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본형 변화경영연구소

연구원

칼럼

연구원들이

  • 김연주
  • 조회 수 2377
  • 댓글 수 6
  • 추천 수 0
2011년 2월 1일 09시 47분 등록

다시 시작하는 첫 책 기획안!!!

< 첫 책 기획안 >

1. 제목

: 복창 터지는 아이, 이들이 세상을 바꾼다 / 평범한 줄 아는 비범한 이이들 / 평범한 아이들의 창조적인 삶 / 우리 아이들의 창조성 발견하기 / 우리 아이들이 지닌 창조의 씨앗 엿보기 …

 

2. 나는 왜 이 책을 쓰게 되었나. - 나는 이 책을 통해 무엇을 얻을 수 있는가?

: 우리는 미완성의 존재이므로 부족한 부분을 채워서 완성된 존재가 되기 위해 학교에 다니고 교육을 받았다. 하지만 내가 10년 동안 교사생활을 하면서 알게 된 사실은 이미 아이들은 완전한 존재이며 삶의 창조적인 주체라는 것이었다. 나는 이 책에서 내 안에도 이미 존재했고 아이들 안에도 이미 존재하는 다양한 창조의 씨앗을 발견하고 그것이 싹이 트는 것을 바라보는 기쁨을 누릴 수 있다.

 

3. 이 책의 주제는 무엇인가? 이 책의 Focus는?

3개의 키워드 : 교육, 성장, 창조성

교육의 목적 = 아이들의 창조적인 성장

 

4. 이 책의 차별성은 무엇인가?

: 교육 주체들의 인식 전환 - 10년차 교사가 공교육 속에서 만나온 평범한 아이들의 창조성을 발견하는 이야기를 통해 ‘교육이라는 것이 아이들의 약점을 보완하는 것이 아닌, 아이들이 본래 지니고 있는 창조의 씨앗을 발견하여 강점으로 발전하도록 돕는 것이다.’라는 인식의 전환을 제공한다. 결국 아이들 스스로도 자신에게 창조의 씨앗이 있다는 것을 인식할 수 있으며, 학부모와 교사는 교육을 통해서 아이들의 창조적인 성장을 도와주어야 하는 존재임을 알게 된다.

 

5. 이 책의 독자들은 누구이며 나는 독자들에게 무엇을 줄 수 있나?

: 이 책의 독자들은 교육의 주체이다. 교육의 주체라고 하면 교사와 학생을 떠올릴 수가 있다. 나는 거기에 학부모를 더한다. 특히 학교교육 이전의 중요한 교육주체인 학부모들의 교육에 대한 인식전환을 도와주고 싶다. 아이들에게 창조적 능력이 부족하기 때문에 그것을 채우기 위해서 교육을 해야 하는 것이 아닌, 이미 창조의 씨앗을 품고 있는 존재들이기에 아이들이 지닌 창조의 씨앗에 자양분을 주어 싹이 트고 꽃이 피고 열매를 맺도록 도와주는 것이 부모와 교사의 역할이라는 것을 생각해보는 기회가 될 것이다. 곧,‘창조성은 만들어 가는 것이 아닌 발견하는 것이다’라는 인식의 기회를 제공한다.

 

6. 어떻게 전개할 것인가?

1> 인물에세이, 인물열전 : 10년동안 연주샘이 만나온 창조의 씨앗을 품고 있는 아이들의 모습을 통해 공교육 학교 현장의 이야기를 풀어놓는다.

2> 창조교사 노트 : 연주샘이 만난 아이들 속에 존재하는 창조의 씨앗을 발견하고 그 씨앗을 품고 있는 아이들에게 취했던 적절한 조치를 공유한다.

3> 학부모에게 보내는 편지 : 연주샘이 아이들에게서 발견한 창조의 씨앗을 공유하여 그것을 싹 틔우고 꽃 피우고 열매 맺기까지의 방법을 함께 생각해본다.

IP *.168.224.196

프로필 이미지
연주
2011.02.01 09:54:11 *.168.224.196
늦었습니다.
긴장만 되고 아무 생각도 안 나서요.
욕심을 부리니 더 안 되더군요.
그냥 가진 것만큼 모두 보여주면 되는 것을.
                가진 것
행복=---------------------
               원하는 것

행복하게 다시 시작합니다^^
프로필 이미지
미옥
2011.02.01 10:23:31 *.10.44.47
욕심을 가득 품은 연주!
솔직히 상상은 잘 안 가네.. ㅋㅋ

지금 내가 느끼는 건
넓고 포근한 연주라는 그릇을 찰랑찰랑 가득채운 이야기..이야기..
지금은 더 채우기보단 가진 걸 어떻게 포장해 내어 놓는지를 고민해야할 시기인거 같아.

물론 말처럼 쉽지 않다는 거..
누구보다 내가 더 잘 알지..
그치만 힘을 내보자!!

뱃속에서 9개월을 키웠어도
무사히 세상으로 보내주지 못한다면
엄마노릇을 제대로 했다고 볼 수 없잖아.

정성스레 키워온 우리의 이야기들에게 세상공기를 맡게 해주자..
일단 낳아만 놓으면 어떻게든 크는 게 애들이더라..
숨 쉴 힘조차 남지 않았다고..이젠 난 더 이상 못한다고 포기하고 싶은 그 순간.
그 순간 포기 대신 힘을 주었더니
어느새 아이가 나와 방긋거리며 웃고 있더라구...

연주야!!!
같이 힘 내자!!!
얼렁 낳아놓고 같이 놀러다니자!!!   ^^
프로필 이미지
우성
2011.02.01 13:33:48 *.30.254.21
연주야..
집에 아내가 빌려다 놓은
[교사와 학생사이]라는 책을
우연히 잠깐 앞부분만 봤는데..참 좋더라..
네게 영감이 떠오를거야...
함 읽어봐라..
프로필 이미지
병곤
2011.02.01 13:46:29 *.124.233.1
쭈욱 계속 써라.
에피소드가 많다면 한 20-30개 정도 쓰고 그 중에서 마음에 꽂히는 걸 추리면 될거다.
한 가지 코멘트하자면 제목은 영 아니다.
밋밋하다.
제목은 물론 계속 고민해야 겠지만
한 꼭지를 쓰면서 꼭지 제목을 치열하게 고민해라.
그 중의 하나가 책의 제목이 될 가능성이 높다.
그리고 이 책을 읽는 독자가 누구냐?
학부모의 심금을 울릴 수 있는 제목이 필요하다.
너의 시각이 아닌 학부모의 각도에서 고민해라.
그분들이 자주 쓰는 말, 수다, 글 등을 유심히 보고 잡아내라.
'내가 다시 학생이라면 복창이 터질까?'...
프로필 이미지
2011.02.02 15:53:43 *.230.26.16
힘내라! 힘!!
원래 막바지가 젤 힘들어 ㅠㅠ
그래도 옆에서 응원하는 소리에 맞추어 열심히 힘주다 보면 어느새 쑤~욱 예쁜 아기가 탄생한단다.
그러니 너도, 나도 그리고 유끼 모두 마지막까지 힘내자~
유끼, 화!이!팅!
프로필 이미지
sydeny pos system
2011.04.22 15:23:39 *.206.105.223
KXPOS system is all-in-one touch point of sale system,it used in restaurant pos system ,cafes,bars,pubs,clubs,supermarkets,vegetable and fruit restaurant pos pos system sydeny pos system
덧글 입력박스
유동형 덧글모듈

VR Left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2192 [컬럼] 가끔은 기생이 되고 싶다. [5] 최우성 2011.02.07 2522
2191 여행가기 [3] 이은주 2011.02.07 2408
2190 <소설> 우리 동네 담배가게 아저씨 나폴레옹(8) [5] 박상현 2011.02.07 2535
2189 무제 [8] 신진철 2011.02.06 2253
2188 단상(斷想) 49 - 느림의 미학 file 書元 2011.02.06 2446
2187 외식업의 비전 [1] 맑은 김인건 2011.02.06 3200
2186 응애 54 - 급해서 이만 줄임 [5] 범해 좌경숙 2011.02.03 2856
2185 <소설> 우리 동네 담배가게 아저씨 나폴레옹(7) [4] 박상현 2011.02.02 2416
» 다시 시작하는 첫 책 기획안!!! [6] 김연주 2011.02.01 2377
2183 [뮤직라이프 4호] 그림자마저 사랑할 수 있다면 file [3] 자산 오병곤 2011.01.31 3971
2182 [컬럼] 삶이 말을 걸어올 때 [6] 최우성 2011.01.31 2259
2181 킁킁킁~ 인간의 잃어버린 마음의 한 조각을 찾아라. [4] 이은주 2011.01.31 2614
2180 <소설> 우리 동네 담배가게 아저씨 나폴레옹(6) [8] 박상현 2011.01.31 2422
2179 '사장의 일'이란 무엇인가? [1] 맑은 김인건 2011.01.31 4303
2178 함께 한다는 것 [10] 이선형 2011.01.31 3170
2177 라뽀(rapport) 40 - 교육을 말하다 書元 2011.01.30 2198
2176 단상(斷想) 48 - 겨울 오디세이(Odyssey) file 書元 2011.01.30 2370
2175 단상(斷想) 47 - 기억을 가슴에 담다 file 書元 2011.01.30 2501
2174 강에서 만난 인연-수원에 가면 그가 있다 [4] 신진철 2011.01.30 2393
2173 욕실 드레싱 3 - 내 손으로 어디까지 가능할까 file 불확 2011.01.28 36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