는 일 [3] 구본형 2006.04.23 7692
431 우리는 자신의 내면의 이름을 찾아야한다 - 페이스 플로트킨에서 페이스 팝콘까지 [2] 구본형 2002.12.25 7694
430 휴먼 네트-인간에 대해 아는 것, 그것이 함께 잘 지내는 요결이다. [3] 구본형 2003.12.26 7695
429 쉼, 여가, 그리고 창조적 휴식 [5] 구본형 2006.07.24 7696
428 치열한 정신 세계에서 건진 '삶의 의미' -한국경제 [2] 구본형 2002.12.25 7701
427 화해하라, 기쁨을 위하여 [5] 구본형 2010.06.28 7702
426 만족과 불만 사이의 철학 [2] 구본형 2003.12.26 7703
425 돈이 최선인 사회에서는 조지 소로스도 살기 어렵다 [3] 구본형 2002.12.25 7706
424 45번의 하루 [5] 구본형 2006.11.08 77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