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문요한
- 조회 수 3433
- 댓글 수 2
- 추천 수 0
낭가파르바트 봉우리가 눈보라에 휩싸이는 밤에, 비행 진로를 상실한 새들은 화살이 박히듯이 만년설 속으로 박혀서 죽는다. (중략) 눈 속으로 날아와 박힌 새들은 비행하던 포즈대로 죽는다. 낭가파르바트 북벽에 부딪치는 새들은 화살처럼, 총알처럼, 바람처럼 죽는다. 그것들의 시체 위에서 날개 달린 몸으로 태어난 그것들의 꿈은 유선형으로 얼어붙어 있고, 그 유선형의 주검은 죽어서도 기어코 날아가려는 목숨의 꿈을 단념하지 않은 채, 더 날 수 없는 날개를 흰 눈에 묻는다. 낭가파르바트를 동행 없이 혼자서 오르는 과묵한 등반가들이 눈 속에 박힌 새의 시체를 눈물겨워 하는 것은 그 유선형의 주검에서 자신의 운명을 읽고 있기 때문일 것이다. 그러하되 만년설에 묻힌 날개의 꿈은 그 떠도는 종족의 운명 속에서 부활하는 것이어서 모든 새들은 마침내 살아서 돌아온다.
-김 훈의 자전거여행 중에서 -
-----------------------------------------------어떤 글은 눈으로가 아니라 오감으로 읽힙니다. 이 글 역시 그렇습니다. 읽다보면 히말랴야의 미친 듯한 바람소리가 들리는 듯 합니다. 몸이 오싹해지고 귀가 에이는 느낌이 전해집니다. 만년설에 꽃혀 있는 새들의 눈동자가 아른거립니다. 나는 장면 속으로 걸어들어갑니다. 그 새의 감지 못한 부릅뜬 눈을 쓸어내립니다. 그때 얼어붙은 비행의 꿈이 얼음조각이 되어 내 혈관을 타고 들어가 정신이 번쩍 납니다.
지난 주말에 새로 들어온 연구원들과 함께 구 선생님을 모시고 남해에 다녀왔습니다. 프로그램에는 가상의 장례식이 있었습니다. 새로 온 연구원들은 자신의 죽음을 가정하며 살아있는 이들에게 사자(死者)의 메시지를 전하였습니다. 여기저기서 흐느낌이 터져 나왔습니다. 그 울음에는 억울함, 애?㉯
댓글
2 건
댓글 닫기
댓글 보기
VR Left
번호 | 제목 | 글쓴이 | 날짜 | 조회 수 |
---|---|---|---|---|
234 | 같기道와 모순 [2] | 오병곤 | 2007.05.07 | 3512 |
233 | 그날 참 좋은 하루였습니다 | 구본형 | 2007.05.04 | 3951 |
232 | 다행이다 [2] | 한명석 | 2007.05.03 | 3311 |
231 | 마음을 살피는 또 하나의 마음 | 문요한 | 2007.05.01 | 3662 |
230 | 우울한 월요일이여, 안녕! | 오병곤 | 2007.04.30 | 3723 |
229 | 내 꽃도 한 번은 피리라 [1] | 구본형 | 2007.04.27 | 3517 |
228 | 모든 관계는 계속해서 변화한다 [2] | 한명석 | 2007.04.26 | 3515 |
227 | 로봇, 딜레마 그리고 융통성 [1] | 문요한 | 2007.04.24 | 3686 |
226 | 위기가 찾아올 때 대처하는 방법 [2] | 오병곤 | 2007.04.23 | 4311 |
225 | 가르친다는 것의 즐거움 그리고 지난함 [4] | 구본형 | 2007.04.20 | 4123 |
224 | 삶이 힘겨울 때 읽으면 좋은 책 [3] | 한명석 | 2007.04.19 | 4505 |
223 | 몸만이 길이다. [1] | 문요한 | 2007.04.17 | 3538 |
222 | 행복은 행복한 순간들의 합이다 [1] | 오병곤 | 2007.04.16 | 3751 |
221 | 나는 일상에 대한 그리움으로 가득하고 [2] | 구본형 | 2007.04.13 | 3500 |
220 | 쾌활한 광기 [5] | 한명석 | 2007.04.12 | 3453 |
219 | 지구라는 우주선 | 문요한 | 2007.04.10 | 3514 |
218 | 그대 내게 희망을 주는 사람 | 오병곤 | 2007.04.08 | 4663 |
217 | 상하이 속의 우리 [1] | 구본형 | 2007.04.06 | 3456 |
216 | 네 안에 사람을 들여라 [6] | 한명석 | 2007.04.05 | 4578 |
» | 길 위에 남고 싶다 [2] | 문요한 | 2007.04.03 | 343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