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홍승완
- 조회 수 3695
- 댓글 수 0
- 추천 수 0
구본형 변화경영 연구소 연구진 1차 미팅
* 일시: 3월 19일 토요일 오후 2시 ~ 7시 30분
* 참석인원: 11명(구본형 선생님, 연구진 전원)
* 장소: 민들레 영토- 신촌모점
* 주제: ① 자기소개 ② 연구 방향과 방법 ③ 온라인(홈페이지) 활용 방안
■ 우리의 비전과 목표
1. 비전
“마음이 원하는 것을 삶과 일상의 중심으로 끌어 들인다.”
2. 목표(2년 후 회고)
“나는 내가 가장 관심 있는 분야에 대하여 한 권의 책을 썼다. 나는 내 삶 속에서 무엇에 관심이 있는지 알아냈다. 그리고 그 일에 대해 생각했다. 그리고 내 생각을 표현했다. 그것이 이 책이다. 나는 이 작업을 소중한 일이라고 생각했다.”
■ 연구 방법 및 과제
1. 매주 한권씩 좋은 책을 읽고 정리한다.
“매일 조금씩 인용하고, 정리하고, 주석을 간단히 달아 두었다. 그리고 ‘나라면 어떻게 썼을까?’라는 저자의 시선으로 옮겨 갔다.”
- 과제: 도서 정리(5page)
- 1주일에 1권씩, 1년간 총 50권의 도서를 읽고 정리한다.
- 50권의 도서 중 10권은 공통도서이고 40권은 팀별 선택 도서이다.
- 3가지 관점에서 정리: ① 직접 인용 3page ② 소감 1page ③ ‘내가 저자라면’ 1page
- ‘도서 정리’는 홈페이지 메뉴 중에서 '좋은 책 book review'에 올린다.(변경될 수 있음)
- 매일 읽고 더하고 빼면서 완성해 나갈 것.
2. 매주 작은 주제 하나에 대하여 한 꼭지의 글을 쓴다.
“1년 후 50개의 글 꼭지를 가지게 되었고, 이것은 책의 기초 역할을 해 주었다.”
- 과제: 주간 칼럼(1page 이상)
- 전공 분야 및 관련된 주제에 대한 자신의 견해를 표현한다.
- ‘주간 칼럼’은 홈페이지 메뉴 중에서 ‘함께 생각해봐요’에 올린다.(변경될 수 있음)
3. 오프라인 모임에서 각자(팀)의 주제에 대해 발표하고, 동료들의 도움을 받고 심화한다.
“우리는 서로에게 좋은 스승이며 서로를 밝히는 빛이 될 수 있었다.”
- 오프라인 모임은 수련의 자극제이자 촉진제 역할을 한다.
- 모임은 2달에 3회, 1년간 총 20회.
- 모임은 원칙적으로 월요일에 진행한다.
- 총 20회의 모임 중에서 2~3회는 1박 2일의 워크샵으로 집중 학습을 한다.
4. 연구 과정에서 일반 참여자의 on-line feedback을 중요하게 여긴다.
“관심 있는 사람들이 함께 즐기고 고민할 수 있는 수준의 컨텐츠를 만들어냈다. 그리고 책의 정리와 칼럼(주제 발표)에 대해 일반 참여자들이 해준 코멘트에 반드시 답변했다. 답변 또한 기술이다.”
- 제목, 문체, 전개방식, 인용, 사례, 재미, 깊이, 시의적절성, 완성도 등의 부분에서 일반 참여자들의 피드백을 받을 수 있을 것이다.
5. 팀별 프로젝트를 통해 자신의 분야에 대한 현장감을 높이고, 다른 분야와의 연결 고리를 모색한다.
“우리는 서로 다른 시선으로 살펴주었고 지원해 주었다.”
- 과제: 팀 프로젝트(아래 ‘연구팀 구성’ 부분 참고)
- 유사한 관심사를 가진 연구원이 모여 팀을 구성하여 서로 협력하고 수련한다.
■ 우리의 원칙과 규칙
1. 나라는 수수께끼를 푼다.
2. 힘써 서로 돕는다.
3. 매일 한다.
4. 즐긴다.
- 부칙1. 정해진 시간에 on-line 과제를 하지 않으면 off line meeting에 올 수 없다.
- 부칙2. 3번 off line meeting에 참가할 수 없게 되면 연구원을 스스로 그만두어야 한다.
■ 공통 도서(10권)
1. 인문 도서
① 강의 : 신영복 저 / 돌베개 / 2004년 11월
② 삼국유사 : 일연 저 / 김원중 역 / 을유문화사 / 2002년 11월
③ 역사 속의 영웅들 : 윌 듀런트 저 / 안인희 역 / 황금가지 / 2002년 08월
④ 가자, 아메리카로! : 리오 휴버만 저 / 박정원 역 / 비봉출판사(BBbooks) / 2001년 09월
⑤ 생각의 지도 : 리처드 니스벳 저/최인철 역 / 김영사 / 2004년 04월
- ‘가자, 아메리카로!’가 추가되었음.
- ‘생각의 지도’는 맨 마지막에 읽고, 나머지 4권의 읽는 순서는 자율임.
2. 경영 도서
① 피터 드러커의 책 1권 자유롭게 선택
② 성공하는 기업들의 8가지 습관 : 짐 콜린스 / 김영사 / 2002년 10월
③ 죽은 경제학자의 살아있는 아이디어 : 토드 부크홀츠 / 김영사 / 1994년 10월
④ 소유의 종말 : 제레미 리프킨 / 민음사 / 2001년 05월
⑤ 구본형의 도서: 익숙한 것과의 결별 / 그대 스스로를 고용하라 / 나, 구본형의 변화 이야기
- 공통도서로 인문도서 5권 외에 경영 도서 5권이 추가되었음.
- ⑤의 세 도서는 각 팀별로 한 권씩 선택하여 읽을 것임.
- 읽는 순서는 자율임.
■ 연구팀 구성
- 전공 분야가 비슷한 연구원 3~4명이 모여 한 팀을 이룬다.
- 전공 분야와 팀은 2005년 5월 2일 모임 전에 확정한다.
- 다음은 팀 구성과 팀 프로젝트의 윤곽이다(확정된 것 아님).
1. 1팀 : 텍스트와 이미지 이상의 표현
- 텍스트가 아닌 다른 것으로 개인을 표현할 수 있을까? 그리고 그런 사람을 어떻게 도와줄 수 있을까?
- 관심 주제: 개인 브랜드 표현방식으로의 웹, IT 분야의 언어를 인간적(인문학적)으로 표현, IT 교육에 대한 실용적인 텍스트 북
- 제 1 과제: ‘고뇌가 있는 최고의 변화경영 자료실( 구본형 변화 경영연구소)’를 어떻게 표현하나?
- 제 2 과제: ?
* 강미영 - 개인의 브랜드를 알리는 법(웹으로 표현한 커뮤니케이션)
* 오병권 - 인간의 언어로 쓰여 진 IT(인문학과 IT 기술)
* 신재동 - 알기 쉬운 웹/네트워크
2. 2팀 : 위대한 기업의 뼈대
- 관심 주제: 조직 진단 및 평가, 사례 연구, 기업의 절정에 대한 연구, 초일류기업의 베스트 프랙티스, 특화된 분야의 조직 탐구, 한국 기업 중 투자할만한 초우량기업은 어디이고 이런 기업들의 공통점은 무엇인가, 훌륭한 한국의 CEO에 대한 연구.
- 1과제 : 한국의 경영자들 인터뷰/연구
- 2과제 : 한국경영의 성공 케이스
* 오세나 - 글로벌 스탠다드
* 홍승완 - 세계의 초우량기업: 그들의 절정
* 손수일 - 내가 투자하고 싶은 한국의 위대한 기업
* 박노진 - 음식업계 best practice 연구
3. 3팀 : 개인의 시대
- 관심 주제: 개인의 성장 및 자기계발, 자아경영, 꿈 찾기, 보통사람으로 자신만의 길을 가고 있는 사람들에 대한 탐색 및 연구.
- 제 1 과제 : 변화 경영연구소 ‘상담 크리닉’ 상담에 대한 조언
- 제 2 과제 : 평범한 사람들의 자기 길 모색 case/interview
* 이선이 - 나를 구한 위대한 언어들
* 문요한 - 장애의 극복과 성공
* 이익상 - 지적 보물, 어디에 무엇이 있나
■ 2차 모임 정보
- 2차 모임에 대해서는 별도로 연락하겠음.
- 2차 모임 장소는 예약 완료했음.
* 일시: 4월 11일 월요일 오후 6시 30분 ~ 10시 30분(11시)
* 장소: 토즈(TOZ)- 신촌본점
* 주제: ① 관심 분야에 대한 발표 및 토론 ② 3차 모임 준비
- 3차 모임 날짜는 5월 2일 월요일로 잠정 결정했음.
- 3차 모임은 1박 2일로 워크샵을 진행하는 것을 고려하고 있음.
IP *.120.97.46
* 일시: 3월 19일 토요일 오후 2시 ~ 7시 30분
* 참석인원: 11명(구본형 선생님, 연구진 전원)
* 장소: 민들레 영토- 신촌모점
* 주제: ① 자기소개 ② 연구 방향과 방법 ③ 온라인(홈페이지) 활용 방안
■ 우리의 비전과 목표
1. 비전
“마음이 원하는 것을 삶과 일상의 중심으로 끌어 들인다.”
2. 목표(2년 후 회고)
“나는 내가 가장 관심 있는 분야에 대하여 한 권의 책을 썼다. 나는 내 삶 속에서 무엇에 관심이 있는지 알아냈다. 그리고 그 일에 대해 생각했다. 그리고 내 생각을 표현했다. 그것이 이 책이다. 나는 이 작업을 소중한 일이라고 생각했다.”
■ 연구 방법 및 과제
1. 매주 한권씩 좋은 책을 읽고 정리한다.
“매일 조금씩 인용하고, 정리하고, 주석을 간단히 달아 두었다. 그리고 ‘나라면 어떻게 썼을까?’라는 저자의 시선으로 옮겨 갔다.”
- 과제: 도서 정리(5page)
- 1주일에 1권씩, 1년간 총 50권의 도서를 읽고 정리한다.
- 50권의 도서 중 10권은 공통도서이고 40권은 팀별 선택 도서이다.
- 3가지 관점에서 정리: ① 직접 인용 3page ② 소감 1page ③ ‘내가 저자라면’ 1page
- ‘도서 정리’는 홈페이지 메뉴 중에서 '좋은 책 book review'에 올린다.(변경될 수 있음)
- 매일 읽고 더하고 빼면서 완성해 나갈 것.
2. 매주 작은 주제 하나에 대하여 한 꼭지의 글을 쓴다.
“1년 후 50개의 글 꼭지를 가지게 되었고, 이것은 책의 기초 역할을 해 주었다.”
- 과제: 주간 칼럼(1page 이상)
- 전공 분야 및 관련된 주제에 대한 자신의 견해를 표현한다.
- ‘주간 칼럼’은 홈페이지 메뉴 중에서 ‘함께 생각해봐요’에 올린다.(변경될 수 있음)
3. 오프라인 모임에서 각자(팀)의 주제에 대해 발표하고, 동료들의 도움을 받고 심화한다.
“우리는 서로에게 좋은 스승이며 서로를 밝히는 빛이 될 수 있었다.”
- 오프라인 모임은 수련의 자극제이자 촉진제 역할을 한다.
- 모임은 2달에 3회, 1년간 총 20회.
- 모임은 원칙적으로 월요일에 진행한다.
- 총 20회의 모임 중에서 2~3회는 1박 2일의 워크샵으로 집중 학습을 한다.
4. 연구 과정에서 일반 참여자의 on-line feedback을 중요하게 여긴다.
“관심 있는 사람들이 함께 즐기고 고민할 수 있는 수준의 컨텐츠를 만들어냈다. 그리고 책의 정리와 칼럼(주제 발표)에 대해 일반 참여자들이 해준 코멘트에 반드시 답변했다. 답변 또한 기술이다.”
- 제목, 문체, 전개방식, 인용, 사례, 재미, 깊이, 시의적절성, 완성도 등의 부분에서 일반 참여자들의 피드백을 받을 수 있을 것이다.
5. 팀별 프로젝트를 통해 자신의 분야에 대한 현장감을 높이고, 다른 분야와의 연결 고리를 모색한다.
“우리는 서로 다른 시선으로 살펴주었고 지원해 주었다.”
- 과제: 팀 프로젝트(아래 ‘연구팀 구성’ 부분 참고)
- 유사한 관심사를 가진 연구원이 모여 팀을 구성하여 서로 협력하고 수련한다.
■ 우리의 원칙과 규칙
1. 나라는 수수께끼를 푼다.
2. 힘써 서로 돕는다.
3. 매일 한다.
4. 즐긴다.
- 부칙1. 정해진 시간에 on-line 과제를 하지 않으면 off line meeting에 올 수 없다.
- 부칙2. 3번 off line meeting에 참가할 수 없게 되면 연구원을 스스로 그만두어야 한다.
■ 공통 도서(10권)
1. 인문 도서
① 강의 : 신영복 저 / 돌베개 / 2004년 11월
② 삼국유사 : 일연 저 / 김원중 역 / 을유문화사 / 2002년 11월
③ 역사 속의 영웅들 : 윌 듀런트 저 / 안인희 역 / 황금가지 / 2002년 08월
④ 가자, 아메리카로! : 리오 휴버만 저 / 박정원 역 / 비봉출판사(BBbooks) / 2001년 09월
⑤ 생각의 지도 : 리처드 니스벳 저/최인철 역 / 김영사 / 2004년 04월
- ‘가자, 아메리카로!’가 추가되었음.
- ‘생각의 지도’는 맨 마지막에 읽고, 나머지 4권의 읽는 순서는 자율임.
2. 경영 도서
① 피터 드러커의 책 1권 자유롭게 선택
② 성공하는 기업들의 8가지 습관 : 짐 콜린스 / 김영사 / 2002년 10월
③ 죽은 경제학자의 살아있는 아이디어 : 토드 부크홀츠 / 김영사 / 1994년 10월
④ 소유의 종말 : 제레미 리프킨 / 민음사 / 2001년 05월
⑤ 구본형의 도서: 익숙한 것과의 결별 / 그대 스스로를 고용하라 / 나, 구본형의 변화 이야기
- 공통도서로 인문도서 5권 외에 경영 도서 5권이 추가되었음.
- ⑤의 세 도서는 각 팀별로 한 권씩 선택하여 읽을 것임.
- 읽는 순서는 자율임.
■ 연구팀 구성
- 전공 분야가 비슷한 연구원 3~4명이 모여 한 팀을 이룬다.
- 전공 분야와 팀은 2005년 5월 2일 모임 전에 확정한다.
- 다음은 팀 구성과 팀 프로젝트의 윤곽이다(확정된 것 아님).
1. 1팀 : 텍스트와 이미지 이상의 표현
- 텍스트가 아닌 다른 것으로 개인을 표현할 수 있을까? 그리고 그런 사람을 어떻게 도와줄 수 있을까?
- 관심 주제: 개인 브랜드 표현방식으로의 웹, IT 분야의 언어를 인간적(인문학적)으로 표현, IT 교육에 대한 실용적인 텍스트 북
- 제 1 과제: ‘고뇌가 있는 최고의 변화경영 자료실( 구본형 변화 경영연구소)’를 어떻게 표현하나?
- 제 2 과제: ?
* 강미영 - 개인의 브랜드를 알리는 법(웹으로 표현한 커뮤니케이션)
* 오병권 - 인간의 언어로 쓰여 진 IT(인문학과 IT 기술)
* 신재동 - 알기 쉬운 웹/네트워크
2. 2팀 : 위대한 기업의 뼈대
- 관심 주제: 조직 진단 및 평가, 사례 연구, 기업의 절정에 대한 연구, 초일류기업의 베스트 프랙티스, 특화된 분야의 조직 탐구, 한국 기업 중 투자할만한 초우량기업은 어디이고 이런 기업들의 공통점은 무엇인가, 훌륭한 한국의 CEO에 대한 연구.
- 1과제 : 한국의 경영자들 인터뷰/연구
- 2과제 : 한국경영의 성공 케이스
* 오세나 - 글로벌 스탠다드
* 홍승완 - 세계의 초우량기업: 그들의 절정
* 손수일 - 내가 투자하고 싶은 한국의 위대한 기업
* 박노진 - 음식업계 best practice 연구
3. 3팀 : 개인의 시대
- 관심 주제: 개인의 성장 및 자기계발, 자아경영, 꿈 찾기, 보통사람으로 자신만의 길을 가고 있는 사람들에 대한 탐색 및 연구.
- 제 1 과제 : 변화 경영연구소 ‘상담 크리닉’ 상담에 대한 조언
- 제 2 과제 : 평범한 사람들의 자기 길 모색 case/interview
* 이선이 - 나를 구한 위대한 언어들
* 문요한 - 장애의 극복과 성공
* 이익상 - 지적 보물, 어디에 무엇이 있나
■ 2차 모임 정보
- 2차 모임에 대해서는 별도로 연락하겠음.
- 2차 모임 장소는 예약 완료했음.
* 일시: 4월 11일 월요일 오후 6시 30분 ~ 10시 30분(11시)
* 장소: 토즈(TOZ)- 신촌본점
* 주제: ① 관심 분야에 대한 발표 및 토론 ② 3차 모임 준비
- 3차 모임 날짜는 5월 2일 월요일로 잠정 결정했음.
- 3차 모임은 1박 2일로 워크샵을 진행하는 것을 고려하고 있음.
VR Left
번호 | 제목 | 글쓴이 | 날짜 | 조회 수 |
---|---|---|---|---|
548 | 당신과 있으면 마음이 따뜻해집니다 [5] | 손수일 | 2005.05.31 | 6746 |
547 |
연구진 공통도서 25권 리스트 ![]() | 홍승완 | 2005.06.02 | 7122 |
546 | '한국성'( Koreanity) 에 대하여 | 구본형 | 2005.06.12 | 5698 |
545 | 연구의 방향과 비전 | 구본형 | 2005.06.24 | 5014 |
544 | 예치과 박인출 대표와의 만남 | 오병곤 | 2005.08.03 | 4792 |
543 | [대한민국 CEO 인터뷰] 박인출, 현 메디파트너 대표이사 [2] | 홍승완 | 2005.08.08 | 5275 |
542 | [전체 모임] 8차(2005년 9월 30일) | 홍승완 | 2005.10.04 | 3430 |
» | [전체 모임] 1차(2005년 3월 19일) | 홍승완 | 2005.10.05 | 3695 |
540 | [전체 모임] 2차(4월 11일) | 홍승완 | 2005.10.05 | 3504 |
539 | [전체 모임] 3차(4월 30일) | 홍승완 | 2005.10.05 | 3535 |
538 | [전체 모임] 4차(5월 30일) | 홍승완 | 2005.10.05 | 3552 |
537 | [전체 모임] 5차(7월 2일) | 홍승완 | 2005.10.05 | 4215 |
536 | [전체 모임] 6차(8월 6일) | 홍승완 | 2005.10.05 | 4367 |
535 | [전체 모임] 9차(05년 11월 12일-13일) | 홍승완 | 2005.11.16 | 3405 |
534 | [전체 모임] 10차(05년 12월 10일) [2] | 홍승완 | 2005.12.12 | 3602 |
533 | [전체 모임] 11차(06년 1월 25일) | 홍승완 | 2006.02.06 | 3465 |
532 | [전체 모임] 12차(06년 2월 18일) [2] | 홍승완 | 2006.02.21 | 3449 |
531 | 제 2 차 모임 준비 - 5월 13일, 2006년 [1] | 구본형 | 2006.04.16 | 3863 |
530 | 코리아니티 관련 보도 모음 [1] | 변화 경영 연구소 | 2006.04.16 | 3475 |
529 | <2기 연구원 전체 모임> 2차 - 5월 13일 | 정경빈 | 2006.05.17 | 31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