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본형 변화경영연구소

오늘의

마음을

마음을

  • 김용규
  • 조회 수 4315
  • 댓글 수 7
  • 추천 수 0
2010년 1월 7일 00시 17분 등록

IMG_0766.jpg

불을 제대로 붙이지 못하면 매운 연기를 맡으며 계속 아궁이를 지켜야 한다. 연소 원리를 이해해야 하는 이유다.

산중 오두막이 긴 시간 눈 속에 갇히고 나니 먹고 자는 일에 문제가 생깁니다. 쌀독의 쌀도 얼마 남지 않았고, 그 좋아하는 담배도 마지막 갑을 피우고 있습니다. 더 큰 문제는 거실난방과 온수용으로 설치한 보일러에 기름이 거의 다 떨어져간다는 것입니다. 쌀이야 마을에 내려가서 지게로 져 올리면 되지만 난방유 배달차는 눈이 완전히 녹아야 올 수 있을 것이기 때문입니다. 하는 수 없이 거실난방은 얼지 않을 만큼만 하고 거실과 열린 공간으로 닿아있는 침실용 구들방을 최대한 덥혀 집 전체의 온도를 유지하기로 했습니다. 그나마 땔감을 넉넉히 해둔 것이 다행입니다.

 

불지피기 중 신기한 것이 하나 있습니다. 어떤 날은 아주 쉽게 불이 붙어 활활 타오르지만, 어떤 날은 정말 불이 잘 타오르지 않아 애를 먹는다는 겁니다. 몹시 춥고 세찬 바람까지 부는 요즘 같은 날에는 불이 잘 붙지 않으면 눈물 콧물 다 흘리며 불을 붙여야 합니다. 요 며칠 이렇게 악조건 하에서 불을 지피다가 불지피는 일이 꼭 삶의 성장 법칙과 같음을 깨닫게 되었습니다. 언젠가도 아궁이에 불지피는 이야기를 했었지만, 이번에는 조금 더 체계적인 원리를 체득했습니다. 자신의 인생을 활활 타오르게 하고 싶다면 이 자연의 오묘한 연소 원리도 한번쯤 살펴보시기 바랍니다.

 

우선 큰 나무 토막을 아궁이에 넣고 태우면 연소시간이 오래가기 때문에 긴 시간 따뜻한 구들을 유지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불지피기의 최종 목표는 큰 통나무 토막에 불을 붙이는 것입니다. 하지만 불을 잘 붙이지 못하는 원인의 대부분이 바로 이 큰 나무 토막에 서둘러 불을 붙이려는 조급함 때문입니다. 충분한 불쏘시개 없이는 절대 큰 나무 토막을 태울 수 없습니다. 먼저 종이나 마른 풀 줄기, 낙엽 등을 태우고 그 열로 작은 나뭇가지에 불을 붙여야 합니다. 작은 나뭇가지들이 활활 타오르기 시작하면, 이제 패서 말려놓은 조금 더 굵은 장작에 불을 붙일 수 있습니다. 장작들이 활활 타기 시작하면 그때서야 통나무 토막을 집어 넣어 탈 것 같지 않은 굵기의 통나무를 긴 시간 연소시킬 수 있습니다. 연소의 첫 번째 원리는 바로 작은 것을 태우는 데 성공해야 큰 것을 연소할 수 있다는 것입니다.

 

연소에 실패하는 또 다른 원인은 공간에 있습니다. 아주 추우면 어떻게든 나무를 가득 넣어 연소를 시키고 싶어집니다. 그래서 최대한 많이 장작과 통나무를 넣습니다. 하지만 이렇게 하면 십중팔구 잘 타던 불도 꺼지게 됩니다. 그 작은 아궁이에서조차 에너지는 대류의 원리를 따릅니다. 뜨거운 공기는 상승하고 차가운 공기는 내려오는 것이지요. 이때 아래로부터 산소가 공급되어 땔감 사이사이를 파고 오르지 못하면 불은 꺼지게 되는 것입니다. 연소의 두 번째 원리는 공간입니다. 즉 아무리 급해도 소화할 수 있는 양을 감당하려 해서는 안된다는 것입니다.

 

세 번째 원리는 직접 체험해 봐야 제대로 알 수 있는 아주 미묘한 부분입니다. 전체가 활활 타오르려면 불이 사방에서 고르게 타올라야 한다는 것입니다. 왼쪽 귀퉁이만 타올라서는 불씨를 잃기 쉽습니다. 결코 큰 나무토막을 태울 수 없습니다. 얼른 오른쪽도 함께 타오르게 해줘야 전체로 확~ 하고 번져가는 경험을 할 수 있습니다. 연소에는 시너지 혹은 확산의 원리가 있는 것입니다.

 

그래서 옵션으로 치부할 수 없는 또 하나의 원리에 주목해야 합니다. 바로 아궁이 옆에 부지깽이를 두어야 한다는 것입니다. 먼저 연소되어 부피가 주는 나무들 때문에 장작의 배열이 틀어질 경우 아래로부터 산소가 공급될 공간을 막는 경우가 있습니다. 이렇게 되면 잘 타던 불도 완전 연소에 이르지 못할 가능성이 커집니다. 이때 부지깽이로 아주 조금만 공간을 열어주면 불은 더욱 잘 타올라 투입한 모든 나무토막을 완전히 태울 수 있습니다. 장작불의 스승이 부지깽이인 것이지요. 좋은 스승이 있으면 타오르기에 훨씬 좋은 것이지요.

 

올 한해 모두의 삶이 활활 타오르시기 바랍니다. 그렇게 타오르기 위해 우선 어떤 원리가 가장 절실한지, 삶의 아궁이를 잘 살펴 한 해가 제대로 타오르기 바랍니다.
IP *.229.249.90

프로필 이미지
햇빛처럼나무처럼
2010.01.07 04:55:00 *.64.107.166
새해에도 건강하시기를..

늘 좋은 글을 읽게 해주셔서 감사드립니다.
프로필 이미지
2010.01.14 00:56:22 *.229.166.193
늘 기쁘게 읽어 주셔서 고맙습니다.
새해 행복하시길.^^
프로필 이미지
김주한
2010.01.07 19:56:04 *.174.66.219
에구 매워라 콜록 콜록..
나무하러 간다간다하다가 겨울 다 지나가겠습니다.
게으른 동생을 용서하시고 무사히 버티시길.. ^^
새해 복 많이 받으세요!
프로필 이미지
2010.01.14 00:57:49 *.229.166.193
방가방가~!
요즘 모하시는가? 잘 지내시는 거쥐?
날 풀리면 함 보세~!
새해 술술 풀어나가시고 ^^
프로필 이미지
그늘처럼장작처럼
2010.01.08 13:23:41 *.168.105.30
원리를 알고 실천하는 것은 방향(나침반)을 가지고 산행하는 것과 같겠죠...
새해에 복 많이 지으시길...

햇빛처럼님의 닉네임에 나무처럼이 붙었군요.
그래서 저는 그늘처럼장작처럼입니다.ㅎ ㅎ
당신이 있기에 내가 있습니다.

빛이 있으면 그림자도 있고,
나무가 있으면 장작이 있습니다.
용규가 있으면 OOO이 있습니다.
OOO은 뭘까요?
프로필 이미지
햇빛처럼나무처럼
2010.01.08 19:49:58 *.190.122.223
그늘처럼장작처럼님..

님도 올 한해에도 소망하시는 것 모두 이루시기를 바랍니다.

그리고 말씀처럼 복 많이 지었으면 합니다...

=

그리고 용규님이 있으면 있는 OOO이 뭘까  무척 궁금하군요.
프로필 이미지
2010.01.14 01:00:03 *.229.166.193
하하...
햇빛이 있어 그늘이 있는 거죠?
그늘보다는 그림자가 더 나아보인다는... ㅋ

당신이 있기에 내가 있으니,
용규가 있으면 당신이 있는 건가요?

내가 있어 세상이 있는 것 같은데... ㅋㅋ
덧글 입력박스
유동형 덧글모듈

VR Left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836 당신의 분노 뒤에는 무엇이 숨어 있을까요? [4] 문요한 2010.01.20 3076
835 약점의 보완 보다 재능의 활용이 중요하다 file [2] 승완 2010.01.19 3032
834 날갯짓을 배우는 어린 새처럼 [2] 신종윤 2010.01.18 3601
833 가장 못 생긴 자가 가장 아름다운 여인을 얻는다 file [5] 부지깽이 2010.01.15 3436
832 멈춤과 전환 [6] 김용규 2010.01.14 2707
831 나를 이끌어주는 누군가가 있는가 [1] [2] 문요한 2010.01.13 3252
830 비범한 인물을 만나는 특별한 경험 file [4] 승완 2010.01.12 2987
829 복리의 마술 [5] 신종윤 2010.01.11 3069
828 자아에서 창조로 file [4] 부지깽이 2010.01.08 3365
» 타오르고 싶다면 연소 원리를 점검하라 file [7] 김용규 2010.01.07 4315
826 생명은 길을 잃지 않는다 문요한 2010.01.06 3074
825 어린이와 청소년의 진로 지도를 위한 책, <다중지능혁명> file [2] 승완 2010.01.05 3715
824 살아남으려면 차별화하라 file [2] 신종윤 2010.01.04 4154
823 호랑이의 도움으로 file [4] 부지깽이 2010.01.01 4000
822 해를 넘기기 전에 용서할 것 file [7] 김용규 2009.12.31 2904
821 자발적 불편이 있는가? [1] 문요한 2009.12.30 2936
820 내게 에너지와 행운을 준 책 한 권 file [2] 승완 2009.12.29 2777
819 다시 한 해를 보내며 [1] 신종윤 2009.12.28 2562
818 운명을 즐기세요 file [2] 부지깽이 2009.12.25 2964
817 그들이 우리에게 묻고 있는 것 file [2] 김용규 2009.12.23 288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