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승완
- 조회 수 4095
- 댓글 수 0
- 추천 수 0
생텍쥐페리가 쓴 <어린 왕자>에서 어린 왕자는 사막에서 만난 조종사에게 이렇게 이야기합니다.
“인간은 모두 제각기 별을 가지고 있어. 그러나 사람마다 다르듯이 별을 바라보는 눈도 가지각색이지. 여행자인 사람에게는 별이 안내자야. 또 어떤 사람에게는 별이 하늘에 있는 조그마한 불빛에 불과하지. 학자에게는 별이 연구과제가 되고 있어. 내가 만난 실업가는 별을 돈으로 알고 있어. 그러나 이 모든 별들은 아무 말도 않고 잠자코 있지. 당신에게만 별은 다른 사람과는 달리 보일거야……”
저는 사람에게는 자신만의 별이 있다고 믿습니다. 이 별은 밤하늘의 별이 아니라 가슴속의 별입니다. 저는 이 별을 ‘소명’이라고 부릅니다. 이 별은 단 한 사람을 향해서만 반짝입니다. 물론 잘 보이지 않을 때도 많습니다. 하지만 이 별은 늘 존재합니다. 그러니까 이 별은 만들어내는 것이 아닙니다. 발견하는 겁니다. 마음의 눈이 떠지는 순간 보이게 됩니다.
이 별에는 꽃 한 송이가 살고 있습니다. 한 송이 꽃 때문에 이 별은 유일한 별이 됩니다. 이 꽃의 향기 역시 단 한 사람만 맡을 수 있습니다. ‘별’이 ‘소명’이라면 ‘한 송이 꽃’은 ‘의미’입니다. 모든 소명에는 고유한 의미가 있습니다. 그 의미를 꽃 피우는 것이 소명을 실현하는 겁니다.
소명을 향해 가는 사람은 빛이 납니다. 그래서 사람들은 그 사람을 통해 이 별을 보게 됩니다. 사람들은 별에 있는 한 송이 꽃은 볼 수 없습니다. 다만 느낄 수 있습니다. 왜냐하면 소명을 따르는 삶은 향기가 나기 때문입니다.
자세히 볼수록 예쁘고, 오래 볼수록 사랑스러운 별이 있습니다. 이런 별이 소명입니다. 이런 소명이 진짜입니다. 그대, 자신의 별을 발견하셨나요? 그 별에 존재하는 꽃 한 송이 아름답게 키우고 계신가요?
“The stars are beautiful, because of a flower that cannot be seen.”
- The Little Prince
* 오늘 소개한 책 : 앙투안 드 생텍쥐페리, 어린 왕자, 삼지사, 2003년
| 번호 | 제목 | 글쓴이 | 날짜 | 조회 수 |
|---|---|---|---|---|
| 774 | 기도가 필요한 새벽 [24] | 신종윤 | 2009.10.26 | 3354 |
| 773 |
올곧은 유연함 | 김용규 | 2009.10.22 | 4769 |
| 772 | 불안은 영혼을 흔들어 깨운다 [1] | 문요한 | 2009.10.21 | 3502 |
| 771 |
삶의 의미를 발견하는 방법 | 승완 | 2009.10.20 | 3544 |
| 770 | 목표에 걸려 비틀거리다 [5] | 신종윤 | 2009.10.19 | 3366 |
| 769 |
그래, 뭔가 뜻이 있을꺼야 | 부지깽이 | 2009.10.16 | 4000 |
| 768 |
우리에게 주어진 형벌과 장애에 대하여 | 김용규 | 2009.10.15 | 3310 |
| 767 | 온몸으로 상상하라 | 문요한 | 2009.10.14 | 3616 |
| 766 |
가독성과 흐름이 좋은 글을 쓰는 2가지 방법 | 승완 | 2009.10.13 | 5026 |
| 765 | 창문을 사수하라 [2] | 신종윤 | 2009.10.12 | 3147 |
| 764 | 아, 내 가슴에 두 영혼이 살아 있구나 [5] | 구본형 | 2009.10.09 | 3244 |
| 763 |
그들이 절망을 이겨내는 방법 | 김용규 | 2009.10.08 | 3587 |
| 762 | 고통과 괴로움은 다르다 [1] | 문요한 | 2009.10.07 | 3672 |
| 761 |
강연을 준비할 때 늘 곁에 두는 책 | 승완 | 2009.10.06 | 3428 |
| 760 | 좋은 아빠의 조건 | 신종윤 | 2009.10.05 | 3384 |
| 759 |
당신의 지금 사랑, 그 사랑을 죽도록 사랑하세요 | 부지깽이 | 2009.10.02 | 5573 |
| 758 |
그대의 절망에 대하여 | 김용규 | 2009.10.01 | 3786 |
| 757 | 나약함의 힘 [1] | 문요한 | 2009.09.30 | 3560 |
| » |
소명, 그대 가슴 속의 별 | 승완 | 2009.09.29 | 4095 |
| 755 | 하쿠나 마타타 #2 [4] | 신종윤 | 2009.09.28 | 3109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