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명석
- 조회 수 2714
- 댓글 수 2
- 추천 수 0
안정효는 ‘글쓰기만보’를 수영이야기로 시작한다. 마포강변에서 자라 수영을 아주 잘한다는 것이다. 초등학교 6학년 때 한강을 헤엄쳐 건넜다니 그 말은 사실일 것이다. 그렇다보니 여러 사람에게 수영을 가르쳐 보았는데, 이틀이면 충분하단다. 물에 뜨는 연습, 얼굴을 들어 호흡하기, 그리고 팔다리를 휘저어 자유형을 익히게 하면 끝난다는 것이다. 그 다음부터 물과 친해지고, 물속에서 오래 노는 법을 익히는 것은 순전히 각자의 몫이라는 것. 그러니 문화센터 같은 곳에서 수영강습을 할 때 도대체 두 달씩이나 무엇을 가르치는지 알 수가 없다고 덧붙인다. 접영? 그는 말한다. 한강을 접영으로 건널 수 있겠느냐고.
그는 글쓰기가 수영과 같다고 말한다. 학교교육을 받은 대부분의 사람들은 모두 문장을 다룰 수 있다. 이 기초적인 기술을 가지고 보다 정확하거나 섬세하고 아름다운 문장을 써나가는 것은 각자의 훈련에 달려 있지 누가 가르쳐줄 수 있는 것이 아니라는 것이다. 그만큼 문체가 개인적이고 심리적이며 섬세한 것이라는 뜻일 텐데, 나는 이 부분을 읽으며 환호했다. 글쓰기강좌를 딱 4회 해 보고 알아차린 것을, 반세기 동안 저술과 번역을 해 온 노장에게서 추인 받는 기분이 달콤했다. 아주 요긴한 은유를 얻어 뿌듯하기 그지없었다.
많은 사람들이 글쓰기를 배워야만 잘한다고 생각한다. 그래서 글쓰기에 대한 책을 잔뜩 사 놓거나, 글쓰기강좌를 순례하기도 한다. 자신은 글을 잘 못쓴다고 생각하고 선생의 지도를 갈망한다. 내 생각은 다르다. 글쓰기에 대한 책은 서너 권이면 충분하다. 나와 궁합이 맞는 책 서 너 권을 발견하기 위해 몇 십 권을 읽는 경우도 있겠지만, 중요한 것은 ‘사는 것’이 아니라 ‘읽는 것’이다.
읽은 다음에는 단 한 줄이라도 금과옥조를 내 마음에 품는 것이 필요하다. 그저 읽고 치워서는 달라지는 것이 없다. 내 경우에는 단 한 줄의 문장이 내 안에 들어와 평생 안고 갈 좌우명이 된 경우가 비일비재하다. 가령 윌리엄 진서의 ‘글 쓰는 사람이 팔아야 할 것은 글의 주제가 아니라 글 쓴 사람 자신이다.’ 같은 문장. 이 문장에 접했을 때, 눈이 번쩍 뜨이고, 가슴에는 허브향기가 퍼지고, 입에서는 절로 탄성이 나왔다. 글쓰기의 비밀 하나를 전수받은 것처럼 감격스러웠다.
이런 발견은 평소에 글쓰기에 마음을 두고 있어야 가능하다. 꾸준히 글을 쓰면서 좀 더 좋은 글을 쓰고 싶어 안달난 사람의 눈에만 뜨인다. 무엇이든 좋은 것을 알아보려면 내 안에도 그와 비슷한 것이 들어있어야 하기 때문이다. 내가 표현만 하지 못했지 얼추 깨닫고 있던 것을 누군가 명확하게 문장으로 정리해 놓은 것을 보았을 때, 그것을 발견한 기쁨은 하늘을 찌른다. 그리고 내 글쓰기는 고수의 수혈을 받아 좀 더 단단해진다.
그러니 글을 쓰기 위한 최소의 원칙은 글쓰기에 대한 책을 사 모으는 것이 아니고, 문장론이 아니고 첨삭지도는 더더욱 아니다. 바른 문장에 대한 것은 반듯한 책 한 권 옆에 놓고, 글을 쓰다가 궁금한 것이 있을 때마다 찾아보면 된다. 첨삭지도를 잘못 받으면 폐해가 더 크다. 공연히 두려움만 더 키우기 쉽다.
글을 쓰기 위해서는 이 두 가지만 있으면 된다. 무언가 세상에 대고 하고 싶은 말이 있을 것, 그리고 그것을 글로 옮겨 적는 것. 이것이 없이는 다른 어떤 행위도 쓸데없다. 그야말로 ‘끌고 갈 말도 없는데 마차를 준비’하는 격이다. 먼저 마구간부터 살펴라.
덧1. 위 글의 제목 ‘글쓰기의 최소원칙’은 경희대출판국에서 나온 단행본 제목에서
빌려왔습니다.
덧2. ‘글쓰기를 통한 삶의 혁명’이라는 제목의 글쓰기강좌를 하고 있습니다.
곧 3월 강좌가 시작됩니다.<4주> http://cafe.naver.com/writingsutra
저는 아주 많이 비슷하다고 느껴요.
화실에서 몇달 그리기를 배우던 분들이 모두 빠져나갔습니다. 저도 그 화실을 그만두었습니다.
몇달간 지독하게 열심히 그리시던 분들이 화실을 그만두시면서 하시는 말씀은 '역시 자기가 많이 그려봐야 는다'였습니다. 그분들 기초는 배우셨고 그 다음부터는 그리기라고 하시더군요.
무엇을 그릴 것인가도 비슷해 보여요. 처음에 배울 때는 무엇을 그릴지 몰라 선생님이 그려보라고 하는 것을 하게 되는데, 그렇게해서 그리는 법이라는 것을 배우고 나면 명석님이 말씀하신 마구간의 말 문제가 끼어듭니다. 그리고 싶은 것을 찾는 거죠.
창조하는 사람들에겐 이 문제는 정말 중요한 것 같습니다.
무엇을 쓰고 싶은지, 무엇을 그리고 싶은지, 무슨 책 어떤 책을 쓰고 싶은지.... 이 질문 앞에서 답은 숨어버리기도 하고 가끔은 가슴을 와서 치기도 하고, 또 어떨 때는 아주 커다란 무게로 삶을 짓눌러 버리기도 해요.
번호 | 제목 | 글쓴이 | 날짜 | 조회 수 |
---|---|---|---|---|
376 | <라라8> 글이 써지지 않으면 시를 읽어라 [2] | 한명석 | 2010.02.17 | 2844 |
375 | <라라9> 글이 아니라 말을 지어라 | 한명석 | 2010.02.18 | 2610 |
» | <라라10> 글쓰기의 최소원칙 [2] | 한명석 | 2010.02.18 | 2714 |
373 | 노트북 지르기를 참으며. | 맑은 김인건 | 2010.02.19 | 2543 |
372 | <라라11> 낮술 [4] | 한명석 | 2010.02.19 | 2774 |
371 | <라라12> 만나야만 만난 것이다 [3] | 한명석 | 2010.02.20 | 2611 |
370 | 변화가 어려운 이유 [1] | 청보리 | 2010.02.21 | 4084 |
369 | 재미있는 전략이야기 23- 면후, 냉철한 부동심 III | crepio | 2010.02.22 | 2820 |
368 | <라라13> 나는 언제나 무조건 옳다 [5] | 한명석 | 2010.02.23 | 2609 |
367 | 제 변화이야기! | 강상수 | 2010.02.23 | 2528 |
366 | <라라14> 단순막강한 글쓰기팁 하나 | 한명석 | 2010.02.25 | 2619 |
365 | <라라15> 내 글을 내가 고칠 수 있을 때 | 한명석 | 2010.02.26 | 2534 |
364 | <라라16> 글쓰기에 대한 책 10선 [3] | 한명석 | 2010.02.28 | 3096 |
363 | 감사 | 맑은 김인건 | 2010.02.28 | 2453 |
362 | 100일 창작 - 아름다운 몸 [4] | 한정화 | 2010.03.01 | 2846 |
361 | <라라17> 대가들이 입을 모아 하는 말 [4] | 한명석 | 2010.03.01 | 2531 |
360 | 정보가 용기다. [1] | 숲속나무 | 2010.03.01 | 2563 |
359 | 콘텐츠와 시간 [1] | 맑은 김인건 | 2010.03.02 | 2455 |
358 | 재미있는 전략이야기24- 심흑(心黑), 예측할 수 없는 비정형... [4] | crepio | 2010.03.02 | 2677 |
357 | <라라18> 첫 책이 늦어져 초조한 그대에게 [4] | 한명석 | 2010.03.03 | 245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