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본형 변화경영연구소

오늘의

마음을

마음을

  • 아난다
  • 조회 수 1821
  • 댓글 수 2
  • 추천 수 0
2021년 6월 15일 08시 38분 등록

이제 성공에서 배울 것은 없다고 믿어라.

미래는 늘 새롭게 쓰이는 것이다.

새로움이 미래의 특징이다.

미래를 선점하는 기회는 새로운 길을 만들려는 사람의 차지가 될 수 밖에 없다.

과거의 성공을 묻어라.

그래야 미래로 가는 길을 새롭게 만들 수 있다.

구본형의 <나에게서 구하라> 중에서

인간은 약 35억년 진화의 산물이다.

진화생리학자들은 인간이 만족감보다는 두려움에 더 쉽게 자극받는다고 말한다.

잠재적 위협을 파악하기 위해 바짝 긴장하는 태도는 엄청난 생리학적 이득을 준다.

인간은 두려움을 매우 잘 감지한다.

이런 능력이 우리를 위험한 상황에서 깨어있게 해준다.

인간은 자신을 위협하는 자극을 놓치게 된다면 전혀 살아갈 수 없을지도 모른다.

하지만 두려움이 지나치면 분노와 스트레스로 발전한다.

이러한 인간의 속성은 우리의 몸과 마음이 행복, 사랑, 체화된 기쁨, 생명력 가득한 상태에서 통합된 채로 '현존'하기 어렵게 만든다.

하지만 연구를 통해 신경네트워크를 조금 더 긍정적인 방향으로 자극할수록

이를 점점 더 강화시킬 수 있다는 것도 알게 되었다.

따라서 우리의 뇌를 '기쁨 상태'로 조율할 수 있다면,

행복한 모습으로 살아갈 수 있을 것이다.

바로 이 신경회로의 개선이 소마명상의 목표이자 과정이다.

리사 카파로의 <소마지성을 깨워라> 중에서

두려움에 기반한 선택에서 기쁨과 사랑에 기반한 선택으로.

이 당연하고 마땅한 전환을

작지만 꾸준히 체화해나가는 수련.

언젠가부터 이 수련은 제 삶의 목적이자 과정이 되었습니다.

생명력 가득한 '현존'이라는 새로운 미래를 만들어 가기 위한

다른 길을 알지 못하기 때문입니다.

변화경영과 소마명상에 기반한 이 수련법을 저는 <살림명상>이라 부릅니다.

'요가'라는 단어가

참나(신성)와 합일된 상태, 그 상태에 이르기 위한 수련체계,

그리고 체계에 의거한 구체적인 수련 활동이라는 의미를 동시에 갖듯이

'살림' 역시

생명력 충만한 상태, 그 상태에 이르기 위한 수련체계,

그리고 그 체계에 기반한 구체적인 수련 활동이라는 의미를 동시에 갖습니다.

매트 위에서 몸을 움직이는 것을 요가라고 알고 계신다면

살림은 매트 밖에서 하는 요가적 일상을 이르는 말이라고 이해해도

무방합니다.

그렇다면 그냥 '일상'과 '요가적 일상'의 차이는 무엇일까요?

저는 새로운 연결이라고 대답합니다.

우리에게 필요했던 '최소한의 생존의 기반'을 얻기 위한 습관적인 선택에서

우리에게 필요한 그 모든 것들이 이미 우리 안에 있음을 자각한 상태에서만 할 수 있는

새로운 선택으로!

나에게 필요한 모든 것들이 이미 내 안에 다 있다는 것을 도대체 어떻게 그리 단언하느냐구요?

이게요.

일단 알고 나면 너무나 당연한데

첫 경험을 할 때까지는 그저 '믿으라'고 밖에는 달리 설명드리기가...--;;


그래서 저는 설명대신 '인요가'와 '공간살림'을 권합니다.

가장 쉽고 빠른 체험을 가능하게 해주는 수련이거든요.

대단히 거창한 무엇을 얻지 못하더라도

최소한 몸이 좋아지고, 공간이 단정해지기라도 할테니

잃을 것 없는 모험이기도 하구요.

일단 체험하고 나면 설레기 시작합니다.

매트 위에서 만난 평화를, 내 공간 안에서 만난 기적을

삶의 모든 영역에서 누릴 수 있다면 우리의 삶은 또 얼마나 더 싱그럽게 피어날까요?

벌써 알고 계신다구요!

그죠?

오늘도 흠뻑 기쁜 하루 되시길요~^^♡

IP *.70.30.151

프로필 이미지
2021.06.18 11:18:06 *.9.140.76
체험이 없이 공감할 수 있는 방법은 ?  이해는 되는 데 느낄 수 없다면 ? 
소망, 꿈, 목표를 향한 도전? 혹은 실천하는 그 믿음은? 
타고나는 본능도 아니고 학습할 수 있는 지식도 아닌... 
믿음  " 바라는 것의 실상이요 보이지 않는 것의 증거다 " 라는 
그 인간이 만드는 정신의 최고의 산물 믿음
아난다님의 살림 명상으로 가능할 것 같은 생각이 드네요 !  
 
프로필 이미지
2021.06.28 19:41:51 *.70.30.151

살아있는 누구에게나 주어진 '현장'을 깨어남의 현장삼을 수 있기를...

오늘도 정성을 다해 기도하며 수련합니다. ^^

덧글 입력박스
유동형 덧글모듈

VR Left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4194 [수요편지] 혁명으로 가는 길 [1] 불씨 2023.03.15 1548
4193 [목요편지]아침 운동 [1] 어니언 2023.03.09 1846
4192 [수요편지] 그와 우리의 유일한 차이 불씨 2023.03.07 1365
4191 [라이프충전소] 당신이 정말 친구로 만들어야 할 사람 [1] 김글리 2023.03.03 2008
4190 다시 회사로 [2] 어니언 2023.03.02 1560
4189 [라이프충전소] 외국어를 1년간 매일 하면 얼마나 늘까? 김글리 2023.02.24 1635
4188 드디어 호그와트에 입학하라는 부엉이를 받았습니다. [1] 어니언 2023.02.23 1455
4187 [수요편지] 심리적 안정감 [1] 불씨 2023.02.21 1437
4186 [수요편지] 바위를 미는 남자 [1] 불씨 2023.02.15 1526
4185 [월요편지 137] 마음이 힘들 때 보세요 [1] 습관의 완성 2023.02.12 2242
4184 [라이프충전소] 론리여행자클럽 [1] 김글리 2023.02.10 1537
4183 두 가지 멋진 일 [3] 어니언 2023.02.09 1788
4182 [수요편지] Stay tuned to your heart ! [1] 불씨 2023.02.08 1604
4181 [수요편지] 너를 위하여 [1] 불씨 2023.01.31 1492
4180 [월요편지 136] 50 이후엔 꼭 버려야 할 3가지 습관의 완성 2023.01.29 2067
4179 [라이프충전소] 실패는 실패로만 끝나지 않는다 김글리 2023.01.27 1456
4178 [라이프충전소] 실패를 바로잡는 기술 [4] 김글리 2023.01.20 1847
4177 실수를 통한 성장 [1] 어니언 2023.01.19 1513
4176 [수요편지] 괜찮아, 친구잖아 [1] 불씨 2023.01.18 1436
4175 [월요편지 135] 은퇴 후 절대 되지 말아야 할 백수 유형 3가지와 남들이 부러워하는 백수가 되는 방법 습관의 완성 2023.01.15 179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