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본형 변화경영연구소

커뮤니티

나의

일상에서

  • 구본형
  • 조회 수 4279
  • 댓글 수 3
  • 추천 수 0
2007년 2월 12일 06시 52분 등록
왜 조직의 변화의 경영에 실패하는가 ? 2007년 1월 ,항공우주

사람은 잘 변화할까 ? 그럴 수도 있고 아닐 수도 있다. 모호하고 어벙한 대답이라 여길지 모르겠다. 그러나 정말 그렇다. 생물학적으로 우리의 뇌는 대략 세 부분으로 나누어져 기능한다고 알려져 있다. 그 중 한 부분은 ‘대뇌피질’이라는 부분으로 학습과 추상적 사고를 관장한다. 아이가 7살이 되기 전에는 지적인 판단을 내리기 어려운데 그것은 이 부분이 충분히 갖추어져 있지 않기 때문이다. 그러나 그 이후가 되면 이 부분은 계속 성장하여 정연한 논리가 작용하는 곳으로 자라게 되며 인간이 다른 동물과 달리 수준 높은 추리력을 발휘하도록 해 준다.

또 한 부분은 ‘대뇌변연계’ 로 감정을 다룬다. 감정은 모순으로 가득 차 있다. 대뇌변년계는 출생 후부터 약 5년 동안 어머니와의 관계를 통해 형성된다고 알려져 있다. 사람은 어머니와의 따뜻한 사랑과 정을 통해 이 부분을 형성시킨다. 그래서 이 부분은 여성적인 측면이 강하다. 사람이 성인되어 대뇌피질과 대뇌변연계가 싸움을 벌리면 대부분은 대뇌변연계의 승리로 끝나게 되어 있다. 감정은 대체로 논리를 지배하기 때문에 이성보다는 감정을 따를 가능성이 훨씬 높기 때문이다.

변화를 다룰 때도 마찬가지다. 사람들은 지금이 불만스러운 상황이며 변화가 필요한 때라는 것을 머리로는 이해하지만 마음 깊은 곳에서는 감정적으로는 이를 거부하고 안정을 추구한다. 불확실한 미래에 대한 두려움이 크면 현재의 불만족을 받아들이고 감수하는 경향을 선택하기 쉽다.

그러나 정말 인간의 진화와 무관하게 우리의 속에서 우리를 지배하는 것은 우리 뇌 속의 ‘파충류의 뇌’다. 마치 파충류의 뇌를 닮았다하여 이렇게 불리는 이 부분은 본능과 생식을 관장한다. 이 부분은 인류가 태어난 다음부터 지금 까지 하나도 변한 것이 없다.

본능은 가장 동물적이지만 이것을 상실하면 인류는 멸종 되었을 것이다. 파충류의 뇌는 생존과 번영을 다룬다. 인간에게는 ‘올바른 이해와 추론’ 보다는 ‘기분 좋은 감정을 느끼는 것’이 더 중요하다. 그러나 삶의 가장 기초적인 대목은 ‘살아남는 것’이다. 본능은 논리와 감정과의 싸움에서 늘 승리자가 되게 한다. 그렇지 않았다면 우리는 생존하고 번식하지 못했을 것이다.

나는 살아남으려는 본능을 망실한 조직을 종종 본다. 그들의 공통적인 특징은 자신이 현재 위기에 처해 있다는 것을 전혀 의식하지 못한다. 마치 용광로 속으로 걸어 들어가면서 뜨거움을 느끼지 못하는 것과 같다. 그들은 위험을 지각하는 감각을 상실한 것이다. 대체로 이런 조직은 비경쟁적인 곳에서 오래 동안 황금탯줄을 통해 독점적으로 영양을 공급 받아 왔다는 공통적 특징을 가지고 있다.

예를 들어 세계의 어디를 가나 공공 조직은 보수적이고 느리고 권위적이다. 생존하기 위해 친절해야하거나 빨라야하거나 더욱 땀 흘려 노력해야할 이유를 가지고 있지 않기 때문이다. 그들은 어머니의 자궁 속의 안정이 보장되어 있다고 느낀다. 그들은 마치 아직 태어나지도 않은 조직이거나 위험한 환경을 전혀 눈치채지 못한 유아와 같다.

자신을 보호하고 있는 독점적 지위, 예를 들어 법의 보호, 국가적 경계의 보호, 성과와 관계없이 언제나 돈이 흘러드는 황금 탯줄 같은 것들은 이들의 유아적 안정감을 자극하여 현상을 유지하게 만든다.

IBM은 미국의 자존심이었고 시대가 요구하는 가장 첨단 산업분야에서 전세계적으로 한때 40만의 엘리트로 구성된 조직이었지만 1990년 대 초에 거의 죽을 뻔하다 살아났다. 그 회생의 과정에서 약 1/3에 해당하는 직원들이 회사를 떠나야 했다.

자동차 산업의 대명사였던 GM은 지금 기로에 서 있다. 올해 도요타는 성과면에서 세계 최고의 자동차 회사가 될 것이 거의 확실하다. 불과 몇 년 전까지 일본의 얼굴이었던 소니는 이제 더 이상 그렇게 불리는 것이 타당할까를 의심하게 할 만큼 불운했다. 가장 성공적인 기업에게도 생존은 쉬운 일이 아니다. 하물면 이보다 작은 기업들은 더 말할 나위가 없다.

이성적으로 더 나아지기를 바라지 않는 조직은 없다. 그러나 변화는 힘들고 두려운 것이다. 변화 자체를 불가능하게 만드는 가장 중요한 원인은 조직의 구성원들이 ‘왜 지금 이대로 있을 수 없는 지’ 를 감지하지 못한다는 점이다.

강력한 변화의 적은 현재를 ‘그럭저럭 견딜만한 상황‘으로 규정하는 것이다. 즉 변화를 ’생존의 문제‘ survival issue로 규정하는 대신 ’하면 좋은 것‘, 이라는 논리적 문제나 행복에 대한 문제로 대체했기 때문이다. 현재를 그대로 덮어두려는 자기기만에 속아서는 안된다. 지금을 ’생존의 위기‘로 규정하는 절박한 문제의식만이 변화를 시작하게 하는 에너지다.

1990년대 초 삼성은 ’프랑크푸르트 회의‘로 상징되는 일련의 과정을 통해 회장이 임원들과 함께 해외의 주요 가전제품 매장을 순회했다. 그리고 소니가 빛나는 자리를 차지하고 전시장의 중심에 전시되는 반면, 삼성의 제품들은 구석에 먼지를 뒤집어 쓴 채 방치된 현장을 직접 눈으로 보게 했다. 그것이 당시 세계 속의 삼성의 위치였다. 그리고 ’그 자리‘는 절대로 그대로 머물러서는 안되는 극복의 자리가 되어야 한다는 본능적 공감대를 만들어 내는 데 성공했다.

경영혁신과 리더십 분야의 전문가인 존 코터(Jhon Kotter)는 구성원들에게 변화의 필요성을 설득하기 위해서는 ‘무엇이든 해야한다’고 말한다. 본사를 매각하고 중역 월급의 50%를 줄이고 중역 전용 식당이나 엘리베이터 같은 것들을 제거하는 등의 상징적이고 극적인 조치를 취해야 한다고 말한다. 절박한 ‘위기의식의 공유’야 말로 변화를 시작하기 위해 반드시 가장 처음 회복해야하는 ‘결정적이면 본능적인’ 포인트이기 때문이다.

변화는 떠남이다. 그것은 불만족스러운 현재를 떠나 바람직한 미래로 향하는 끝없는 여정이다. 그것은 하나의 존재가 더 나은 존재로 진화해 가는 것이다. 따라서 성공하는 기업은 모두 혁신기업이며 비전기업이다. 한마디로 끊임없이 흐르는 기업들이다. 우리가 진정으로 두려워해야할 것은 변화의 실패가 아니다. 정말 두려운 것은 변화를 외면하고 멈춰서는 것이다.
IP *.116.34.188

프로필 이미지
초아
2007.02.12 07:22:57 *.167.59.35

정말 올바른 이야기이다. 아침에 일어나서 글을 쓰다 권태로우면 선생님 홈페이로 들어와 올린 글을 읽는 것이 버릇이다. 오늘의 글이 어떤 책보다, 무엇과 바꾸지 못할 정도로 감명을 받았다. 변화함의 진수가 느껴지는 문체이다.

"革 悔亡 有孚 改命 吉"
<변화는 자신의 행위에 후회가 없어야 하고 믿음과 확신 운명을 바꿀 것이라는 사명을 가져야 성공하고 길하다.>

주역에서 열거 하는 변화와 조금도 다르지 않다. 이런 글을 읽을 때마다 마지막을 향해가는 나를 더욱 채칙질하며 조금이라도 자아변화에 박차를 가합니다. 자주 좋은 가르침을 ...

프로필 이미지
레인맨
2007.02.12 15:35:52 *.94.41.89
"익숙한것과의 결별" 초입에 나오는 상황이 생각납니다, 불에타서 침몰하고 있는 배에서 뛰어내릴지 말지를 망설이는 순간. 끝까지 배와함께 침몰 할 것인가 ?, 죽든지 살든지 바다로 뛰어 내릴 것인가?
지난 5년 동안은 내가 20년 가까이 회사생활을 하면서 겪게된 철저한 고통의 시간들이었습니다. 돌이켜 생각해 보면 지옥과 같은 지난5년의 시간이었습니다 (스스로 우울증라 생각되는 처참한상황도 맡보았고). 자신을 찾기 위하여, 변화를 위하여 지독한 몸부림으로 보냈던 시간들이었죠, 변화의 기회가 왔고 과감하게 배에서 뛰어 내렸습니다. 새롭게 정착한곳도 역시 낮설고 힘든시간이었지만 이전에 느꼈던 자신을 갉아먹은 고통은 아니었고, 새로운 변화에 적응하는 창조적인 고통의 시간이었죠. 돌이켜 생각해 보면 지난 8개월은 새롭게 자신을 발견하는 소중한 시간이었습니다. 비록 새로운 사업부에서 적응하는것이 아직 완전한건 아니지만, 월요일을 활기차기 시작할 수 있게 되었고, 부서장으로 부터 인정도 받았습니다. 이전 사업부에서의 처절한 자기반성이 새로운 생활에 적응하는데 더없는 자양분이 된 것 같습니다. 변화는 해볼만한 것이라는것을 스스로 깨닫기 전에는 결코 알 수 없는 신기루 같은 것이지요. 가끔 고명한 선사들이 하는 말씀을 듣습니다, "깨달음을 얻는다는것은 아무것도 아니라고" 하지만 깨달음을 해보지못한 중생은 너무도 어려운 과제이지요..."변화" 도 이와같은것이 아닌가 생각해 봅니다. "변화" 해볼만 합니다. 아마도 "변화"를 주저하시는 분에게는 여전히 신기루같은 이야기로 들리시겠지만....
프로필 이미지
스카이
2007.04.05 11:08:32 *.253.60.34
공공조직은 계층 위로 올라갈수록 더 보수적인 것 같습니다.
민원을 직접상대하는 말단의 저는 늘 해오던 방식대로 민원을 상대하다가 인터넷에 몇번 저를 탓하는 글을 올리신 것을 보아야 했고, 전 그런 상황을 견디기가 힘들었습니다.
그래서 공무원들은 민원을 상대해야하는 곳으로 가는 것을 기피합니다.

아직 잘은 모르지만 공공조직 또한 변화해야만 살아남는 시대가 오진 않을까요?
덧글 입력박스
유동형 덧글모듈

VR Left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56 100일 창작 - 묘사 file [3] 한정화 2010.03.16 4271
» 왜 변화의 경영에 실패하는가 ? [3] 구본형 2007.02.12 4279
154 목표 중독증에서 벗어나 실험을 즐기는 법 [5] 구본형 2006.05.28 4281
153 미쳤어, 미쳤어~ (미침에 대한 고찰까지야...흐..) file [2] 미친양 2008.11.19 4287
152 <핵심가치에 대한 몇 가지 실용적인 충고> 홍승완 2003.06.05 4288
151 잘 할 수 있는 일 안인균 2004.01.06 4291
150 일상을 뛰쳐나간 주말여행 [5] 해언 2013.10.07 4291
149 자신을 있는 그대로 인정하는 것 choice 2004.01.07 4294
148 품질 혁신에 대한 올바른 방향 [7] 구본형 2007.04.12 4296
147 올해 안에 자랑스러운 업적 하나를 만들어 내는 법 [2] 구본형 2006.05.28 4301
146 [Love Virus 6] 당신의 웃는 모습만 생각나요 file 한정화 2011.02.21 4301
145 100일 창작 - '영웅의 여정' 시리즈 file [5] [5] 한정화 2010.05.07 4307
144 [Human transition] 6. 변화를 지속시키는 방법-1 홍승완 2003.06.22 4322
143 제너럴 일렉트릭(General Electric)의 경영권 승계 과정 [1] 홍승완 2004.12.20 4323
142 [Human transition] 12. 전문가의 세 가지 책임 홍승완 2003.09.16 4334
141 [이순신과 조선 수군] 상주 전투와 충주 전투의 패배 그... 홍승완 2005.07.17 4338
140 오티콘(Oticon)의 부활 [2] 홍승완 2005.01.31 4340
139 야쿠르트 아줌마입니다. [7] 이혜숙 2006.04.05 4340
138 재미있는 전략이야기-조조와 제갈량 [1] crepio 2009.10.18 4345
137 100일창작 - 영웅의 여정 시리즈(2) file [2] [5] 한정화 2010.05.09 435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