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본형 변화경영연구소

연구원

칼럼

연구원들이

  • 정승훈
  • 조회 수 935
  • 댓글 수 6
  • 추천 수 0
2017년 7월 2일 10시 44분 등록

철학, 종교, 머시 중헌디.

 

11기 정승훈

 

1985년 처음 조사한 한국 종교인 비율은 42.6%였으며, 이후 10년마다 조사를 해오고 있다. 1995, 2005년 종교인 비율이 50%를 넘었었다. 201530년 만에 종교인은 43.9%, 이제 비종교인 과반수를 넘었다. “한국에 지배적인 종교가 없어서 어려울 때 힘을 모을 수 있는 원동력이 부족하다. 반면 안정적인 선진국을 이룬 나라는 어떤 종교든 지배적인 종교가 있어 국민의 마음을 그 무엇과도 바꿀 수 없는 가치를 형성하게 한다.”라고 한국 사회심리를 연구한 허태균 교수는 말한다.

신에 대한 믿음이 지속된다는 것은 거기에 생명이나 도덕과 관련된 거의 보편적인 가치가 있다는 가장 좋은 증거다.” [철학이야기]에 나오는 구절이다.

 

캠벨, 스피노자, 니체, 윌 듀란트 모두 자신의 종교를 잃었다. 모두들 집안 대대로 종교를 가지고 있었다. 가톨릭도 있었고 유대교도 있었다. 그들 중 성직자의 길을 가려던 사람들도 많았다. 종교를 버리게 되면 가족과도 의절하고 사회로부터도 외면, 공격당한다. 유대교에서 파문당하면 그 사람과 같이 대화해도 안 되며, 같이 기거해도 안 되고, 접근 거리(4큐빗, 1.8M)마저 정해져 있더라. 왕따도 그런 왕따가 없다. 만약 내가 그런 상황이라면 어땠을까 상상해본다. 나였으면 못 견뎠을 거다. 그 당시 시대적으로 종교가 차지하는 비중이 그만큼 컸다는 것이다. 그래서 종교를 모르면 서구사회와 문화, 예술을 이해하기가 힘들다. 강사과정을 지도했던 미술사 전공의 교수가 중세그림을 알기위해 그리스로마 신화와 기독교 교리를 배웠다고 했다. 나 역시 성경 공부를 하고 나서 보니 훨씬 서구 역사와 예술을 더 잘 이해하게 되었다.

 

한 민족이 철학을 할 수 있으려면 그전에 먼저 살기부터 해야 한다.” 윌 듀런트의 말이다. 미국은 급속도로 발전을 해왔으며 발전의 속도 탓에 영혼은 무질서해졌다. 그러니 갑작스런 성장과 사춘기 경험을 하는 젊은이 단계라는 것이다. 그럼 한국은 어떤가.

 

함석헌의 [뜻으로 보는 한국역사]에서 한국 사람은 심각성이 부족하다. 파고들지 못한다는 말이다. 생각하는 힘이 모자란다는 말이다. 깊은 사색이 없다. (중략) 그래서 시 없는 민족이요, 철학 없는 국민이요, 종교 없는 민중이다.” 라고 말한다. 이는 삼국시대를 경계로 변했다고 한다. 고구려가 망하고 신라가 다른 나라와 손을 잡고 반쪽짜리 통일을 하면서 한민족의 정신이 길을 잃었다는 것이다. 고구려가 만주와 한반도를 하나로 만들었다면 아시아뿐 만아니라 세계사가 달라졌을 것이라고 까지 여긴다. 수많은 외침과 식민지, 미군정까지 수난의 역사였다. 고유한 철학과 종교를 가지고 있기가 힘들었을 수 있다.

 

하지만 한국의 저력을 믿어보자. 지난 촛불을 잊지 말자. 2014년 우린 그 어느 고난에도 비길 수 없는 고난을 온 국민이 겪었다. 기술이 부족해서도 아니었고 경제력이 부족해서도 아니었다. 많은 기독교인들이 그 사건을 두고 하나님이 계시는지, 계시다면 왜 그런 일이 벌어지도록 가만히 바라보고 있었는지 의문을 품었다. 하지만 그 이후 한국은 달라졌다. 그동안은 먹고 사는 것에서 벗어나지 못했다. 지금도 마찬가지라고 할 사람도 있겠으나 전쟁 후 급속도의 성장은 세계 유래가 없는 일이다. 이제 한국은 철학할 수 있는 시대가 됐다.

 

우리는 우리의 종교, 철학을 이어오질 못했다. 고유한 종교와 철학이 무엇이었는지도 모르겠다. 하지만 한국인만이 가지고 있는 무엇, 동력이 되는 무엇이 있다. 함석헌은 착함()’날쌤()’이라고 했다. 그걸 무어라 하던 한국인은 을 동시에 가지고 있는 민족이다. 혼종된 문화를 가지고 서로 대립도 하고 뭉치기도 한다.

 

칠레에 유학 가있는 조카의 표현에 의하면 남미는 느슨하고 바쁜 게 없는데 한국에 오면 뭔가 생동감이 있다고 한다. 모두들 열심히 하고 의욕에 넘쳐 있단다. 이를 나쁘게만 보지 말자. 우리에겐 종교도, 철학도 없지만 그 뭔가가있다.

 

 

 

IP *.124.22.184

프로필 이미지
2017.07.03 14:33:15 *.146.87.18

미국보다 더 빠른 속도로 성장하다 보니 한국사회는 무엇인가 결핍되어 있는 듯한

느낌이 강합니다. 저 위로 올라서기에는 아직 부족한 것들이 있다는 의미인데

그래도 우리만의 특성으로 좋은 방향으로 집중하면 어떤 시련도 극복할 수 있겠죠?^^

프로필 이미지
2017.07.03 17:43:43 *.124.22.184

그러리라고 봐. 우리 민족의 저력을 믿어볼려고.

프로필 이미지
2017.07.03 18:34:15 *.226.22.184

맞아요. 우리는 먹고 살기에 너무나 바빠요. 그런데 이제 한계가 온거 같아요.

좇아 가다 보니까, 어느덧 추월했는데 이제 추월할 상대가 없으니 허망해진 상태.

그래서 인문학이고 철학이고 우리 안을 채워야 할 때인듯 합니다. 그게 우리 안에서 숙성되면 ' 뭔가가 ' 나올 거라 믿어요.

저또한 그렇고요.



프로필 이미지
2017.07.03 21:33:28 *.18.218.234

ㅎㅎ '한국인 고문하는 법'이라고 돌아댕겼던 아래 글 생각나네요.

- 인터넷 속도를 10mb 이하로 줄인다

- 엘리베이터 문닫기 버튼을 누르지 못하게 한다


워낙 에너지는 많으니 에너지의 형태를 바꿔본다면

급성장을 이끈 그 뭔가가 다른 뭔가로 바뀌어 새로운 저력을 만들 수 있겠죠~

프로필 이미지
2017.07.04 11:28:34 *.164.247.177

인문학을 강조하는 요즘을 봐서 이제 한 단계 나아가는 것 같습니다. 먹고 살기 바빴던 우리에서 생각하는 우리로. 점점 더 좋아지리라 봅니다.

프로필 이미지
2017.07.04 14:28:39 *.75.253.254

글을 읽고 문득 우리나라의 성장 단계는 개인의 그것에 비교하면 어디쯤 왔을까 싶네요. 

어떨 때 보면 아직 사춘기 같기도 하고, 또 어떨 때 보면 한참 자란 것 같기도 하고..

덧글 입력박스
유동형 덧글모듈

VR Left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4692 7월 오프수업 후기 윤정욱 2017.07.18 931
4691 7월 오프수업 후기(정승훈) file 정승훈 2017.07.16 949
4690 <뚱냥이칼럼 #11> 하지 말라면, 하지 맙시다 [3] 뚱냥이 2017.07.10 963
4689 #11. 나는 역시 나를 몰아붙여야 함을 깨달았다.(김기상) [2] ggumdream 2017.07.10 945
4688 #11. AI(인공지능) 시대에 영어 공부는 왜 해야 되나요?_이수정 [3] 알로하 2017.07.10 1738
4687 (보따리아 칼럼) 기부푸어족(族) – 마이너스 통장에서도 인심 나는 종족이 있다 [2] 보따리아 2017.07.10 928
4686 비전과 미션이 필요한 이유에 대해서... file [4] 송의섭 2017.07.10 2246
4685 칼럼 #11 나의 고향 청송 그리고 제사의 추억 [3] 윤정욱 2017.07.10 932
4684 #10 - 모든 고쳐드려요(이정학) [3] 모닝 2017.07.10 932
4683 [칼럼#11] 우리는 속고 있다 (정승훈) [3] 정승훈 2017.07.09 1001
4682 #10. 나는 7번입니다. [5] ggumdream 2017.07.03 942
4681 4차 산업혁명의 시대, 우리는 무엇을 준비해야 할까요 file [8] 송의섭 2017.07.03 938
4680 <뚱냥이칼럼 #10> 위대한 성인과 함께 살아가는 행운 [5] 뚱냥이 2017.07.03 934
4679 #10 엄마와 딸 2–출생의 비밀_이수정 [5] 알로하 2017.07.03 926
4678 # 칼럼 10 같이 노는 사람 - 친구(이정학) [6] 모닝 2017.07.03 934
4677 칼럼 #10 전셋집을 구하며 [5] 윤정욱 2017.07.03 939
4676 (보따리아 칼럼) 나는 존재한다. 그러나 생각은? [4] 보따리아 2017.07.02 929
» [칼럼 #10] 철학, 종교, 머시 중헌디 [6] 정승훈 2017.07.02 935
4674 <칼럼 #9> 국가대표 답게 플레이 합시다 [1] 뚱냥이 2017.06.26 953
4673 #9 백치미의 미학(美學)적 고찰_이수정 [1] 알로하 2017.06.26 113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