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본형 변화경영연구소

오늘의

마음을

마음을

  • 김글리
  • 조회 수 635
  • 댓글 수 2
  • 추천 수 0
2022년 2월 17일 23시 52분 등록

 

제가 좋아하는 이야기가 하나 있습니다. 오래 전 인도에서 전해지는 이야깁니다.

 

비쉬누라는 유명한 도둑이 있었다. 어느날 비쉬누는 내노라하는 부자집에 들어가 작지만 값나가는 진귀한 보석을 훔친다. 하지만 운이 좋지 않았다. 빠져나오는 길에 그만 문지기들에게 들켜버렸고, 밤새 추격전이 벌어졌다. 급박하게 쫓기던 비쉬누는 골목길을 지나다 곤히 잠든 거지를 발견하고 그의 주머니 속에 보석을 숨겼다. 나중에 다시 와서 찾을 속셈이었다. 하지만 비쉬누는 문지기와 몸싸움을 하던 중 죽게 되었고, 보석은 자취도 없이 사라져 버리고 말았다. 졸지에 큰 부자가 된 건 거지였다. 다음 날 잠에서 깬 거지는 보석이 자기에게 있는 줄은 꿈에도 모른 채 여느 때와 다름없이 구걸로 연명했다. 그리고 죽을 때까지 구걸하며 살아간다. 평생 자신에게는 아무것도 없다고 믿었기 때문에 보석을 발견하지 못한 것이다. 거지는 보석을 품은 채, 결국 거지로 죽고 만다.

 

이 이야기를 들으면서 자연히 이런 생각이 떠올랐습니다. ‘과연 우리는 거지와 다르다고 할 수 있을까?’ 물론 누가 내게 보석을 넣어준 일은 없습니다. 하지만 우리에게는 ‘탤런트Talent’ 라는 신이 준 보물이 있죠. (신약성서에 따르면, 탤런트는 '달란트'로 하느님이 인간에게 준 재능을 의미합니다.)

 

내 안에 얼마나 빛나는 보물이 숨겨져 있는지 모른 채 살아가는 사람들이 많습니다. 저는 강점코치로 그런 사람들을 많이 만납니다. 겉보기엔 멀쩡히 일하고 아주 잘 살아가는 듯 보이는데, 내면으로는 스스로를 의심하고 싫어하고 깎아내리는 특성이 있습니다. 나의 가치를 제대로 모르기 때문입니다. 사실 그건 저도 마찬가지였습니다.

 

어렸을 때 저는 열등감이 심했습니다. 도대체 뭘 잘하는지, 잘 하는 게 있기나 한 건지 알 수가 없었습니다. 아무리 봐도 남보다 유달리 뛰어나 보이는 구석이 없었거든요. 참다못해, 많은 시간을 들여 스스로를 연구하기 시작했습니다. 이런 마음이었습니다.

'신이 까먹지 않았다면, 내게도 재능 하나쯤은 주지 않았을까?'

 

재능과 관련된 책과 자료를 계속해서 찾아 읽는 한편, 스스로를 관찰하는 데도 공을 들였죠. 뭐 하나 괜찮은 구석이 보이면 '장점노트'에 다 적어두었고, 누가 칭찬이라도 해주면 '칭찬노트'에 또 적었습니다. 그렇게 지푸라기라도 잡는 심정으로 스스로를 다시 보려고 노력하면서, 의외로 얻은 게 많았습니다.

 

열등감에서 시작된 이런 활동으로 재능에 대해 한층 깊이 있는 시각을 가질 수 있었고, 이는 ‘내 안의 강점발견법’ 을 다룬 책(≪무엇을 잘 할 수 있는가≫(2010))을 공저로 내는 걸로 이어졌습니다. 게다가 지금은 남들의 재능을 찾아주는 ‘강점코치(Strengths coach)’로도 활동하고 있으니, 재밌죠? 저는 이제 제가 무얼 잘하는지, 어떤 재능이 있는지 명확하게 압니다. 강점코칭 일을 하는 도 제가 가진 재능을 잘 쓰는 방법 중 하나입니다. 저에게는 사람들이 어떤 잠재력을 가지고 있는지 파악하고, 그를 끌어주는 재능이 있거든요. 아는 데서 그치지 않고 계속해서 더 많이, 더 잘 쓸 수 있도록 연구합니다.

 

20년 넘게 재능에 대해 연구하면서 알아낸 것 중 확실한 것 하나는 '우리 모두는 뭔가를 가지고 있다'는 겁니다. 다만 우리가 그를 쉽게 잊어버릴 뿐입니다. 우리는 자신이 가진 걸 잘 못 볼 뿐더러, 아주 많이 잊고 삽니다. 우리가 진짜 걱정해야할 건, 재능이 없는 게 아니라 내가 가진 재능을 미처 알아보지 못하는 겁니다. 내가 아무것도 가진게 없다고 한탄할 게 아니라, 내가 아직 발견하지 못한 보물이 혹 있지 않은지 염려해야 합니다. 확신컨대 신이 준 보물- 재능없이 태어난 인간은 단 하나도 없기 때문입니다.


내 주머니 속에 나도 모르는 보물이 들어있지는 않은가요? 

여러분이 가진 보물은 무엇인가요?

IP *.181.106.109

프로필 이미지
2022.02.18 09:08:15 *.23.145.168
'신이 준 선물' 가슴 뛰는 말입니다. 저를 여기까지 데려와 준 것이 그 선물 때문일 것입니다. 그런데 혹시 못 찾은 선물이 있는지 저의 장점인 세심함으로 더 찾아보겠습니다^^오늘 아침 좋은 선물을 받았습니다~늘 건강하세요~
프로필 이미지
2022.02.19 21:07:35 *.202.250.214
차선생님은 세심함이란 멋진 선물을 가지고 있으시군요. 쉽게 보지 못하는 걸 볼수 있는 능력이니, 큰 선물입니다.
덧글 입력박스
유동형 덧글모듈

VR Left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4186 [월요편지 132] 은퇴자들이 퇴직 후 가장 많이 하는 후회 5가지 [1] 습관의 완성 2022.12.25 1058
4185 [라이프충전소] 체게바라의 위장사진 [1] 김글리 2022.12.23 514
4184 [수요편지] 깨달음은 궁극인가 과정인가 [1] 불씨 2022.12.21 394
4183 [월요편지 131] 노후자금 얼마나 필요할까? [1] 습관의 완성 2022.12.18 857
4182 [라이프충전소] 비범한게 없다면 평범한 재능을 연결하기 [1] 김글리 2022.12.16 554
4181 모임을 즐기는 78억가지 방법 [1] 어니언 2022.12.15 426
4180 [수요편지] 허상과의 투쟁 [1] 불씨 2022.12.14 332
4179 [월요편지 130] 50대 이상 퇴직자들의 현실 [1] 습관의 완성 2022.12.11 986
4178 [라이프충전소] 결국 누가 글을 잘 쓰게 되는가 [1] 김글리 2022.12.08 494
4177 좋아함의 증거 [1] 어니언 2022.12.08 375
4176 [라이프충전소] 부모님을 모시고 첫 해외여행을 다녀왔습니다 [5] 김글리 2022.12.03 448
4175 불확실성에 대처하는 확실한 자세 [1] 어니언 2022.12.01 344
4174 [수요편지] 보왕삼매론 [1] 불씨 2022.11.30 425
4173 [월요편지 129] 퇴사 신호들 습관의 완성 2022.11.27 710
4172 [라이프충전소] 실패는 없었다 [3] 김글리 2022.11.25 447
4171 삶의 전략이되는 다정함 [3] 어니언 2022.11.24 547
4170 [수요편지] 일상과 여행, 가을을 보내며 [1] 불씨 2022.11.23 348
4169 [월요편지 128] 회사 다니며 부업으로 쌀국수 매장 2년 해보니 깨달은 것 [3] 습관의 완성 2022.11.20 644
4168 [라이프충전소] 강의갈 때 꼭 여행음악을 듣는 이유 [2] 김글리 2022.11.18 423
4167 두 갈래 길, 하나의 길 [1] 어니언 2022.11.17 45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