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부지깽이
- 조회 수 4015
- 댓글 수 4
- 추천 수 0
"사람들은 각기 여러 신을 섬기면서 '이 신을 숭배하라. 저 신을 숭배하라'고 한다. 그러나 모두 하나의 창조자로부터 나온 창조물이니, 그 자신이 곧 모든 신이다.... 그는 우주 속에, 심지어 우리의 손톱 끝까지 들어와 있으니, 칼이 칼집에 들어 있는 것처럼, 불이 장작 속에 들어 있는 것처럼, 이미 우리에게 들어와 있다. 숨을 쉴 때, 신은 '숨'이라고 불리고, 말을 할 때는 '목소리'라고 불리고....생각할 때는 '마음'이라 불린다... 그러므로 이들 중에 어느 하나만 숭배하는 사람은 진정으로 신을 알지 못한다... 신은 곧 자아다. 그 속에서 모든 것이 하나가 된다는 마음으로 신을 숭배해야한다. 자아는 모든 것의 발자국이다. 잃어 버린 가축은 그 발자국으로 찾듯 , 발자국으로 한 사람은 이 모든 세상을 알게 된다. 자아를 가장 소중한 것으로 삼아 경배하라 . "
---'브리하다란야까 우파니샤드' 중에서
이것은 인도의 자아의 노래입니다. 아름답습니다. 가을이 곱습니다. 나는 그 가을을 바라 보고 있었습니다. 느티나무에서 나뭇잎 하나가 천천히 떨어져 내려 나에게 옵니다. 심심한 모양입니다. 손 바닥 위에 놓고 그 놈을 바라 봅니다. 온 몸이 붉고 잎자루 끝만 조금 갈색입니다. 낡은 육체 안에 밤과 별과 바람과 우뢰와 비와 햇빛이 담겨 있습니다. 그것이 그의 생애였군요. 이 놈은 삶을 즐겼던 놈이 분명합니다. 그러니 그리 예쁘지요.
자기경영은 자아를 소중하게 여기는 것입니다. '나의 손톱 끝까지 꽉 차게 들어와 있는 우주'을 따르는 것입니다. 어느 상황에서도 나를 포기하거나 버리지 않는 것입니다. 잃어 버린 가축을 그 발자국으로 찾아내 듯, 잃어버린 나 속에서 신의 발자국을 찾아내는 것이 바로 자기 경영입니다. 자기 경영은 자신을 신화 속으로 데려가는 것입니다.

켐벨도 뒤져보고 융도 훝어 보았지만....
파블로 네루다로 시작하겠습니다.
"나는 운좋은 사람이었다. 형제들 사이에서 느끼는 친밀감은 인생에서 아주 근사한 것이다. 우리가 사랑하는 사람들의 사랑을 느끼는 것은 우리의 삶을 기르는 불이다. 그러나 우리가 모르는 사람들로부터 사랑을 느끼는 것, 우리에게 알려지지 않은 사 람들, 우리의 잠과 고독을 지켜보고, 우리의 위험과 약함을 돌보는 그러한 사람들로부터 오는 사랑을 느끼는 건 한결 더 대단하고 더욱 더 아름다운 것인데, 왜냐하면 그것은 우리 존재의 범위를 넓히고, 모든 살아있는 것들을 묶기 때문이다. "
---민음사 에서 나온 < 네루다 詩選> 에서 ----
네루다가 어린아이였을때 집 뒤뜰의 담장에 뚫린 구멍으로 조그만 손이 "흰 양"을 놓고 갔답니다. 네루다는 집으로 들어가 자기의 보물이었던 " 솔방울" 을 그자리에 가져다두고 그 "흰 양 '을 집어 왔답니다.
그것은 서로 모르지만, 삶의 무슨 좋은 걸 상대방한테 건네주고 싶어했던 두아이의 놀이에 불과했지만....이 작고 신비한 선물의 교환이 네루다의 마음속 깊은 곳에 남아, 그의 말을 잘 모르는 사람들의 문앞에, 감옥에 있는 사람들이나, 쫒기는 사람 , 외로운 사람들의 문앞에 그의 시를 놓아두게 했답니다.
이 기억이 불멸의 것으로 남아 그의 시에 빛을 던져주고 있는지 모른다고 회상했습니다.
낙엽 한장도 선생님의 손에서 그리 사랑을 받는데 ......
오늘도 선생님의 글을 읽고 행복한 사람들이 많겠습니다.
번호 | 제목 | 글쓴이 | 날짜 | 조회 수 |
---|---|---|---|---|
797 |
개에게서 그것을 배우다 ![]() | 김용규 | 2009.11.26 | 3175 |
796 | 더하기 1초 [4] | 문요한 | 2009.11.25 | 3176 |
795 |
“남들보다 낫기보다는 다르게 되자” ![]() | 승완 | 2009.11.24 | 4092 |
794 | 결국 한번에 한 사람! [2] | 신종윤 | 2009.11.23 | 3777 |
793 |
백 개의 눈, 두 개의 눈 ![]() | 부지깽이 | 2009.11.20 | 5950 |
792 |
고유함을 버리지 말자! ![]() | 김용규 | 2009.11.19 | 3638 |
791 | 왕관을 쓰려거든 기꺼이 그 무게를 견뎌라 [3] | 문요한 | 2009.11.18 | 3948 |
790 |
재능을 발견하는 방법, 다중지능 ![]() | 승완 | 2009.11.17 | 4721 |
789 | 낳은 정 vs 기른 정 [2] | 신종윤 | 2009.11.16 | 3644 |
788 |
땅을 떠나지 마라 ![]() | 부지깽이 | 2009.11.13 | 11533 |
787 |
제 살을 깎아야 이루어지는 성장 ![]() | 김용규 | 2009.11.12 | 3089 |
786 | 궁극적 진보로 나아가는 길 [1] | 문요한 | 2009.11.11 | 2965 |
785 |
삶의 도약을 원한다면 스스로를 실험하라 ![]() | 승완 | 2009.11.10 | 3299 |
784 | 정답은 내가 정한다 [12] | 신종윤 | 2009.11.09 | 3145 |
783 | 노 젓는 손을 쉬지 마라 [2] | 부지깽이 | 2009.11.06 | 5003 |
782 |
8천 송이 꽃으로부터 받는 선물 ![]() | 김용규 | 2009.11.05 | 4532 |
781 | 내 편이 없다. 그래서 외롭다. [1] | 문요한 | 2009.11.04 | 3261 |
780 |
후회는 좋은 것! ![]() | 승완 | 2009.11.03 | 4359 |
779 |
같은 방법으로 다른 결과를 바라는 것은? ![]() | 신종윤 | 2009.11.02 | 4245 |
» |
그놈 잘 살았구나 ![]() | 부지깽이 | 2009.10.30 | 40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