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김용규
- 조회 수 4631
- 댓글 수 7
- 추천 수 0
불을 제대로 붙이지 못하면 매운 연기를 맡으며 계속 아궁이를 지켜야 한다. 연소 원리를 이해해야 하는 이유다.
산중 오두막이 긴 시간 눈 속에 갇히고 나니 먹고 자는 일에 문제가 생깁니다. 쌀독의 쌀도 얼마 남지 않았고, 그 좋아하는 담배도 마지막 갑을 피우고 있습니다. 더 큰 문제는 거실난방과 온수용으로 설치한 보일러에 기름이 거의 다 떨어져간다는 것입니다. 쌀이야 마을에 내려가서 지게로 져 올리면 되지만 난방유 배달차는 눈이 완전히 녹아야 올 수 있을 것이기 때문입니다. 하는 수 없이 거실난방은 얼지 않을 만큼만 하고 거실과 열린 공간으로 닿아있는 침실용 구들방을 최대한 덥혀 집 전체의 온도를 유지하기로 했습니다. 그나마 땔감을 넉넉히 해둔 것이 다행입니다.
불지피기 중 신기한 것이 하나 있습니다. 어떤 날은 아주 쉽게 불이 붙어 활활 타오르지만, 어떤 날은 정말 불이 잘 타오르지 않아 애를 먹는다는 겁니다. 몹시 춥고 세찬 바람까지 부는 요즘 같은 날에는 불이 잘 붙지 않으면 눈물 콧물 다 흘리며 불을 붙여야 합니다. 요 며칠 이렇게 악조건 하에서 불을 지피다가 불지피는 일이 꼭 삶의 성장 법칙과 같음을 깨닫게 되었습니다. 언젠가도 아궁이에 불지피는 이야기를 했었지만, 이번에는 조금 더 체계적인 원리를 체득했습니다. 자신의 인생을 활활 타오르게 하고 싶다면 이 자연의 오묘한 연소 원리도 한번쯤 살펴보시기 바랍니다.
우선 큰 나무 토막을 아궁이에 넣고 태우면 연소시간이 오래가기 때문에 긴 시간 따뜻한 구들을 유지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불지피기의 최종 목표는 큰 통나무 토막에 불을 붙이는 것입니다. 하지만 불을 잘 붙이지 못하는 원인의 대부분이 바로 이 큰 나무 토막에 서둘러 불을 붙이려는 조급함 때문입니다. 충분한 불쏘시개 없이는 절대 큰 나무 토막을 태울 수 없습니다. 먼저 종이나 마른 풀 줄기, 낙엽 등을 태우고 그 열로 작은 나뭇가지에 불을 붙여야 합니다. 작은 나뭇가지들이 활활 타오르기 시작하면, 이제 패서 말려놓은 조금 더 굵은 장작에 불을 붙일 수 있습니다. 장작들이 활활 타기 시작하면 그때서야 통나무 토막을 집어 넣어 탈 것 같지 않은 굵기의 통나무를 긴 시간 연소시킬 수 있습니다. 연소의 첫 번째 원리는 바로 작은 것을 태우는 데 성공해야 큰 것을 연소할 수 있다는 것입니다.
연소에 실패하는 또 다른 원인은 공간에 있습니다. 아주 추우면 어떻게든 나무를 가득 넣어 연소를 시키고 싶어집니다. 그래서 최대한 많이 장작과 통나무를 넣습니다. 하지만 이렇게 하면 십중팔구 잘 타던 불도 꺼지게 됩니다. 그 작은 아궁이에서조차 에너지는 대류의 원리를 따릅니다. 뜨거운 공기는 상승하고 차가운 공기는 내려오는 것이지요. 이때 아래로부터 산소가 공급되어 땔감 사이사이를 파고 오르지 못하면 불은 꺼지게 되는 것입니다. 연소의 두 번째 원리는 공간입니다. 즉 아무리 급해도 소화할 수 있는 양을 감당하려 해서는 안된다는 것입니다.
세 번째 원리는 직접 체험해 봐야 제대로 알 수 있는 아주 미묘한 부분입니다. 전체가 활활 타오르려면 불이 사방에서 고르게 타올라야 한다는 것입니다. 왼쪽 귀퉁이만 타올라서는 불씨를 잃기 쉽습니다. 결코 큰 나무토막을 태울 수 없습니다. 얼른 오른쪽도 함께 타오르게 해줘야 전체로 확~ 하고 번져가는 경험을 할 수 있습니다. 연소에는 시너지 혹은 확산의 원리가 있는 것입니다.
그래서 옵션으로 치부할 수 없는 또 하나의 원리에 주목해야 합니다. 바로 아궁이 옆에 ‘부지깽이’를 두어야 한다는 것입니다. 먼저 연소되어 부피가 주는 나무들 때문에 장작의 배열이 틀어질 경우 아래로부터 산소가 공급될 공간을 막는 경우가 있습니다. 이렇게 되면 잘 타던 불도 완전 연소에 이르지 못할 가능성이 커집니다. 이때 부지깽이로 아주 조금만 공간을 열어주면 불은 더욱 잘 타올라 투입한 모든 나무토막을 완전히 태울 수 있습니다. 장작불의 스승이 부지깽이인 것이지요. 좋은 스승이 있으면 타오르기에 훨씬 좋은 것이지요.
번호 | 제목 | 글쓴이 | 날짜 | 조회 수 |
---|---|---|---|---|
837 |
불감(不感)과 공감(共感) ![]() | 김용규 | 2010.01.21 | 2923 |
836 | 당신의 분노 뒤에는 무엇이 숨어 있을까요? [4] | 문요한 | 2010.01.20 | 3312 |
835 |
약점의 보완 보다 재능의 활용이 중요하다 ![]() | 승완 | 2010.01.19 | 3342 |
834 | 날갯짓을 배우는 어린 새처럼 [2] | 신종윤 | 2010.01.18 | 4097 |
833 |
가장 못 생긴 자가 가장 아름다운 여인을 얻는다 ![]() | 부지깽이 | 2010.01.15 | 3972 |
832 | 멈춤과 전환 [6] | 김용규 | 2010.01.14 | 2967 |
831 | 나를 이끌어주는 누군가가 있는가 [1] [2] | 문요한 | 2010.01.13 | 3483 |
830 |
비범한 인물을 만나는 특별한 경험 ![]() | 승완 | 2010.01.12 | 3291 |
829 | 복리의 마술 [5] | 신종윤 | 2010.01.11 | 3310 |
828 |
자아에서 창조로 ![]() | 부지깽이 | 2010.01.08 | 3625 |
» |
타오르고 싶다면 연소 원리를 점검하라 ![]() | 김용규 | 2010.01.07 | 4631 |
826 | 생명은 길을 잃지 않는다 | 문요한 | 2010.01.06 | 3428 |
825 |
어린이와 청소년의 진로 지도를 위한 책, <다중지능혁명> ![]() | 승완 | 2010.01.05 | 4014 |
824 |
살아남으려면 차별화하라 ![]() | 신종윤 | 2010.01.04 | 4510 |
823 |
호랑이의 도움으로 ![]() | 부지깽이 | 2010.01.01 | 4815 |
822 |
해를 넘기기 전에 용서할 것 ![]() | 김용규 | 2009.12.31 | 3131 |
821 | 자발적 불편이 있는가? [1] | 문요한 | 2009.12.30 | 3172 |
820 |
내게 에너지와 행운을 준 책 한 권 ![]() | 승완 | 2009.12.29 | 3045 |
819 | 다시 한 해를 보내며 [1] | 신종윤 | 2009.12.28 | 2855 |
818 |
운명을 즐기세요 ![]() | 부지깽이 | 2009.12.25 | 32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