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부지깽이
- 조회 수 4340
- 댓글 수 1
- 추천 수 0
중국 장강의 중류에 동정호가 있다. 이 아름답고 커다란 호수는 수많은 신화와 전설의 무대이기도 하다. 전설적인 성군 요임금의 시대에 이곳에 커다란 구렁이 한 마리가 나타났다. 이 구렁이의 이름은 파사(巴蛇)인데, 어느 날 코끼리 한 마리를 삼켰다. 그리고 3년간을 소화시키고 그 뼈를 내 놓았다. 이 구렁이 파사는 어찌나 컸던지 죽은 후, 뼈만 남게 되자, 그 뼈가 산언덕을 이룰 정도였다. 동정호 근처에 가면 지금도 파릉이라는 지역이 있는데, 이 언덕이 바로 파사의 뼈로 이루어진 언덕이라고 한다.
나는 커다란 구렁이 파사의 이야기를 동양 신화 속 최고의 명궁 예(羿)의 영웅담 속에서 찾아내었습니다. 영웅 예가 천하를 돌며 온갖 종류의 괴물을 퇴치하여 백성들의 아픔을 구하는 이야기 속에 이 큰뱀 파사는 예에 의해 죽게되는 괴물 구렁이로 등장합니다. 짐작컨대 코끼리를 삼킨 파사뱀은 코끼리를 소화 시키는 3년 동안은 백성을 헤치지 않았겠지요 ? 이미 가득 뱃속에 먹이를 넣고 소화시키고 있었을테니까요. 그러면 예에 의해 죽임을 당하지도 않았겠지요. 오히려 영험한 신물이 되어 사람들을 도와 주기도 했을 겁니다. 그랬다면 희생자가 아닌 자신의 영웅담 하나를 만들어 낼 수도 있었을 텐데요.
자기경영은 오랜동안의 소화입니다. 뱃속에 넣고 품고 앉아 3년을 소화시켜 그 뼈를 뱉어 낼 수 있으면 이미 그 큰 코끼리가 녹아 더 큰 뱀으로 바뀐 것입니다. 자기경영도 그렇습니다. 천직이 될 만한 커다란 코끼리 한 마리를 덥썩 문 다음 천천히 뱃속으로 밀어넣고 소화시켜가는 것입니다. 처음에는 턱뼈가 돌아가고 숨이 턱턱 막힐 지도 모릅니다. 그렇게 전념하여 3년을 소화하여 뼈를 뱉어 낼 때 쯤이면 옛날의 그 뱀은 사라지고 새로운 더 큰 파사뱀이 되는 것입니다. 어린 왕자 속에 나오는 코끼리를 삼킨 보아뱀처럼 말입니다.
* 공지사항 : '나를 찾아 떠나는 여행' 이 7월 2일 부터 4일 까지 진행됩니다.  관심이 있으신 
                    분들은 다음을 참고 하여 신청하시기 바랍니다.  http://www.bhgoo.com/zbxe/dream
  
| 번호 | 제목 | 글쓴이 | 날짜 | 조회 수 | 
|---|---|---|---|---|
| 934 | 파우스트는 왜 영혼을 팔았나? [3] | 신종윤 | 2010.06.07 | 6354 | 
| » | 3년을 품으면 소화시켜 뼈를 내 놓을 수 있다 [1] | 부지깽이 | 2010.06.04 | 4340 | 
| 932 | 그대를 위해 준비해 놓은 의자  [2] | 김용규 | 2010.06.03 | 3283 | 
| 931 | 흔들리지 않으면 무너진다 [1] | 문요한 | 2010.06.02 | 3492 | 
| 930 | 소중한 것은 멀리 있지 않다  [1] | 승완 | 2010.06.01 | 3752 | 
| 929 | 내 남은 인생의 가장 젊은 날 [4] | 신종윤 | 2010.05.31 | 4714 | 
| 928 | 가장 현명하고 신중한 자 [3] | 부지깽이 | 2010.05.28 | 3400 | 
| 927 | 용기 있는 사람 [4] | 김용규 | 2010.05.27 | 3536 | 
| 926 | 감동은 순환된다 [4] | 문요한 | 2010.05.26 | 3200 | 
| 925 | 달인은 ‘길 위에 머물러 있는 사람’  [6] | 승완 | 2010.05.25 | 3550 | 
| 924 | 100일에 좋은 습관 하나 [2] | 신종윤 | 2010.05.24 | 3954 | 
| 923 | 용이 되어 그를 보호하다 [2] | 부지깽이 | 2010.05.21 | 4405 | 
| 922 | 본래의 힘  [4] | 김용규 | 2010.05.20 | 3526 | 
| 921 | 건강하다는 것의 의미 [2] | 문요한 | 2010.05.19 | 3263 | 
| 920 | 훌륭한 스승은 존재 자체가 가르침이다  [3] | 승완 | 2010.05.18 | 4195 | 
| 919 | 상황이 사실을 덮지 못하도록 [5] | 신종윤 | 2010.05.17 | 3113 | 
| 918 | 위대한 그가 바보에게 당하는 이유 [6] | 부지깽이 | 2010.05.14 | 3749 | 
| 917 | 사과의 힘  [2] | 김용규 | 2010.05.13 | 3917 | 
| 916 | 한 인간으로 바라볼 수 있을 때 [3] | 문요한 | 2010.05.12 | 3275 | 
| 915 | 영웅의 여정(A Hero’s Journey)은 깨달음의 과정  [13] | 승완 | 2010.05.11 | 4776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