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본형 변화경영연구소

오늘의

마음을

마음을

  • 김용규
  • 조회 수 2994
  • 댓글 수 17
  • 추천 수 0
2009년 6월 18일 07시 48분 등록

 

 

생태학에서는 식물을 독립영양생물이라고 부릅니다. 스스로 영양물질을 만들어 삶을 영위할 수 있는 생물이라는 뜻입니다. 그들은 지구로 스미는 빛과 물과 이산화탄소만으로 밥을 지어 자립적인 삶을 이을 수 있다는 말입니다. 반면 인간을 포함한 모든 종류의 동물은 종속영양생물입니다. 모두 타자를 섭취함으로써 영양물질을 얻을 수 있다는 뜻입니다. 풀면 이렇습니다. 빛과 물과 공기의 은혜로 풀이 자랍니다. 이제 소가 풀을 뜯어 삶을 잇고 우리는 풀(채소)과 소를 먹으면서 삶을 잇습니다. 따라서 초식과 육식을 불문한 모든 동물이 식물에 의존적인 삶을 살 수 밖에 없습니다.

 

숲을 만나고 숲에 얹혀 살기 시작하면서 나는 늘 의문을 품어 왔습니다. 창조주는 왜 우리를 우리 아닌 생명들을 취해 살도록 설계했을까? 또 식물들은 어째서 한발자국도 움직일 수 없는 존재로 만들어 움직이는 생명들의 가해를 별 수 없이 수용할 수 밖에 없도록 만들었을까? 모든 생명이 독립영양생물이라면 지구의 생태계는 조금 더 평화로울 수 있지 않았을까? 지구상의 생명 모두가 누군가가 누구를 수탈하지 않아도 살아갈 수 있도록 설계하지 않은 신의 의도가 궁금했고 가끔은 원망스럽기도 했습니다. 요즘처럼 밭의 작물을 지키고 거두기 위해서 밭에서 자라는 잡초를 뿌리 채 뽑아내야 하는 순간에는 마음이 더 불편해집니다. 특히 이제 한참 꽃을 피우고 있는 풀들을 뽑아내야 하는 순간에는 더욱 그렇습니다. 인간이라 해서 누구도 다른 생명이 품고 키우는 목적 앞에 무도할 수 없다는 믿음을 가지고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나는, 우습게 들릴지 모르겠지만, 더러 우리의 세포도 엽록소를 지니고 있다면 얼마나 좋을까 생각하곤 합니다. 우리가 스스로 삶을 영위하는 독립영양생물이 될 수 있다면 얼마나 좋을까 생각하는 것입니다. 이런 망상(?) 끝에 나는 다시 그 질문을 하게 됩니다. 창조주는 왜 우리를 비롯한 동물들과 분해자들에게 무수한 다른 생명의 삶을 취하면서 살도록 만들었을까? 그 뜻이 어디에 있는 것일까? 이 질문은 철학적으로 들릴 수 있을 것입니다. 철학을 묻어두고 산지 오래되었다고 하던 그대지만, 나는 그대가 어떤 답을 품고 있을까 궁금합니다.

 

그대는 나의 대답도 궁금하겠지요?

나는 요사이 점심에 밭에 풀을 뽑고 온갖 채소를 뜯어 비빔밥을 즐겨 만들어먹습니다. 그러면서 갖게 된 나의 부실한 대답을 다음 주에 드리겠습니다. 우리 종속영양생물들끼리 서로의 생각을 나누어보는 것도 좋겠습니다.

 

 

IP *.229.158.175

프로필 이미지
류성원
2009.06.18 08:17:17 *.55.46.29
고등학교 생물시간으로 잠시 돌아간듯 학창시절이 잠깐 생각났습니다. 제가 다른 생물을 취해야(!~)만 생존할 수 있는 종속영양생물이라는 것을 잊고 살았네요. 요즘은 아침에 케일혼합즙에 발아생식을 먹었는데 스스로 움직일 수 없는 식물들이 나의 몸에 들어와 영양소가 되고 있다니 감사해야겠습니다. [나현아빠]
프로필 이미지
김용규
2009.06.19 22:25:50 *.229.133.52
"......감사해야겠습니다."
그래서 우리가 인간이라 생각합니다.
좋은 말씀 고맙습니다.
프로필 이미지
햇빛처럼
2009.06.18 10:02:32 *.190.122.223
답을 주저리 주저리 달려고 하다가 보니..갑자기 강산에 노래가 떠오르는군요. 
알지 못함을 아무리 애둘러 말해도 역시 알지 못함일 뿐인 것 같습니다.
창조주의 뜻은 고사하고 내가 살고 있는 뜻도 모릅니다.
다른 생명의 죽음을 바탕으로 내가 삶을 이어갈 수 밖에 없다는 것, 그리고 언젠가는 내가 죽음으로 다른 생명의 먹이가 되어야 한다는 것, 그 이상도 이하도 아닌 것 같습니다.

자꾸 적으려니 강산에의 노래가 머리에 소용돌이 칩니다.

=

와 그라노 니, 또 와그라노?
와 그라노 니, 또 와그라노?
와 그라노 니, 또 와그라노?
와 그라노 니, 또 와그라노?
와 그라노 니, 또 와그라노?
와 그라노 와와~ 와와~ 그래쌌노

머라 캐쌌노 머라 캐쌌노 니 (니 또 와그라노)
우짜라고요 내 우짜라고 내는 (내는 우짜란 말이고)
우짜라고 니 우짜라고 그라노 (니 단디 해라)
마 고마해라 니, 고마해라 니 (니 그라다 다친데이)

와 그라노 니, 또 와그라노?
와 그라노 니, 또 와그라노?
와 그라노 니, 또 와그라노?
와 그라노 니, 또 와그라노?
와 그라노 니, 또 와그라노?
와 그라노 와와~ 와와~그래쌌노

머라 캐쌌노 머라 캐쌌노 니 (머라 캐쌌노, 머라 캐쌌노 니)
우짜라고요 내, 우짜라고 내는 (우짜라고요 내, 우짜라고 내는)
우짜라꼬 니, 우짜라고 그라노 (우짜라꼬 니, 우짜라고 그라노)
마 고마해라 니, 고마해라 니 (마 고마해라 니, 고마해라 니)


==


프로필 이미지
김용규
2009.06.19 22:29:18 *.229.133.52
불편한 질문을 드렸나 봅니다 ^^

"다른 생명의 죽음을 바탕으로 내가 삶을 이어갈 수 밖에 없다는 것, 그리고 언젠가는 내가 죽음으로 다른 생명의 먹이가 되어야 한다는 것"

와닿는 말씀입니다.
프로필 이미지
나그네
2009.06.19 03:04:59 *.129.81.148

자꾸 창조주니, 조물주니 하는 관념의 존재를 염두에 두고 생각하니 답이 나올 수가 없는 것입니다.
세상 만물은 진화에 의해서 지금의 세상으로 그 모습을 갖게 된 것입니다.
서로가 서로를 잡아먹지 않으면 살 수 없는 시스템으로 만들어진 악귀같은 이 세상은 모든 생물이 변화하는 자연현상에 발 맞추어 진화에 진화를 거듭하며 존재해 온 것입니다.
진화론을 이해하지 못하고서는 이 세상 그 무엇도 우리는 답을 절대로!!! 절대로!!! 구할 수 없습니다.
프로필 이미지
김용규
2009.06.19 22:37:07 *.229.133.52
진화론만으로 세상 모든 것의 답을 구할 수 있다는 믿음을 가지신 분에게
제 질문은 애초부터 우매한 것이겠지요 ^^
프로필 이미지
시종여일
2009.06.19 09:50:28 *.75.187.206
'나눔' 이라는 단어를 다시금 생각하게 됩니다. 주고 받는 다는 것.
사실 저는 '안주고 안받기' 를 편하게 생각합니다. 무언가를 받을수록 그에 대해 보답을 해야한다는 부담감이 마음에 쌓이니까요. 그런의미로 '독립영양생물'처럼 혼자서도 완전할수 있다면 정말 좋으리라 생각합니다.
그러나 만약에 그렇다면 저는 사람들과 교류하지도 않고 혼자만의 섬에 갖혀지내게 되겠지요.
인간의 삶이란 약육강식의 논리로 모든게 해석되어질수 없습니다.
다른생각을 취하여 내생명을 연명해간다는 의미보다는 '함께 살아라' 라는 깊은 뜻이 있는건 아닐까..조심스럽게 신의 뜻을 헤아려봅니다.

프로필 이미지
김용규
2009.06.19 22:39:16 *.229.133.52
저도 종종 그렇게 섬처럼 살 수 있으면 좋겠다는 생각을 하곤 합니다. ^^
프로필 이미지
한정화
2009.06.19 10:42:54 *.72.153.57
내가 만일 신이라면,
내가 신이라 해도 저는 세상을 이렇게 만들고 싶습니다.
자신의 발전소를 만들어서 자신의 에너지를 공급하며 살아가는 생명체와 다른 생명체를 먹어야만 살 수 있는 생명체가 공존하기 때문에 다같이 살 수 있는 세상이 되었다고 봅니다. 어느 한쪽이 무성하게 번성할 수 없으며, 어느 한쪽의 멸로는 다른 한쪽이 살아갈 수 없는 지금의 세상은 불완전해 보이면서도 완벽해 보입니다.

저는 밥을 먹는 것이 힘겹습니다.
뭔가를 꼭 먹어야만 살 수 있는 생명이기에, 그것을 끊임없이 해야하는 일이 무척이도 힘들었습니다. 그런데 바로 그점이 저를 돌아보게 하고 순하게 만드는 것 같습니다. 무한히 뻗을 수 있을 것 같지만, 결국은 한계를 가진 존재라는 것을 알고, 그 한계를 잊지 않고 그것을 딛고 설 궁리를 하면서부터 다시 성장을 하는 존재라는 것을.
다른 생명의 힘을 취해야만 하는 존재들은 에너지 효율적인 면에서는 그다지 효율성이 좋지 않은 것 같습니다. 그래서 좋아요.

어느날 만화책을 보다가 신은 왜 인간을 만들었는가? 신은 왜 인간을 사랑하는가하는 질문을 받게 되었습니다.
인간은 자신과 닮을 존재인 로봇을 만들려고 하면서 그 질문을 끊임없이 하죠. 뭔가를 만드는 존재는 자신의 존재를 인식해가니까요. 어떤 로봇을 만들고 싶은가하는 것은 인간이 어떠했으면 하는가와 별반 다르지 않죠.
지구상에는 서로 조화롭게 살아가는 생명체가 아주 많아요. 그런데 유독 인간만 신의 뜻을 거역하는 존재로 나와요. 오랫동안 돌봐야 한 개체로서 살아갈 수 있고, 자신이 혼자 설 힘이 생기면 다른 존재를 파괴하는 일을 일삼는 인간은 어쩌면 신이 만든 에덴에서 그 세계를 파괴하는 존재가 되어버렸어요. 그 만화책에서는 이렇게 말하더군요. 인간은 불완전하고 어리석다고. 그래서, 그런데 그 점이 너무나도 사랑스럽다고.

딱 하나의 형태만, 하나의 삶의 존재방식만을 가진 것들로 채워진 세상은 스스로 멸해버려요.
내가 만일 창조주가 된다면, 만일 그렇다면... 제가 만들어둔 세상이 오래되길 바랍니다. 그리고, 그것이 만들어둔 그 상태에 머물지 않고 계속 변화해서 발전해 나갔으면 하는 욕심도 생겨요. 그렇게 되게 만들고 싶군요.
그런 창조자 아니더라도 몇몇의 창작활동을 하는 작가들은 자신이 만들어낸 것이 만들어진 그 순간의 그 형태로만 존재하는 것이 아니라 마치 살아 있는 것처럼, 여러 형태로 해석되고, 자신이 의도한 것과 혹은 의도하지 않았던 수많은 상징들이 살아나서 다시 자기에게 되돌아오는 것을 보며 그 순간순간을 즐기는 것 같습니다.  자신이 만든 것을 조금 떨어져서 기쁘게 바라보며 이야기하면서, 다시 또 뭔가를 만드러낼 궁리를 하죠.

이번에 또 무엇을 만들까.
창조자는 어쩌면 그래서 여러가지 형태를 만들어내지 않았을까 그런 생각을 해봅니다.
프로필 이미지
김용규
2009.06.19 22:42:01 *.229.133.52
"내가 신이라 해도 저도 세상을 (지금의 세상처럼) 이렇게 만들고 싶습니다."
지금 세상이 갖는 역동적 균형에 대해 생각하게 해주시는 긴 대답이 생각을 깊게 해줍니다.
고맙습니다.^^
프로필 이미지
2009.06.22 11:12:40 *.39.39.42

고등어 개체의 개성을 무시하시는군요.
한정화님은 고등어가 되셔도 위와 같은 생각을 가진 고등어가 되고,
나그네님은 고등어가 되셔도 지금과 같은 생각을 가진 고등어가 되시지 않을까요?
진화론의 효용과 더불어 한계도 인정하실 때, 나그네님의 사고도 진화할 수 있지 않을까 생각합니다.

김용규 선생님의 물음에는 머리와 가슴, 모든 에너지를 다 동원해서 부딪히고 있습니다만...
쉬운 질문이었다면, 던지지도 않으셨겠죠. ^^;
점심밥을 꼭꼭 씹으면서 빠져들어 봐야겠습니다.

프로필 이미지
나그네
2009.06.20 16:12:46 *.129.81.166
다음에는 신이 한정화님을 고등어로 만들어버려 누군가의 식탁에서 젓가락질로 살이 뜯기고 찟기는 고통을 주어야 한정화님이 다시는 위와 같은 발언을 하지 않겠죠?
프로필 이미지
2009.06.19 11:30:16 *.217.77.54
창조주는 선과악,음과양,높고낮음,시작과끝,과거현재미래 이 모든것입니다. 
그러니 모든것은 창조주의 뜻입니다.
우리 몸을 소우주라고 하죠. 몸안에는 좋은 균과 나쁜균들이 혼재해서 균형을 이루고 있듯이, 좋은것도 필요하고 나쁜것도 필요하고 이모든것이 어루러져 완전한거 아니겠어요.

여러곳에서 내가 창조주라고 하내요.  처음에는 그럴리가 있나 했는데 하도 여러곳에서 그래서 내가 정말로 창조주인지 알아보고 있습니다.  심증은 가는데 확신이 안드내요.

내가 창조주이면 참 좋을것 같습니다.  좋음과 싫음, 죽음과 삶, 가난함과 부유함, 고통과즐거움을 다품고 자유로울것 같내요.  아마 머지 않아 그리 될겁니다. 

그때되면 얘기해 줄께요. 내가 창조주인지를 어찌 알 수 있는지...
프로필 이미지
김용규
2009.06.19 22:42:48 *.229.133.52
그때되면 꼭 얘기해 주세요 ^^
프로필 이미지
김덕분
2009.06.19 13:20:05 *.131.197.26
만약에
지금 제 삶의 이유가
'나' 때문이라면
저는 지금 죽어도 좋겠습니다.
'나' 때문인 줄 알고 살았다가
'너' 때문인 줄 알고 놀랬던 발견은 지금 다시 생각해도다행입니다.
'우리'라는 삶이 있어
지금도 힘을 냅니다.
'나'는 '우리'를 위해 할 일이 있습니다.
그것이 기쁩니다.
창문 너무 후박나무야 너도 그렇지?

내 친구는 죽어서
감나무 밥이 되었습니다.
저는 친구가 묻힌 감나무 아래 서서
수다를 떱니다.
감나무가 웃었는지는 ... 제 착각입니다.
프로필 이미지
김용규
2009.06.19 22:46:05 *.229.133.52
지금 우리의 삶이 존재할 수 있는 것이
서로 때문이라 말씀하시는 대답에서
역시 김덕분님은 숲과 깊은 관계를 맺고 살고 계시는 분이라는 점을 짐작하게 합니다. ^^
프로필 이미지
이병일
2009.06.21 00:01:09 *.5.214.145
비빔밤에 고추장이 진하십니다.
그위에 계란후라이 하나 얹어드리고 싶다가, 문득 그의 어미닭에게 미안해지려나 싶다가
또 무더위에 삼계탕 생각은 나고,
삼계탕의 지대한 칼로리 생각하니 아서라 싶어 
건강한 채소로 돌아가니 다시 비빔밥으로 돌아옵니다.
식탐의 순환 고리, 언제 어디서나 불쑥 잡식성으로 수시 참여 가능한 종속영양생물로서
인간의 하루가 참 감사한 오늘입니다.
덧글 입력박스
유동형 덧글모듈

VR Left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696 삶도 하나의 방식이다. file [3] 단경(소은) 2009.07.07 2995
695 내 직업은 나를 더 나은 사람으로 만드는가? [3] 신종윤 2009.07.06 3235
694 내 마음 속의 프로크루스테스 죽이기 file [5] [1] 부지깽이 2009.07.03 9217
693 평생 화두로 삼을 그대의 주제를 가졌는가? file [2] 김용규 2009.07.02 4201
692 편지26- 모닝페이지는 흐른다 file [1] 단경(소은) 2009.06.30 3800
691 아인슈타인은 왜 기차표가 필요했을까? 신종윤 2009.06.29 3566
690 이름의 힘 file [3] 부지깽이 2009.06.26 3343
689 쌀 한 톨, 깨 한 포기에서 구하는 대답 [6] 김용규 2009.06.25 3124
688 이 십년 프로 마케팅, 떡볶이 대표 [4] 서지희 2009.06.24 3410
687 인터뷰:WCCF대표 대니박-리더라면 그대, 세상을 그렇게 만들어라 file [2] 소은(단경) 2009.06.23 6949
686 진정으로 하고 싶은 일을 하고 있는가? [3] 신종윤 2009.06.22 2986
685 삶의 기적 - 신화 경영 두 번째 이야기 file [11] 구본형 2009.06.19 4844
» 그대의 대답을 듣고 싶은 철학적 질문 하나 [17] 김용규 2009.06.18 2994
683 23- 유쾌한 택시 기사 [3] 지희 2009.06.17 2714
682 편지 23: 영혼의 소리로 노래하는 사람들 file [2] 신종윤 2009.06.16 3379
681 내일도 오늘만큼 할 수 있는가? [3] 신종윤 2009.06.15 2922
680 신화 경영 - 첫 번째 이야기를 시작하며 file [7] 구본형 2009.06.12 3159
679 그대를 지탱하는 힘, 뿌리 file [7] 김용규 2009.06.11 3281
678 겸손한 그녀에게 배우는 것 [5] 지희 2009.06.10 2923
677 편지23: 당신을 칭찬합니다. [12] 단경(소은) 2009.06.09 395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