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정야
- 조회 수 2390
- 댓글 수 0
- 추천 수 0
멀리 있어도 사랑이다
정윤천
눈앞에 당장 보이지 않아도 사랑이다. 어느 길 내내, 혼자서 부르며 왔던 노래가 온전히 한 사람의 귓전에 가 닿기만을 바랐다면, 무척은 쓸쓸했을지도 모를 서늘한 열망의 가슴이 바로 사랑이다.
고개를 돌려 눈길이 머물렀던 그 지점이 사랑이다. 빈 바닷가 곁을 지나치다가 난데없이 파도가 일었거든 사랑이다. 높다란 물너울의 중심 속으로 제 눈길의 초점이 맺혔거든, 거기에 세상을 한꺼번에 달려온 모든 시간의 결정과도 같았을, 그런 일순과의 마주침이라면, 이런 이런, 그렇게는 꼼짝없이 사랑이다.
오래전에 비롯되었을 시작의 도착이 바로 사랑이다. 바람에 머리카락이 헝클어져 손가락 빗질인 양 쓸어 올려보다가, 목을 꺾고 정지한 아득한 바라봄이 사랑이다.
사랑에는 한사코 진한 냄새가 배어 있어서, 구름에라도 실려오는 실낱같은 향기만으로도 얼마든지 사랑이다. 갈 수 없어도 사랑이다. 혼이라도 그쪽으로 머릴 두려는 그 아픔이 사랑이다.
멀리 있어도 사랑이다.
-----
이 기분은 뭐지? 싱숭생숭한 이 기분.
나도 내 마음 모르겠는, 이 묘한 기분.
외로움인가?
쓸쓸함인가?
그리움인가?
아련함인가?
고독함인가?
가끔씩 재발하는 이것은 무슨 병인가?
봄에는 봄바람 탓이었고 지금은 뒹구는 낙엽탓인가?
왜 외로운가?
에리히 프롬은 ‘외로움은 인간의 조건이다’고 말한다. 얼마나 다행인가. 인간이기에 외롭다니! 무슨 병에 걸린 건 아니라는 것이지 않는가. 덧붙여 말하길, 그럼에도 사랑으로 외로움을 극복하고 싶어한다는 것이다. 사랑이 보이지 않는 것들의 모약일까? 사랑의 고통이 외로움의 고통보다 덜 하다고 여기나보다.
그렇다면, 나도 사랑을 붙잡고 싶다. 마음이라도 그쪽으로 두고 있는 것이 사랑이라면, 그렇다면... 멀리 있는 사랑이라도 잡고 싶다.
번호 | 제목 | 글쓴이 | 날짜 | 조회 수 |
---|---|---|---|---|
3909 | [영원의 시 한편] 히말라야의 독수리들 [1] | 정야 | 2014.11.15 | 2572 |
3908 | [영원의 시 한편] 그럼에도 불구하고 스승을 만나라 | 정야 | 2014.11.13 | 2315 |
3907 | [영원의 시 한편] 꽃씨 | 정야 | 2014.11.12 | 2494 |
3906 | [영원의 시 한편] 그리움의 시 | 정야 | 2014.11.11 | 2802 |
3905 | [영원의 시 한편] 사람은 사랑한 만큼 산다 | 정야 | 2014.11.10 | 2597 |
» | [영원의 시 한편] 멀리 있어도 사랑이다 | 정야 | 2014.11.08 | 2390 |
3903 | [영원의 시 한편] 시간 | 정야 | 2014.11.07 | 2147 |
3902 | [영원의 시 한편] 보이지 않는 파동 | 정야 | 2014.11.06 | 2129 |
3901 | [영원의 시 한편] 환영사 | 정야 | 2014.11.05 | 2156 |
3900 | [영원의 시 한편] 추모집에 제題 함 | 정야 | 2014.11.04 | 2124 |
3899 | [영원의 시 한편] 내가 만난 사람은 모두 아름다웠다 | 정야 | 2014.11.03 | 2860 |
3898 | [영원의 시 한편] 충만한 힘 | 정야 | 2014.11.02 | 2000 |
3897 | [영원의 시 한편] 한 여자 한 남자 | 정야 | 2014.11.01 | 2275 |
3896 | [영원의 시 한편] 날아라 병아리 | 정야 | 2014.10.31 | 2041 |
3895 | [영원의 시 한편] 추일서정 秋日抒情 | 정야 | 2014.10.30 | 2257 |
3894 | [영원의 시 한편] 행복 | 정야 | 2014.10.28 | 2407 |
3893 | [영원의 시 한편] 새를 살려야 해 | 정야 | 2014.10.27 | 2198 |
3892 | [영원의 시 한편] 가을에게 | 정야 | 2014.10.25 | 1975 |
3891 | [영원의 시 한편] 어느 대나무의 고백 | 정야 | 2014.10.24 | 3142 |
3890 | [영원의 시 한편] 가을 | 정야 | 2014.10.23 | 229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