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본형 변화경영연구소

오늘의

마음을

마음을

  • 문요한
  • 조회 수 3892
  • 댓글 수 1
  • 추천 수 0
2011년 9월 21일 08시 12분 등록



“사랑은 강한 동질성을 기초로 확장된다. 말하지 않아도 상대가 비슷한 생각을 하고 있으며, 대답하지 않아도 동의하고 있을 거라는 믿음이 그것이다. 하지만 사랑은 서로의 동질성을 확인하기보다는 격렬하고 가슴 아프게 서로의 차이점을 발견하는 과정이다. 사랑하는 사람들은 아리스토파네스의 말처럼 '원래 하나였던 반쪽을 다시 찾은 것'이 아니라 처음부터 다른 존재였다. 도저히 받아들일 수 없는 상대의 방식을 받아들이고 그 차이를 인정하는 것이 사랑의 시작이다.” 

 

- 이 수현의 <사랑의 발견> 중에서 -
--------------------------------------

 

상담을 하면 늘 사랑에 대해 물어봅니다. 그 질문 중에는 사랑의 횟수도 들어있습니다. 질문을 들으면 사람들은 자신을 거쳐 간 상대를 골똘히 헤아려봅니다. 대개는 헷갈려하면서 대강 몇 번이라고 대답합니다. 그 중에는 한 번도 사랑해 본적이 없다고 하는 사람부터 셀 수 없을 만큼 많이 해봤다고 하는 사람까지 무척 다양합니다. 그럼, 다시 묻습니다. 누군가와 사랑했다고 했을 때 그 기준이 무엇인지를.

   

사랑은 연애와 다릅니다. 연애는 열정이 식는 순간 끝나지만 사랑은 연애가 끝나는 순간 시작되기 때문입니다. 연애 기간 동안 우리는 강렬한 하나됨을 경험합니다. 마치 출생 전 뱃속에서 엄마랑 온전히 하나였던 그 시간으로 되돌아간 느낌이라고나 할까요. 잠시라도 떨어지기 싫고 변함없이 하나로 이어질 것 같은 마법과도 같은 시간입니다. 그러나 시간이 지나 마법이 풀리기 시작하면 너무 다른 두 사람이 존재한다는 사실을 서서히 깨닫게 됩니다.  하나일 수 없고 서로 다르다는 것을 확인하는 순간 사랑은 부정되고 깨집니다. 그리고 어딘가에 있을 자신의 반쪽을 찾아 떠나갑니다. 그러나 이는 사랑의 끝이 아니라 연애의 끝입니다.  

 

진정한 사랑은 ‘하나 됨’의 느낌이 허물어진 자리에서 또 다른 이름으로 다시 피어납니다. 바로 ‘차이의 존중’이라는 이름으로 피어납니다. 서로 다르기에 밀쳐내고 강요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르다는 것을 존중하고 차이와 갈등을 자원화하면서 사랑을 다져갑니다. 그렇기에 누구나 연애를 할 수 있지만, 사랑은 아무나 할 수 있는 것은 아닙니다. 

 

당신은 연애가 아닌 사랑을 해본 적이 있나요? 올 가을이 당신에게 연애를 넘어 사랑으로 깊어가는 시간이길 바래봅니다.  

  
 

 
 
 

- 2011. 9. 21.  '당신의 삶을 깨우는 ' 문요한의 Energy Plus 512호-



link.jpg










IP *.120.20.156

프로필 이미지
김유진
2011.09.21 09:52:10 *.32.94.34
아.."사랑"하고 싶어지는 글이네요^-^*
좋은 글 감사합니다!
덧글 입력박스
유동형 덧글모듈

VR Left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 당신은 사랑을 몇 번 해보았나요? [1] 문요한 2011.09.21 3892
1236 삶이란 죽음 위에 피는 꽃 file [2] [1] 승완 2011.09.20 5363
1235 문명은 모든 살아 있는 사람을 위한 문명이어야 한다 부지깽이 2011.09.16 4386
1234 흔들리는 자신 가만히 바라보기 file [2] 김용규 2011.09.15 3539
1233 감정의 굳은 살 문요한 2011.09.14 3835
1232 개인사를 관통하는 성장과 퇴화의 패턴 file 승완 2011.09.13 4628
1231 그녀는 수수께끼입니다 부지깽이 2011.09.09 5057
1230 세상은 나를 주저앉게 할 수 없다 [3] 김용규 2011.09.08 3502
1229 갓난아이가 학교를 구하다 [2] 문요한 2011.09.07 3852
1228 인간에 내재해 있는 위대한 힘 file [1] 승완 2011.09.06 4662
1227 그날, 루까의 성벽 위에서 부지깽이 2011.09.02 5215
1226 농부로 사는 즐거움 몇 가지 [2] 김용규 2011.09.01 3590
1225 당신의 뇌가 가장 뛰어날 때 [1] 문요한 2011.08.31 4844
1224 아시시의 바람이 준 가르침 file 승완 2011.08.30 5520
1223 비둘기의 꿈 file [2] 신종윤 2011.08.30 5544
1222 특별함의 원천 [2] 부지깽이 2011.08.26 4582
1221 끝까지 가자, 끝을 만나게 되리라! [3] 김용규 2011.08.24 3539
1220 세상의 모든 사랑은 불완전하다 문요한 2011.08.24 4456
1219 르네상스인, 탐구하고 재생하고 자립하는 인간 file 승완 2011.08.23 5184
1218 오늘이 내일을 만든다 신종윤 2011.08.23 435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