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본형 변화경영연구소

연구원

북

연구원들이

  • 신진철
  • 조회 수 2091
  • 댓글 수 0
  • 추천 수 0
2011년 1월 17일 10시 10분 등록

[북리뷰 43] 프로페셔널의 조건

 

1. 저자에 대하여

People are not stressed because there is too much change in organizations but because of the way in which change is made. 사람들은 조직에 너무 많은 변화가 있어서 스트레스를 받는 것이 아니다. 변화가 진행되는 방식이 그들을 괴롭힌다.

 

Peter Ferdinand Drucker

그의 책은 금서가 될 것 같아 보이지 않는다. 내 눈에 그는 ‘보수적인 혁명주의자’로 보인다. 그는 시장의 눈에 비추어도 ‘덜 위험해 보이지만, 사실은 뜨거운 부지깽이를 등 뒤에 감추고 서 있다.’ 어쩌면 맑스보다도 더 위험한 사람일지도 모른다.

 

대학 1학년 서양철학 시간이었다. 마르크스를 전공했다는 젊은 시간강사가 말한다.

“20대에 맑스주의자로 살지 않으면 바보지만, 나이 서른이 넘어서도 맑스주의자로 산다면 더 큰 바보”라고. 그는 절반쯤 쓴 웃음을 지어보였고, 나는 절반정도 가벼운 비웃음으로 웃어 넘겼다. 그리고 공책에 이 말을 받아 적어 두었다. 그런데.. 정말이지 나는 그의 말대로 살게 되었다. 서른이 가까워지면서(아니 사실은 20대 중반부터였지만, 그런 의심들이 그렇게 성장할 것이라고는 생각하지 못했다) 나는 맑스를 부정하기 시작했고, 더 나아가 맑스를 뛰어 넘어야만 한다고 사람들에게 말하기도 했다. 사회적으로는 ‘맑스주의자’가 위험해보였고, 동료들 내에서는 ‘맑스’를 뛰어 넘자는 내가 위험해 보였다.

 

그리고 맑스가 아닌 다른 내 삶을 찾기 시작한 것이 서른부터 지금까지의 삶이었다. 나는 이미 나의 삶과 경험뿐만이 아니라, 세상의 변화 속에서 그의 잣대가 충분히 틀렸다는 것을 확신할 수 있고, 더러 아직도 맑스의 유령을 믿고 사는 사람들을 그냥 놔두지 못하게 되었다. 그렇지만 여전히 나는 사회적으로는 과거의 경력과 인맥으로는 ‘386 운동권 출신’이고, 가까운 동료들에게는 ‘자기 세계에 빠져 사는 생각이 너무 많은 사람’, 때로는 ‘불편한 사람’또는 ‘어설픈 생태주의자’로 비쳐지고 있다.

 

나는 다시 마흔이다. 그리고 이미 고인이 된 ‘보수적인 혁명가’의 말에 귀가 솔깃해져가고 있다. ‘프로처럼 살고 싶다’는 생각에 첫 장을 연 것이 그와의 만남의 시작이다. 그리고 뒤죽박죽되기 시작한다. 진흙탕 속에 빠진 듯이 허우적거리기도 하고, 아직도 수렁 깊숙이 내 발목을 놓치 않고 있는 그 힘에 저항해보기도 한다. 더러 불꽃들이 튀기 시작했다. 장을 넘겨가면서.. 떠오르는 사람들이 많았다. 나는 피터 드러커의 책을 보고 있었지만, 구본형 선생님 말씀도 섞여 들리고, 대학시절 나를 불러다 혼을 내던 ‘친미성향의 교수’님이나 고상한 기품의 동양철학 교수님도 보인다. 아아... 나도 나이를 먹나? 내가 보수화 되는 것일까? 그의 말은 구구절절이 맞는 말이면서, 고집스러운 또 다른 내가 ‘귀를 막으라고’ 말하기도 한다. 죽은 자의 무덤에서 유령을 불러내는 일은 위험한 일이다. 절대로 단순한 재미나 교양정도를 쌓겠다는 생각이라면 너무나 ‘위험한 혼자 놀기’가 아닐 수 없다.

 

현대를 대량생산원리에 입각한 고도산업사회로 보고, 그 속에서 기업의 본질과, 이를 바탕으로 한 경영관리의 방법을 전개한 학자로, 스스로는 "사회생태학자(social ecologist)"라고 불렀다. 경영학의 전문내용을 대중들이 쉽게 읽을 수 있도록 하였으며, '지식 노동자'라는 개념을 고안하는 등 미래 사회의 변화와 인간이 사업과 정부기관과 비영리단체를 통하여 조직화되는가에 대한 탐구에 관한 내용을 주로 연구하였다.

 

오스트리아계 미국인 경영자문가, 교육자, 작가이다. 그의 보수적인 저서는 현대 기업의 철학적·실제적 토대를 제시하고 있다.

 

1909년 11월 19일 오스트리아 빈에서 출생하였다. 빈대학교에서 학위를 받고, 1933년 런던에 이주하여 경영평론가가 되었다. 1937년 영국 신문사의 재미통신원으로 도미하여 학자 겸 경영고문으로 활약하였다. 1938년 미국으로 이주한 뒤에는 사라로렌스 대학, 베닝턴 대학, 뉴욕 대학에서 강의하는 한편 1942년에 집필한 『산업인의 미래The Future of Industrial Man』(독일에서는 『산업사회의 미래』로 번역)에서 20세기 사회의 발전 과정을 연구했다. 이 저서의 출간으로 드러커는 1943년 당시 세계에서 가장 큰 기업이었던 제너럴모터스에서 2년간 경제 분석가로 일하게 되었다. 1946년 이 기간의 연구 결과를 집대성해 『법인의 개념』이라는 제목으로 발표했고, 이로써 학문적 분과로서의 경영에 대한 초석을 마련했다. 그 후 드러커는 제너럴일렉트릭, 코카콜라, 시티코프, IBM, 인텔 등의 대기업과 수많은 중소기업, 정부 부처, 국내외의 비영리 단체를 위해 컨설턴트로서 활동했다.

 

그는 젊었을 때 법학, 역사, 경제학, 사회학 등을 두루 섭렵했고, 음악은 피아노와 첼로를 오케스트라와 연주할 정도였으며, 일본화에 대해서 평론집을 저술하고 강의를 했을 정도로 미술에도 높은 식견을 갖고 있었다. 19세기 전통 방식에 의한 학습을 통해 다방면에서 고급지식을 쌓을 수 있었으며, 그것을 바탕으로 드러커는 사회를 남과는 다른 방식으로 보았고, 남이 보지 못하는 것을 미리 파악했다. 이런 그가 경영학자가 된 것은 순전히 인간에 대한 관심 때문이었다.

 

그는 현대경영학의 아버지로 추앙받으며, 경영학의 체계를 세웠다고 평가받는다. 그 뿐만 아니라 인간의 물질적 삶의 수준을 높이고, 기업과 인간을 보는 눈을 바꾸도록 하였다. 생산과 분배, 생산요소, 지식사회, 변화, 지식근로자, 인간의 수명증가, 그리고 미래에 대한 선견력은 일선 경영자들이 기업을 경영하고 자기관리를 하는 데 큰 통찰력을 제공하였다.

 

1950년과 1971년 사이에는 뉴욕 대학 비즈니스 스쿨의 경영학 교수를 역임했고, 1969년에 이 대학에서 수여하는 최고의 훈장인 총장상을 받았다. 1971년부터 캘리포니아 주 클레어몬트 경영대학원에서 사회학과 경영학을 가르쳤고, 미국과 벨기에, 일본, 스위스, 스페인, 체코 등지의 대학에서 다양한 명예박사 학위를 받았다. 1979년과 1985년 사이에는 클레어몬트 대학의 포모나 칼리지에서 극동 지역 예술을 가르쳤다.

 

피터 드러커는 사회, 경제, 정치, 경영의 모든 주제를 다룬 뛰어난 저술가로서 30여 권 이상의 저서를 발표했다. 특히 그는 20세기 후반의 많은 변화들을 예측하였는데, 민영화와 분권화, 일본 경제의 발전, 사업에서의 마케팅의 중요성, 정보화 사회의 발현과 평생 교육의 필요성들을 주로 강조하였다. 경영학을 새로운 관점에서 볼 수 있게 한 그의 저서는 20개국 이상의 나라에서 번역되었고 총판매 부수는 600만 권을 넘어섰다. 2002년에는 미국 시민에게 수여하는 최고 훈장인 대통령 자유훈장을 받았고 2005년 11월 11일 96세의 나이로 별세했다.

 

2. 가슴을 무찔러 드는 글귀 50

- 너의 책에 써 먹으려는 글귀들을 찾아라...

 

한국의 새로운 도전을 위하여

1.

정작 가장 중요한 것은, 또한 그것은 간과되고 있는 것이기도 한데, 한국이 그 기간 동안 자국의 ‘인적자원’을 질적으로 혁신하는 데 성공했다는 점입니다. ... 한국은 불과 25년 만에 교육 수준이 높고 업무 성취도가 탁월한 전문가와 경영자 등 많은 지식 근로자들을 양성해 낼 수 있었습니다. 실로 짧은 기간 동안에 이루어낸 성과치고는 대단한 것입니다. ... 왜냐하면 한국의 내일은 그러한 성취능력을 갖춘 전문가와 경영자가 창조해 나갈 것이기 때문입니다. p6

2.

기업의 목적은 기업 그 자체가 달라지는 것보다 한층 더 달라질 것입니다. 기업들은 근본적인 변화를 겪게 될 것이며, 빠른 속도로 진보하게 될 것입니다.

생산활동은 전 세계에서 지속적으로 늘어날 것으로 보입니다만, 생산 분야의 고용 인력은 급속히 줄어들 것입니다. 절대적인 생산 노동력의 숫자가 줄어드는 것은 물론이고, 전체 노동력에서 차지하는 비율 또한 줄어들 것입니다.... 지식근로자는 모든 선진국의 노동력 가운데 이미 수적으로는 가장 규모가 큰 단일집단이 되어가고 있으며, 또한 노동력 가운데 급료 수준이 가장 높은 부류입니다. p8

3.

지난 50년간 한국이 이룩한 것들 가운데 가장 돋보이는 일은 고도로 교육받은, 성취능력이 뛰어난 지식 근로자를 창출한 것인데, 그것은 한국의 미래를 위한 최선의 준비였다고 할 수 있습니다. p10

 

서문 : 지식 경제 시대의 개인과 기업

4.

20세기에 일어난 사건들 가운데 ‘인구혁명’을 가장 중요한 사건으로 꼽고 싶다. .. 양적인 측면에서 인구혁명은 모든 선진국과 대부분의 개발도상국에 폭발적인 인구 증가와 함께 노령화 현상을 초래했으며, 평균 수명 또한 엄청나게 연장시켰다. ... 질적인 측면에서, 인구 혁명은 모든 선진국의 노동 인구에 중대한 변화를 가져왔다.

20세기 초에는 어느 국가에서든 육체 노동자가 전체 노동 인구의 90퍼센트 내지 95퍼센트를 차지했다. 농부들, 가정의 하인들, 공장의 노동자들, 광부들 그리고 건설 현장의 인부들이 노동인구의 대다수를 차지했던 것이다. p11-12

5.

우리의 논의대상이 기업이든, 정부 기관이든, 비영리기관이든 경영에 관한 만족할 만한 정의는 단 한 가지 밖에 없다. ‘경영이란 인적 자원의 생산성을 높이는 것이다.’ 인적 자원의 생산성을 높이는 것은 앞으로 경쟁 우위를 획득하기 위한 유일한 방법이 될 것이다. p19

 

1부. 새로운 사회의 거대한 변화

 

1.지식의 전환과 지식 사회

6.

하나의 전환이 13세기에도 있었다. 당시 유럽에는 거의 하룻밤 사이라고 할 만큼 갑작스럽게 새로운 모습의 도시들이 생겨났다. 도시 길드가 새로운 지배적 사회 집단으로 등장하였고,... 이후 수십 년에 걸쳐 라틴말로 된 성경이 각 국가의 자국어로 번역되었다. 그리고 단테에 의해 유럽 문학이 창조되었다.

다음의 전환은 그로부터 200년즘 지나서, 요하네스 구텐베르크가 활판 인쇄술을 발명한 1455년부터 마르틴 루터가 종교 개혁을 일으킨 1517년에 이르는 60여년에 걸쳐 일어났다. 이 기간은 르네상스의 전성시대.. 이탈리아의 플로렌스와 베니스에서 절정을... 고대 사회의 재발견, 유럽에 의한 아메리카의 발견... 해부학의 재발견과 인체에 대한 과학적 의문의 제기, 서양 세계에 아라비아 숫자의 전반적인 보급...

다음의 전환은 1776년에 시작되었다. .. 미국 독립운동이 시작되었고, 제임스 와트가 증기기관을 완성했으며, 애덤 스미스가 국부론을 쓴 해였다. ..이 40년 동안 각종의 무슨무슨 ‘주의’가 탄생하였다. 자본주의와 공산주의가 생겨났으며, 산업 혁명 역시 이 기간 동안에 일어났다. 1809년에는 최초의 현대적 대학인 베를린 대학이 설립되면서 학교 교육이 보편화되기 시작하였다. .. 유대인의 해방인데, 1815년경 로트실트 가문은 유럽의 왕등과 군주들보다 더 주목받는 존재가 되기도 하였다. p28-29

7.

이미 근본적인 전환이 시작되었다. 새로운 사회가 비(非)사회주의 사회이고 또한 자본주의 이후 사회라는 것은 확실하다. 그리고 그 사회에서 제일 중요한 자원은 지식이라는 사실 역시 확실하다. 이것은 또한 앞으로의 사회는 틀림없이 조직의 사회가 되리라는 것을 의미한다. p27

8.

산업혁명

1700년 이후부터 시작하여-믿을 수 없을 만큼 짧은 기간인 50년 동안에-‘기술’이 발명되었다. 이 기술이라는 말은 장인이 가진 비밀스런 기능인 ‘techne’와, 지식을 조직하고 체계화하고 목적지향적으로 정리하는 것을 뜻하는 ‘logy’를 조합하여 만든 것이다. ... 1751년에서 1772년 사이에 편집한 -역사상 가장 중요한 책 가운데 하나인- 백과사전에 기록되어 있다. 이 위대한 작업은 ...‘정보 전문가(information specialist)’에 의해 쓰여진 것이다. p39

9.

무엇이 마르크스와 마르크스주의를 패배시켰는가? 1950년쯤 되어서는 많은 사람들이 마르크스주의는 도덕적으로나 경제적으로나 실패했다는 사실을 알게 되었다. .. 그러면 무엇이 ‘자본주의의 본래적 모순’과 노동 계층의 ‘소외’와 ‘착취’ 그리고 ‘프롤레타리아’ 계급 그 자체를 한꺼번에 무너뜨렸는가? 그 대답은 바로 생산성 혁명이다. p44

10.

마르크스는 종종 다윈, 프로이트와 함께 ‘현대 세계를 창조한 삼위일체’로 간주되기도 한다. 하지만 이 세상에 정말 정의라는 것이 있다면 마르크스 대신 테일러를 그 자리에 앉혀야만 한다. 테일러가 그에 걸맞은 영광을 누리지 못했다는 사실은 단지 사소한 문제에 불과할지도 모른다. 하지만 지난 100여 년 간의 폭발적인 생산성 향상을 통해 선진 경제를 창조할 수 있었던 것은, 다름 아닌 지식을 작업에 적용한 테일러의 연구 덕분이었다는 사실을 인식하고 있는 사람이 너무나도 적다는 것은 매우 심각한 문제이다. p53

평가는 특히 역사적 평가는 객관적이고, 냉정해야만 한다. 피터 드러커가 나와 이념적 배경을 달리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내가 그의 말에 공감할 수 밖에 없는 이유가 바로 이런 대목이다. 테일러에 대한 새로운 평가 또는 맑스의 실패에 대한 분석... 자본주의의 본래적 모순을 해결한 것이 바로 생산성 혁명이라는 날카로운 지적 등이다.

11.

그러나 곧 경영이 모든 현대적 조직에 필요한 것이라는 사실을 깨달았다. 정말이지, 경영은 기업이 아닌 다른 조직, 즉 비영리 기관(NPO)이나 비정부 조직(NGO) 혹은 정부 기관에 더욱 필요한 것이다. 이런 조직들이 경영을 필요로 하는 가장 결정적인 이유는 이들은 기업과는 달리 ‘손익 계산’에 대한 인식을 갖고 있지 않기 때문이다. p59

나는 지난 20년 동안 조직활동과 사람사업의 경험과 또한 지난 10년 NGO에 몸담아 오면서 피터드러커의 이러한 주장에 전적으로 동의할 수 밖에 없다. 정말이지 경영은 기업이 아닌 다른 조직.. 모든 현대적 조직에 절대 필요한 것이라는 사실을 부인할 수 없다. 또한 미래가 ‘지식인’과 ‘경영자’에 의해 주도될 것임에 적극 공감한다. 이제 남은 일은 그러한 사람들을 어떻게 준비할 것인가와 내가 무엇을 할 수 있고, 어떻게 도울 수 있을까하는 문제가 화두로 남는다.

12.

나는 “당신은 지금까지 가장 위대한 경영자는 누구라고 생각하십니까?”라는 질문을 자주 받는다. 이 질문에 대한 나의 대답은 언제나 이렇다. “4,000여년 전 최초로 이집트의 피라미드를 지을 생각을 하고, 설계하고 그리고 건설한 사람이지요. 피라미드는 아직까지도 무너지지 않고 여전히 서 있지 않습니까?” p59

13.

1950년대 초가 되자 경영자의 정의가 ‘다른 사람들의 성과에 책임을 지는 사람’으로 바뀌었다. 지금 우리는 이 정의 또한 너무나 편협한 것임을 알고 있다. 경영자에 대한 올바른 정의는 ‘지식의 적용과 성과에 책임을 지는(responsible for application and performance of konwledge)사람’이다. 경영자의 정의에 대한 이러한 변화는 지금 우리가 지식을 필수적인 자원으로 간주하고 있음을 의미한다. p61

 

2.조직 사회와 지식 근로자

14.

현대 조직에서 지식 전문가는 모두 동료 내지는 협력자여야 한다. 지식 그 자체로서 서열을 매길 수는 없다. 지식의 서열은 그것이 공동의 과제에 공헌하는 바에 따라 평가되는 것이지, 지식 그 자체로서 우열을 평가할 수는 없다. p65

15.

사회와 지역사회 그리고 가정은 모두 안정을 추구하는 집단들이다. 그들은 안정을 유지하려고 애쓰는 한편, 변화를 막기 위해, 최소한 변화를 더디게 하기 위해 노력한다. 그러나 이와는 반대로 현대의 조직은 안정 파괴자로서 변화를 추구한다. 현대의 조직은 혁신할 수 있도록 조직되어야 하며, 그리고 혁신은 슘페터(Joseph Schumpeter, 1883-1950)에 따르면 ‘창조적 파괴’이다. p67

 

16.

조직의 가치관은 그 조직이 수행하는 과제들에 의해 결정된다. 이 세상의 모든 병원은 환자의 건강을 돌보는 것을 궁극적인 목적으로 간주한다. 이 세상의 모든 학교들에 있어서는 교육이 지상 최대의 목표이다. 이 세계의 모든 기업은 재화와 용역의 생산 및 판매가 최대 목적이다. p73

17.

비영리 조직은 가장 강력한 사회적 힘을 소유하고 있다. 기업들보다 훨씬 더 큰 사회적 힘을 갖고 있다. 역사상 오늘날 대학이 가진 권력보다 더 큰 사회적 힘을 부여받은 조직은 없었다. p74

18.

오늘날 모든 조직들은 한결같이 “사람이 우리의 가장 큰 자산입니다.”라고 말한다. 그러나 그들은 자신들이 하는 말을 진실로 믿는 것은 고사하고 실천에 옮기지도 못하고 있다. p79

19.

조직과 근로자들 사이의 관계는 조직과 자원봉사자들과의 관계와는 근본적으로 다르다. 지식 근로자들은 조직이 있기 때문에 일을 할 수 있다. 따라서 지식 근로자와 조직은 상호의존적이다. 그러나 동시에 지식 근로자들은 ‘생산 수단’ 즉 지식을 소유하고 있다. 이런 점에서 보면, 지식 근로자는 독립적이며 이동성이 매우 높다. 지식 근로자들은 자신이 소유하고 있는 지식 외에도 여전히 생산 도구를 필요로 한다. p80

20.

그러나 일시 해고되었던 지식 근로자들은 그들에게 지식이라고 하는 ‘자본’이 있다는 사실을 깨달을 수 있었다. 그들은 생산수단을 소유하고 있었던 것이다. 조직에서도 생산을 위한 물리적 도구들을 소유하고 있었다. 지식 근로자와 조직은 서로를 필요로 했다. 이 새로운 관계가 초래한 하나의 결과는 이제 더 이상 봉급을 주는 것만으로는 조직에 대한 종업원들의 충성심을 확보할 수 없다는 것이다. 조직은 지식근로자들에게 그들이 지식을 작업에 투입할 수 있는 특별한 기회를 제공하고 있음을 증명함으로써 지식 근로자들의 충성심을 확보하지 않으면 안 된다. p82

21.

그러므로 현대의 조직은 상사와 부하직원으로 구성된 조직이 될 수 없다. 현대의 조직은 팀처럼 조직되어야 한다. ... 오늘날의 조직사회는 인류 역사상 전례가 없는 것이다. 조직 사회는 성과를 달성하는 능력 면에서 전례를 찾아볼 수 없다. 첫째, 조직 사회를 구성하는 조직들은 하나의 구체적인 성과를 달성하기 위해 고도로 전문화된 도구를 갖고 있기 때문이다. 둘째, 조직 사회의 성과 달성 능력은 조직 그 자체에 그리고 지식 활용 능력에 기초하기 때문이다. p83

22.

‘지속성과 안정성을 유지하려고 하는 지역 사회’와 ‘혁신적이면서 안정 파괴자로서의 역할을 하려고 하는 조직’ 사이에서 발생하는 긴장 같은 것이 그런 것이다. ‘지식 전문가들’과 ‘경영자들’간의 갈등도 그런 예 중 하나이다. 지식 전문가도 경영자도 모두 필요한 사람이다. 지식 전문가들은 지식을 생산하고, 경영자들은 지식을 조직에 응용함으로써 생산적인 것으로 만들어준다. 지식 전문가들은 언어와 아이디어에 집중하는 반면, 경영자들은 사람과 작업 그리고 성과에 집중한다. ... 그러나 조직 사회에서 가장 크고 또한 가장 어려운 도전은 사회의 새로운 다원주의(pluralism)에 의해서 야기되는 것이다. p84

23.

정말이지, 중세 사회의 다양성을 철폐한 것은 지난 600여 년 간 역사적 ‘진보’의 원천이 되었다. 중앙 집권 국가의 승리가 확실해질 무렵 바로 그 무렵에 처음으로 새로운 조직이 등장했다.-바로 대기업이다.(물론 이러한 현상은 ‘역사의 종말’이 선언될 때마다 언제나 나타난다.) ... 아이러니컬하게도 20세기의 전체주의, 특히 공산주의는 오래되었지만 한때는 진보적이었던 신념, 즉 경쟁적이고 자치적인 다양한 조직들보다는 하나의 권위가 하나의 조직만 있으면 된다는 신념을 지키기 위한 최후의 절망적인 시도였던 것이다. 그 시도는, 우리가 이미 아는 바와 같이, 실패하고 말았다. p85

24.

누가 공동선(公同善)을 돌보는가? 누가 공동선이 무엇인지를 결정하는가? 누가 사회적 기관들이 분열된 또는 충돌하는 목표들과 가치관들을 조정하는가? 누가 그 결정들 사이에 발생하는 불균형을 조정해 주며, 어떤 기준으로 그것을 결정하는가?

중세의 다원 사회가 단일 주권국가로 대체된 것은 위와 같은 질문에 대한 해답을 제공하지 못했다는 데에 그 이유가 있다. 그러나 지금은 단일 주권 국가가 스스로 새로운 다원주의에 의해 대체되고 있는데.. 그 이유는, 단일 주권 국가가 사회의 필요성을 충족시킬 수 없었을 뿐만 아니라 지역 사회의 필수적 과제들을 해결할 수도 없었기 때문이다. 이러한 사실이야말로 사회주의의 실패로부터 그리고 모든 것을 포용하는 가장 강력한 국가에 대한 신념의 실패로부터 우리가 배웠어야 하는 가장 근본적인 교훈이다. 지금 우리가 당면한 도전은, 특히 미국과 같은 자유 시장 민주주의를 신봉하는 선진국이 당면한 도전은 자율적이고도 지식에 기초한 다양한 조직들이 경제적 성과 향상과 함께 정치적, 사회적 단합에 공헌하도록 만드는 것이다. p87

 

2부. 지식 노동과 지식 근로자의 생산성

25.

지식 근로자가 공헌에 초점을 맞추는 것은 각별히 중요하다. 그렇게 하는 것 외에 달리 그들이 공헌할 수 있는 방법이 없다. 지식근로자는 '물건'을 생산하지 않는다. 그들은 아이디어, 정보, 그리고 개념을 생산한다. 더욱이 지식 근로자는 대체로 전문가이다. 그는 원칙적으로 한 가지 일을 잘할 수 있도록 배웠을 때만 성과를 올리는 사람이 될 수 있다. 달리 말해, 지식 근로자는 전문화되었을 때에만 목표를 달성할 수 있다. 그러나 전문적인 지식 그 자체는 단편적인 것으로서 아무런 효용도 갖지 못한다. 전문가의 생산물은 다른 전문가의 생산물과 통합되었을 때에만 비로소 성과가 될 수 있다. p.143

 

3.생산성을 어떻게 향상시킬 것인가

26.

생산성의 급격한 향상은 분명 지난 100년 동안에 일어난 사건들 가운데 가장 중요한 사회적 사건이며, 역사상 전례를 찾아볼 수 없는 대사건이다. ... 그런데 한국은 25년 만에 해냈다. 아득한 옛날부터 하나의 규범처럼 여겨졌던 50년이라는 기준 연수를 한국이 그렇게 앞당길 수 있었던 것은 전적으로 1870년 내지 1880년경 미국에서 시작되었던 생산성 혁명의 결과이다. ... 그러나 선진국에서의 생산성 혁명은 이미 종료된 상태이다. .. 오늘날 선진국에서 전체 노동 인구 중에 육체 노동자가 차지하는 비율은 5분의 1정도이다. 30년 전만 해도 거의 과반수를 차지했었는데 말이다. p91-92

27.

지식 노동의 생산성 행상에 있어서는 가장 먼저 “해야 할 과업은 무엇인가, 우리는 무엇을 수행하려 하는가?” 그리고 “왜 그것을 해야 하는가?”라는 질문을 해야만 한다. 지식 노동의 생산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반드시 과업을 다시 정의해야 하며, 특히 꼭 하지 않아도 될 일을 제거하는 것이 중요하다. p96

 

4.어떻게 성과를 올릴 것인가

28.

지식 근로자에게 있어 지능과 상상력 그리고 지식은 기본적인 요소로서 이 요소들을 성과로 연결시키기 위해서는 목표 달성능력이 필요하다. 지능과 상상력 그리고 지식 그 자체는 성과의 한계를 설정할 따름이다. p112

29.

목표 달성 능력은 왜 필요한가

육체노동자들은 자신들이 힘들여 배워야 할 어떤 것을 이미 잘 알고 있는 ‘천부적인 소질’을 갖춘 몇몇 사람에게 의존하면 된다고 생각했다. 사실상 과거의 조직에는 매우 소수의 지식 근로자만이 있었을 뿐이다. 그들 대부분은 기껏해야 사무원 한 명 정도만을 데리고 전문가로서 일했다. 그들에게 목표 달성 능력이 있고 없음은 오직 그 자신들만의 관심사였고, 또한 자신들에게만 영향을 미치는 문제였다. 오늘날 지식에 기반을 둔 거대 조직은 사회의 중심적인 존재이다. 현대 사회는 거대한 조직들의 사회이다. p113

30.

지식 노동은 육체노동을 평가하는 척도로는 측정될 수가 없다. 지식 근로자를 직접적으로 세부적인 면까지 감독할 수는 없다. 다만 도움을 줄 수 있을 뿐이다. 따라서 지식 근로자는 스스로 방향을 정해야만 한다. p114

31.

생각하는 것이 곧 ‘일’의 시작이다. 지식 근로자에게 동기를 부여하는 것은 그 자신의 목표 달성 능력 혹은 성취 능력이다. 만일 목표 달성 능력이 부족한 지식 근로자가 있다면, 그는 자신이 하고 있는 일에 집중할 수 없고 공헌하고자 하는 의욕도 떨어지게 된다. 그리고 결국은 정해진 근무 시간만 겨우 떼우며 일하는 사람이 되고 마는 것이다. ... 따라서 지식 근로자는 육체 노동자가 하지 않는 일, 즉 자신의 성과를 다른 사람에게 제공하는 일을 해야만 한다. 지식 근로자는 자신의 생산물이 잘 만들어진 한 켤레의 구두처럼 그 자체로서 효용을 갖기를 기대해서는 안 된다. p115

32.

현대 조직의 모든 지식 근로자는 한 사람의 ‘경영자’라고 할 수 있다. 만일 그가 자신의 지위 또는 지식을 이용하여, 성과를 올리고 결과를 얻는 조직의 능력에 실질적으로 기여할 책임을 지고 있다면 말이다. p116

33.

베트남 정글에서 임무를 수행하던 젊은 미국보병대위의 신문 인터뷰 기사

“이곳에서는 책임을 질 사람이 나 혼자밖에 없습니다. 만약 사병들이 정글 속에서 적군과 맞닥뜨렸을 때 어떻게 해야 할지 모른다고 생각해 봅시다. 멀리 떨어져 있는 내가 할 수 있는 일이 뭐가 있겠습니까? 나의 임무는 그들로 하여금 자신들이 해야 할 일을 분명히 알도록 가르치는 것입니다. 실제 상황에서 그들이 무엇을 하는가 하는 것은 오직 그들의 판단에 달려 있습니다. 물론 책임은 언제나 내게 있습니다. 하지만 결정은 현장에 있는 사람이 합니다.” 결국 전쟁터에서는 모든 병사가 ‘경영자’가 되는 것이다. p117

34.

지식근로자의 현실

1.지식 근로자는 다른 사람을 위해 시간을 할애해야 하는 경우가 많다. 만일 누군가가 지식 근로자를 그의 활동들을 분석함으로써 정의하려고 한다면, 그는 아마도 지식 근로자를 조직의 포로라고 정의해야만 할 것이다. 조직 내의 모든 사람이 그의 시간을 빼앗을 수 있고, 또 실제로 빼앗음으로써 제약을 가하고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이러한 제약을 피하기 위해 지식 근로자가 할 수 있는 일이라곤 아무것도 없는 것 같다.

2. 지식 근로자는 자신이 살고 있고, 또 일하고 있는 현실을 바꾸기 위해 적극적인 행동을 취하지 않는 한 ‘일상 업무’에 쫓겨 다닐 운명에 처해진다. ... 지식 근로자에게 필요한 것은 어떠한 일이 자기 자신에게 정말 중요한 일, 즉 조직에 공헌하고 성과를 올리며 결과를 얻을 수 있는 일인지를 판단하는 기준이다.

3. 지식 근로자로 하여금 성과를 내지 못하도록 하는 세 번째 현실은 그가 ‘조직’ 내에서 일하고 있다는 점이다. 지식 근로자가 조직에서 일하고 있다는 사실은 자신이 공헌한 바를 다른 사람들이 활용하는 경우에만, 그때에만 비로소 실질적인 성과를 올릴 수 있음을 의미한다.

4. 마지막으로, 지식 근로자는 조직 ‘내부’의 세계에 존재한다. 모든 지식 근로자는 자신이 속한 조직의 내부를 가장 가깝고도 직접적인 현실로 인식한다. p120-123

35.

나는 컨설턴트로서 많은 조직에서 지식 근로자들과 함께 일했다. 목표 달성 능력은 나에게 다음의 두 가지 점에서 결정적으로 중요했다. 첫째, 컨설턴트는 원래 자신의 지식에 의한 권한 이외에는 아무런 권한이 없으므로 그 스스로 성과를 올려야만 한다. 그렇지 않으면 그는 아무것도 아니다. 둘째, 가장 효과적인 컨설턴트가 무언가를 이루기 위해서는 고객의 조직 내에 있는 사람들에게 의존해야 한다는 점이다. 그러므로 컨설턴트가 자신의 일에 공헌을 하고 결과를 얻어내느냐 혹은 경비만 축내는 ‘코스트 센터’에 머물면서 기껏 광대 노릇이나 하느냐 하는 것은, 전적으로 조직 내 사람들이 가진 목표 달성 능력에 달려 있다. p131

 

5.공헌할 목표에 초점을 맞추어라

36.

“지난 번 출판국장은 ‘우리들을 위해’ 글을 썼는데, 새로 부임한 국장은 ‘우리들에게’ 글을 쓰고 있는 것 같소이다.” 퇴임한 출판국장은 스스로 다음과 같이 질문했다. “이 연구소가 성과를 올릴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나는 어떤 공헌을 할 수 있는가?” 이에 대한 스스로의 대답은 “나는 우리 연구소에서 하는 일과 유사한 일을 하는 외부의 젊은 과학자들에게 흥미를 유발할 수 있고, 그들로 하여금 우리와 함께 일하려는 마음이 생기도록 할 수 있다.”는 것이었다. p138

37.

공헌은 여러 가지를 의미한다. 모든 조직은 세 가지 주요 영역에서 성과를 올릴 필요가 있다. 1)직접적인 결과를 산출하고, 2)가치를 창출하고 재확인하며, 3)인재를 육성하는 것이 그것이다. 만일 이 세 가지 영역 가운데 어느 하나라도 성과를 달성하지 못한다면, 그 조직은 썩어서 없어지고 말 것이다. p139

38.

넓은 의미에서 볼 때, 조직은 죽음이라는 운명을 피할 수 없는 한 개인의 한계를 극복하고자 하는 수단이다. 영속할 능력이 없는 조직은 그 자체가 실패작이다. 그러므로 조직은 내일의 조직을 운영할 사람들을 오늘 준비해 두지 않으면 안 된다. 조직은 인적 자본을 쇄신하지 않으면 안 된다. 조직은 인적 자원의 수준을 꾸준하게 향상시켜야 한다. 다음 세대는 현 세대가 축적해 놓은 고된 작업과 헌신을 당연하게 받아들여야만 한다. 그 다음에는 선배들의 어깨 위로 올라앉아 또 다음 세대의 기초가 될 ‘최고’의 노력과 헌신을 새로이 시작하지 않으면 안 된다. p141

39.

우리는 자기 계발이 무엇인지에 대해 별로 아는 것이 없다. 그러나 한 가지만은 알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람은, 특히 지식근로자는 자신이 스스로 설정한 기준에 따라 성장한다는 것이다. 사람은 스스로가 성취하고 획득할 수 있다고 생각하는 바에 따라 성장한다. 만약 자신이 되고자 하는 기준을 낮게 잡으면, 그 사람은 더 이상 성장하지 못한다. 만약 자신이 되고자 하는 목표를 높게 잡으면, 그 사람은 위대한 존재로 성장할 것이다-일반 사람이 하는 보통의 노력만으로도 말이다. p.150

 

3부. 프로페셔널로서의 자기 관리

 

6.인생을 바꾼 7가지 지적 경험

40.

나는 나 자신을 효과적인 사람, 계속 성장할 수 있는 사람 그리고 변화할 수 있는 사람으로 만들어준, 간단히 말해 과거의 노예가 되는 일 없이 나이를 먹는 법을 가르쳐준 내 인생의 일곱 가지 경험에 대해 이야기하겠다.

- 목표와 비전을 가져라

베르디는 누군가로부터.. 엄청나게 벅찬 주제를 가지고 더구나 그 나이에, 왜 굳이 힘든 오페라 작곡을 계속하는가? 라는 질문을 받고.. “음악가로서 나는 일생 동안 완벽을 추구해 왔다. 완벽하게 작곡하려고 애썼지만, 하나의 작품이 완성될 때마다 늘 아쉬움이 남았다. 때문에 나에게는 분명 한 번 더 도전해 볼 의무가 있다고 생각한다.” p156

- 신들이 보고 있다

고대 그리스의 위대한 조각가 페이디아스에 관한 이야기였다. 그는 기원전 440년경 여러 조각 작품의 제작을 의뢰 받았는데,그때 조각한 작품들이 2400여 년이 지난 지금까지도 아테네 파르테논 신전의 지붕 위에 여전히 서 있다. 페이디아스의 작품들은 오늘날까지도 서구 미술 역사상 최고의 걸작으로 손꼽히고 있다. 보는 사람마다 모두들 그의 작품을 칭송했지만, 정작 아테네의 재무관은 페이디아스의 작품료 지불을 거절했다. 재무관의 거절 사유는 이런 것이었다.'조각들은 신전의 지붕 위에 위치해 있다. 따라서 사람들은 조각의 전면밖에 볼 수가 없다. 그런데도 당신은 우리에게 조각 전체 값을, 다시 말해 아무도 볼 수 없는 조각의 뒷면 작업에 들어간 비용까지 청구했다. 어떻게 생각하는가?'이에 대해 페이디아스는 '아무도 볼 수 없다고? 당신은 틀렸어. 하늘의 신들이 볼 수 있지'라고 대꾸했다.

나 역시 제발 신들이 눈치 채지 않기를 바라는 그런 식으로 일을 한 적이 많았다. 그렇지만 페이디아스는 내게 어떤 일을 할 때 오직 ‘신들’만이 그것을 보게 될지라도 완벽을 추구하지 않으면 안 된다는 사실을 가르쳐주었다. p158

- 끊임없이 새로운 주제를 공부하라

나는 3년 또는 4년마다 다른 주제를 선택한다. 그 주제는 통계학, 중세 역사, 일본 미술, 경제학 등 매우 다양하다. ... 그런 식으로 나는 60여 년 이상 동안 3년 내지 4년마다 주제를 바꾸어 공부를 계속해 오고 있다. 이 방법은 나에게 상당한 지식을 쌓을 수 있도록 해주었을 뿐만 아니라, 나로 하여금 새로운 주제와 새로운 시각 그리고 새로운 방법에 대해 개방적인 자세를 취할 수 있도록 해주었다. p160

- 자신의 일을 정기적으로 검토하라

지난 6개월간 우리가 했던 일에 대해 토론하면서 보냈다. 편집장은 언제나 우리가 잘한 일에 대한 이야기부터 시작했다. 그 다음에는 우리가 잘하려고 노력한 일에 대한 이야기로 넘어갔다. 또 그 다음에는 우리가 잘하려고 충분히 노력하지 않은 분야를 검토했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우리가 잘못했거나 또는 실패한 일에 대해 날카롭게 비판했다. 그 모임의 마지막 두 시간 동안에는 앞으로 6개월간 해야 할 일을 계획했다. p161

- 새로운 일이 요구하는 것을 배워라

새로운 직위에서 성공하기 위해 반드시 뛰어난 지식이나 재능이 필요한 것은 아니다. 새로운 직위에서 성공하기 위해서는 그 직위에서 요구하는 일에 대한 집중이 필요하다. 그리고 새로운 도전과 직무 그리고 과업을 수행하는 데에 결정적으로 중요한 일에 대한 집중을 필요로 한다.

- 피드백을 활용하라

피드백은 우리의 장점이 무엇인지 밝혀주는데, 이 장점은 한 개인이 자기 자신에 대해 알 수 있는 것 중에서 가장 중요한 것이다. 장점은 한 개인이 개선해야 될 것이 무엇인지를 그리고 어떻게 개선해야 하는지를 알려준다. 또한 그것은 한 개인이 할 수 없는 것, 심지어는 시도조차 하지 말아야 할 것을 명백히 밝혀준다. 자신의 장점을 안다는 것, 그 자신을 어떻게 개선해야 할지를 안다는 것 그리고 자신이 할 수 없는 것이 무엇인지 안다는 것-이것들이 바로 지속적 학습의 관건이다. p165

- 어떤 사람으로 기억되기 바라는가

나는 그 때의 대화를 잊을 수가 없다. 첫째, 우리는 자신이 어떤 사람으로 기억되기를 바라는지에 대해 스스로 질문해야 한다. 둘째, 우리는 늙어가면서 그 대답을 바꾸어야만 한다. 그것은 차츰 성숙해 가면서 그리고 세상의 변화에 맞추어 바뀌어야만 한다. 마지막으로 꼭 기억될 만한 가치가 있는 것 한 가지는, 사는 동안 다른 사람의 삶에 변화를 일으킬 수 있어야 한다는 것이다. p168

41.

내가 아는 사람들 중에 긴 세월 동안 지속적으로 목적을 달성하며 자신을 관리해 온 사람들은 모두 하나같이 내가 배운 것과 똑같은 것들을 어딘가에서 배운 사람들이었다. p168

 

7.자신의 강점을 파악하라

42.

대부분의 사람이 자신이 잘하는 것이 무엇인지 알고 있다고 생각한다. 그러나 그들 대부분은 잘못 생각하고 있다. 사람들은 자신이 ‘잘하지 못하는 것’이 무엇인지를 더 잘 알고 있다.-심지어는 그 점에 있어서도 제대로 아는 경우보다는 잘못 아는 경우가 더 많다. p174

 

43.

‘자신의 강점에 집중하라’ ‘자신의 강점을 개선하라’ 사람은 자신에게 소질이 없는 어떤 기술이나 지식이라도 웬만큼은 습득할 수가 있다. 세 번째이면서 특히 중요한 결론으로서 피드백 분석은 자신을 ‘무능하게 만드는 무식(disabling ignorance)’을 불러일으키는 지적오만(intellectual arrogance)을 바로잡아 준다. p176

44.

“나는 어떤 방법으로 성과를 올리는가?” 그리고 “나는 어떻게 배우는가?”라는 것은 가장 먼저 해야 할 질문이자 또한 가장 중요한 질문이다. ... 그리고 자신이 혼자 일하기보다는 다른 사람들과 함께 일할 때 더욱 일을 잘한다는 사실을 파악했다면, “나는 다른 사람들과 어던 관계(relationship)에 있을 때 일을 잘할 수 있는가?”라고 질문해야 한다. ... 자신이 ‘긴장감’속에서 일을 잘하는지, 아니면 고도로 구조화되고 예측 가능한 환경을 필요로 하는지를 파악하는 것이다.... “나는 거대한 조직의 작은 부품으로서 존재할 때 가장 일을 잘하는가, 아니면 작은 조직에서 최고로 대접받을 때 가장 일을 잘하는가?” p182

45.

조직은 가치를 갖지 않으면 안 된다. 사람도 마찬가지다. 어떤 조직이 효과적으로 운영되려면, 개인이 소유한 가치와 조직의 가치가 양립할 수 있어야 한다. 두 개가 똑같을 필요는 없다. 그러나 두 개는 공존할 수 있을만큼 충분히 비슷하지 않으면 안 된다. 그렇지 않으면 개인은 좌절을 느낄 뿐만 아니라 결과를 산출할 수도 없을 것이다.

개인의 강점과 성과를 올리는 방법 사이에 갈등이 일어나는 경우는 드물다. 둘은 상호보완적이다. 그러나 개인의 가치관과 강점 사이에 있어서는 때로 갈등이 발생하기도 한다. p184

46.

나 또한 수십 년 전에 내가 잘하고 있는, 그것도 성공적으로 하고 있는 일과 나의 가치관 사이에 어느 것 하나를 선택해야 하는 순간에 놓인 적이 있었다. ... 대공항 시절에 나는 돈도 없었고, 직업도 없었고 그리고 전망도 밝지 않았다. 그러나 나는 은행에서 물러났다. 그리고 그것은 옳은 결정이었다. p185

47.

성공적인 경력이란 ‘계획’한다고 해서 얻을 수 있는 것이 아니다. 자신의 강점, 자신의 일하는 방식 그리고 자신의 가치관을 앎으로써 기회를 맞을 준비가 되어 있는 사람만이 성공적인 경력을 쌓아나갈 수 있다. p186

 

8.시간을 관리하는 방법

48.

전혀 할 필요가 없는 일, 즉 어떤 결과도 거둘 수 없는 완전한 시간낭비형 일을 찾아내 제거해야 한다.

“내 시간 운용표에 기록된 활동들 가운데, 다른 사람이 나보다 더 잘하지 못하더라도 최소한 나만큼은 잘할 수 있었던 일은 어떤 것인가?” p200-201

49.

일상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권한 위임'이라는 용어는 잘못 이해되고 있다. 그것은 진정 사람들을 그릇된 방향으로 안내하고 있다. 권한 위임의 진정한 목적은 자신이 할 수 없는 일을 떼어내 다른 사람에게 주는 것이 아니라, 진정으로 자기 자신에게 중요한 과업에 집중하기 위한 시간을 확보하는 것이다. 그리고 이것이야 말로 목표달성을 위한 중요한 진전이다. p.202

50.

부실한 경영 관리는 모든 사람들의 시간을 낭비하게 만든다-무엇보다도 그것은 경영자 자신의 시간을 낭비하게 만든다. ... 경영자들이 첫 번째로 할 일은 시스템의 결함 또는 앞을 내다보는 안목의 부족에서 오는 시간 낭비 요인을 파악하는 것이다. ... 만일 같은 위기가 두 번째 일어났다면, 그 위기는 결코 다시 반복되어서는 안 된다. p205-206

51.

만약 조직 내의 상급자들-특히 경영자들-이 자신의 시간 가운데 10분의 1이상을 ‘인간관계문제’에 사용하고 있다면, 예컨대 불화와 마찰, 관할권 다툼, 부문간 협조에 관한 문제 그리고 기타 여러 가지 문제에 쓰고 있다면, 그 조직은 인력이 너무 많은 것이 거의 확실하다. p209

52.

내가 아는 매우 효과적인 어떤 사람은 두 가지 ‘리스트’를 갖고 있는데-하나는 긴급한 일 그리고 다른 하나는 내키지는 않으나 해야만 할 일-둘 다 마감일을 정해두고 있다. 만약 마감일을 지키지 못하게 되면, 그는 자기 시간이 자신도 모르게 또다시 낭비된 것을 알고는 주의하게 된다. ... 시간은 가장 희소한 자원이다. 따라서 시간을 관리하지 못하는 사람은 다른 아무것도 관리하지 못한다. 게다가 자신의 시간을 스스로 분석하는 것은 자신의 업무에서 정말 중요한 것이 무엇인지를 생각하게 하는 가장 쉬우면서도 체계적이 하나의 방법이다. p213

 

9.중요한 일에 집중하라

53.

생산적인 반나절 혹은 2주일의 시간을 손에 넣기 위해서는 엄격한 자기 관리가 필요하고 그리고 ‘노’라고 말할 수 있는 강철같은 결심이 필요하다. p216

54.

목표를 달성하는 방법에 대해 ‘비결’이라고 할 만한 것 한 가지를 이야기한다면, 그것은 ‘집중’하는 것이다. 효과적인 사람들은 중요한 것부터 먼저 하고 그리고 한 번에 한 가지 일만 수행한다. ... 효과적인 사람들은 자신이 많은 일을 하지 않으면 안 된다는 것을 안다-그리고 그것들을 효과적으로 하지 않으면 안 된다는 것도 알고 있다. 그러므로 그들은 한 번에 한 가지 일만을 하는 데에 그리고 중요한 것을 먼저 하는 데에 모든 시간과 에너지를 집중시킨다. p215-218

55.

지식 근로자들은 자신이 그것을 좋아하든 좋아하지 않든 간에 늘 과거의 일에 발목이 잡혀있다. 그것은 피할 수 없는 것이다. 오늘이란 언제나 어제 취해진 행동과 결정의 결과이기 때문이다. ... 그렇다 하더라도, 오늘의 자원을 내일에 투입하는 것은 지식 근로자의 특수한 직무이다. p219

56.

그러므로 의사 결정은 어떤 일을 최우선으로 할 것인지 그리고 어떤 일을 가장 덜 중요하게 다룰 것인지 하는 관점에서 내려져야만 한다. 한 가지 문제는 ‘누가 그 결정을 하는가’하는 점이다.-지식 근로자 자신인가, 아니면 주변 상황의 압력인가 하는 것 말이다. ...

그렇지만 정녕 해야 할 일은 우선 순위(priorities)를 결정하는 일이 아니다. 사실 우선 순위를 결정하는 것은 그리 어려운 일이 아니다. 그것은 누구나 할 수 있다. 과업을 집중적으로 추진하는 지식 근로자가 그렇게도 적은 이유는 ‘2차 순위(posteriorities)’- 즉 지금 당장 하지 않아도 될 과업-를 결정하고 또 그것을 지키는 것이 어렵기 때문이다. p222-223

57.

우선 순위의 분석에 여러 가지 이야기가 있을 수 있다. 하지만 우선 순위와 2차 순위를 결정하는 데 있어 가장 중요한 것은 이성적인 분석이 아니라 용기이다. 우선 순위 결정에 있어 몇 가지 중요한 법칙들을 결정하는 것은 분석이 아니라 용기이다.

· 과거가 아니라 미래를 판단 기준으로 선택하라.

· 문제가 아니라 기회에 초점을 맞추어라.

· 자신의 독자적인 방향을 선택하라-인기를 누리고 있는 것에 편승하지 말라.

· 무난하고 쉬운 목표보다는 확연한 차이를 낼 수 있는 높은 목표를 세워라. p224

58.

집중-즉 ‘진정 의미있는 것은 무엇인가’ 그리고 ‘먼저 해야 할 것은 무엇인가’라는 관점에서 때와 사건에 따라 스스로 의사 결정을 하는 용기-은 지식 근로자가 시간과 사건들의 종노릇을 하는 대신 그것들의 주인이 될 수 있는 유일한 방법이다. p226

 

4부. 프로페셔널을 위한 몇 가지 기초 지식

 

10.효과적인 의사 결정 방법

 

11.조직 내에서의 켜뮤니케이션 방법

59.

“아무도 듣는 사람이 없는 숲 속에서 나무가 쓰러질 때 소리가 나는가?” 지금 우리는 이 문제의 정답이 ‘아니다’라는 것을 알고 있다. 무론 음파는 발생한다. 하지만 누군가가 그 음파를 지각하지 않는다면 단언코 아무 소리도 나지 않는 것이나 마찬가지다. 소리는 지각되어야만 소리가 된다. 소리는 커뮤니케이션이다. p263

60.

커뮤니케이션 행위를 하는 사람은 바로 그것을 받아들이는 사람이라는 의미가 담겨 있다. 소위 커뮤니케이터, 즉 무언가를 전달하는 사람이 커뮤니케이션 행위를 하는 것이 아니다. 그가 무언가를 외친다고 하자. 하지만 누군가 그것을 듣는 사람이 없다면 커뮤니케이션은 없는 것이다. ... “사람은 다른 사람과 말을 할 때 듣는 사람의 경험에 맞추어 말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목수와 이야기할 때는 목수가 사용하는 말을 써야 한다.” p263

61.

커뮤니케이션은 기대이다. 우리는 원칙적으로 지각하기를 기대하는 것만을 지각한다. 대체로 보고자 하는 것을 보며, 듣고자 하는 것을 듣는다. ... 정말로 중요한 것은 기대하지 않았던 것은 전혀 받아들여지지 않는다는 사실이다. ... 이처럼 별로 중요하지도 않은 토막 정보들이 읽히고 있으며, 무엇보다도 이것들은 몇몇 톱기사들을 제외하고는 사람들에게 가장 잘 기억되고 있다. 그 이유는 무엇일까? 그 대답은 이런 여백의 기사들은 독자에게 강요를 하지 않기 때문이라는 것이다. 사람들이 그런 기사를 더욱 잘 기억하는 것은 그것이 전적으로 그들의 관심사가 아니기 때문이다. p265-266

62.

커뮤니케이션과 정보는 다른 것이며, 사실상 거의 대립관계에 있다-그러면서도 상호의존적이다. 커뮤니케이션은 지각인 반면, 정보는 논리이다. ... 커뮤니케이션은 정보에 의존하는 것이 아닐지도 모른다. 정말이지, 가장 완벽한 커뮤니케이션은 어떠한 논리도 필요 없는 순수한 ‘경험의 공유(shared experience)'’일지도 모른다. 따라서 커뮤니케이션에 있어 가장 중요한 것은 정보가 아니라 지각이다.

63.

부하직원들이 제출하는 것이 상사들의 기대와 일치하는 경우는 극히 드물다. 사실 이렇게 하도록 하는 일차적인 목적은 상사와 부하직원 사이의 지각상의 차이를 정확하게 밝히는 데 있다. ... 목표관리는 커뮤니케이션의 수신자-이 경우에는 부하직원-로 하여금 이해의 폭을 넓힐 수 있는 경험을 제공한다. 의사 결정의 실체, 우선순위 문제, 자기가 하고 싶은 것과 상황이 요구하는 것 사이에서의 선택 그리고 무엇보다도 의사 결정에 따른 책임에 대해 이해할 기회를 갖게 해준다. p270

 

12.정보 중심 조직의 특성

64.

정보 중심의 조직 구조(information-based structure)는 전통적인 조직에 비해 필요로 하는 경영 계층의 수가 훨씬 적기 때문에 그 모습이 ‘평면적’이다. ... 그 사라진 계층들은 명령을 내리거나 의사 결정을 하는 계층이 아니었으며 감독을 위한 계층도 아니었다. 그 계층들은 전화선에서 증폭기가 하는 기능과 비슷한 기능을 하는 계층이었다. 그들은 정보를 수집하고, 더욱 풍부하게 하고, 재분류하고 그리고 정보를 전달하는 등의 정보 중계를 위해 존재하는 계층이었다. p273

65.

전통적 기업 조직은 군대를 모델로 하여 만들어졌다. 반면에 정보 중심 시스템은 교향악단과 훨씬 더 많이 닮았다. 교향악단에서 모든 악기의 연주자는 같은 악보를 보고 연주한다. 그러나 각각 연주하는 부분은 다르다. 그들은 함께 연주하긴 하지만, 같은 음을 연주하지는 않는다. p272, p276

66.

정보 중심 조직은 고도의 자율적 규제 제도를 확립해야 한다. 자율적 규제 제도는 신속한 의사 결정과 즉각적인 대응이 가능하도록 해준다. 또한 커다란 유연성과 폭넓은 다양성 두 가지 모두를 가능하게 해준다. p277

67.

정보 중심 조직이 누릴 수 있는 이러한 이점들은 조직 내에 상호 이해, 공유 가치 그리고 무엇보다 상호 존중이 있을 때에만 획득될 수 있다. p277

68.

정보 중심 조직은 관대한 조직이 아니라 규율이 확립된 조직이다. 정보 중심 조직은 강력하고도 결단력 있는 리더십을 필요로 한다. 모든 일류 교향악단 지휘자들은 두말 할 것도 없이 엄격한 완벽주의자들이다. ... 일류 지휘자는 교향악단 제일 뒤쪽에서 가장 중요도가 낮은 악기를 다루는 연주자마저도 전체적인 연주의 성공이 자신이 맡은 작은 부분을 어떻게 연주하느냐에 달려 있다는 믿음을 갖게 한다. 각각의 연주자는 그러한 책임 의식을 갖고 있을 때에 뛰어난 연주를 할 수 있다.... 정보 중심 조직은 성과를 중요시하면서 한편으로는 자기 관리를 요구하며, 그리고 일선에 있는 감독자로부터 최고경영자에 이르기까지 모두에게 상향적 책임을 지는 리더십을 요구한다. p278-279

 

13.리더십은 어떻게 발휘하는가

69.

리더십은 카리스마가 아니다. 리더십은 오히려 평범한 것이다. 그리 낭만적이지 않으며, 오히려 매우 지루한 것일 수도 있다. 리더십의 본질은 오직 그것이 달성하는 성과에 있다. ...

정말이지, 카리스마는 리더들로 하여금 잘못된 행동을 하도록 하는 원인이 된다. 그것은 그들을 융통성 없는 존재로 만들며, 자기 자신을 절대로 오류를 범하지 않는 완벽한 존재로 확신하게 만들며, 계속해서 새롭게 변화할 수 없도록 만든다. 스탈린과 히틀러 그리고 모택동이 그 생생한 증거이다. p281-282

70.

효과적인 리더십의 기초는 조직의 사명을 깊이 생각하고, 그것을 규정하고, 또 그것을 명확하고도 뚜렷하게 설정하는 것이다. ... 그러나 효과적인 리더는 어떤 타협이라도 그것을 받아들이기 전에 무엇이 올바른 것이고 또 바람직한 것인지를 곰곰이 생각한다. 리더의 첫번째 과업은 분명한 소리를 내는 나팔수 역할을 하는 것이다. 올바른 지도자와 틀린 지도자를 구별하는 것은 그들이 세운 목표에 달려 있다. 그가 현실의 제약으로 인해 수용하는 타협이 그의 사명 내지는 목표와 양립할 수 있는 것인가, 그렇지 않으면 그것들로부터 빗나가는 것인가 하는 것이 그가 효과적인 리더인지 아닌지의 여부를 결정한다. 그리고 그가 몇 가지 기본적인 기준들을 엄수하는가(그것들을 자기 자신의 행동으로 표현하는가) 또는 ‘그 기준들’을 그 자신에게도 제대로 적용하는가 하는 것이 그가 진정한 추종자를 거느린 리더인가, 아니면 단지 위선적인 기회주의자들만 데리고 있는 리더인가를 결정한다. 효과적인 리더십 발휘에 두 번째로 필요한 사항은, 리더는 리더십을 계급과 특권으로 보는 것이 아니라 책임으로 보아야 한다는 것이다. p284

71.

효과적인 리더는 리더십의 궁극적인 과제는 인간의 에너지와 비전을 창출하는 것임을 알고 있다. 효과적 리더십이 갖추어야 할 마지막 요건은 신뢰를 확보하는 일이다. 신뢰할 수 없는 리더를 따르고자 하는 사람은 없을 것이다. .. 어떤 리더를 신뢰하기 위해서 반드시 그를 인간적으로 좋아해야 할 필요는 없다. 또한 그와 의견을 같이할 필요도 없다. 신뢰라는 것은 리더가 언행을 일치하고 있다는 데 대한 확신이다. 그것은 아주 낡은 표현 방식인 ‘성실(integrity)’이라는 것에 대한 믿음이기도 하다. 리더의 행동과 그 자신이 공언한 신념들은 일치되어야만 한다. 그렇지 않은 경우 적어도 서로 모순이 없어야 한다. p285

 

14.강점을 활용하는 방법

72.

효과적인 사람은 발령을 내거나 승진을 시키는 등의 인사 관리에 있어서 그 사람이 잘할 수 있는 것이 무엇인가를 판단 기준으로 삼는다. 효과적인 사람은 인적 자원 배치에 대한 의사결정을 할 때 대상자의 단점을 최소화하기 위한 결정보다는 강점을 최대화하기 위한 결정을 내린다. ... 링컨이 그랜트를 사령관으로 지명하면서 판단 기준으로 삼은 것은 전쟁터에서 검증된 장군으로서의 능력, 즉 그의 강점이었다. p288

73.

효과적인 사람은 결코 “그 사람이 나하고 잘 지낼 수 있을까?”라고 질문해서는 안 된다. “그는 어떤 공헌을 할 수 있는가?”라고 질문해야 한다. “그가 할 수 없는 것은 무엇인가?”라는 질문도 결코 해서는 안 된다. 그의 질문은 언제나 다음과 같은 것이어야 한다. “그가 아주 잘할 수 있는 것은 무엇인가?” p290

74.

상사의 강점을 활용하는 것은 기본적인 분별력이기 이전에 부하직원 스스로 목표를 달성하는 열쇠이다. 상사의 강점을 활용함으로써 부하직원 그 자신이 해야 할 공헌에 초점을 맞출 수 있다. ... 상사의 강점을 활용한다는 것은, 달리 말하면 상사가 자신의 목표를 달성할 수 있도록 도와준다는 것이다-뿐만 아니라 그것은 부하직원 자신의 목표도 달성하게 해줄 것이다. 이와는 반대로, 부하직원이 상사의 약점을 활용하려고 하는 것은 상사가 부하직원의 약점을 활용하려는 것과 마찬가지로 상사를 좌절시키고 또한 무능하게 만든다. p296

75.

효과적인 지식 근로자는 상사도 인간이기 때문에 나름대로 목표를 달성하는 방법을 갖고 있다는 사실을 알고 있다. 또한 그들은 상사가 어떤 방법으로 목표를 달성하는지 관찰한다. 그것들은 단순한 방법이나 습관에 지나지 않을 수도 있지만, 그러나 그것은 실재하는 현실이다. ... 상사의 강점을 깊이 생각하고 또 그것을 활용하는 습관을 몸에 익히려면 늘 ‘무엇’을 보다는 ‘어떻게’에 더 많은 신경을 써야 한다. p297-298

 

15.경영 혁신의 원리와 방법

76.

정말이지, 어떤 혁신이 받을 수 있는 최대의 찬사는 사람들로부터 다음과 같은 말을 듣는 것이다. “이건 너무 분명해서 누구나 쉽게 알 수 있는 거야. 그런데 왜 나는 진작에 이런 생각을 하지 못했지?” p303

77.

지금부터는 '하지 말아야 할 일' 몇 가지를 검토하자.

1. 첫 번째는 무조건 독창적인 것만을 하려고 해서는 안 된다는 점이다. 혁신은 평범한 사람도 추진할 수 있는 것이어야 한다. 아무리 규모가 크고 중요한 혁신이라 하더라도 우둔한 사람 혹은 거의 우둔한 사람들에 의해 집행되게 마련이다. 어쨌거나 세상에 넘치도록 많은 게 무능한 사람들뿐인 걸 어쩌겠는가. 혁신뿐만 아니라 너무 똑똑한 사람을 필요로 하는 일은, 그것이 디자인이든 봉제 가공이든 무엇이든 간에, 거의 실패하게 되어 있다.

2. 다각화하지 말라, 분산시키지 말라, 한꺼번에 너무 많은 것을 하려고 시도하지 말라. 이것은 '꼭 해야 할 일'인 한 가지에 초점을 맞추기 위해서 필연적으로 도출되는 결과이다. 사업 활동의 핵으로부터 벗어난 혁신은 산만해지기 쉽다. 그것들은 아이디어로서만 머물고 혁신으로는 연결되지 않는다. 핵이 반드시 기술이나 지식인 것은 아니다. 그것은 시장일 수도 있다. p. 305

3. 마지막으로, 장래를 위해 혁신을 하려고 노력하지 말라. ‘현재를 위해’ 혁신하라. ... “앞으로 25년 뒤에 이것을 필요로 하는 노인들이 엄청나게 많을거야.”라는 말로는 충분하지 않다. .. “이것을 사용해 보고는 뭔가 확실히 다르다고 차이를 느낄 노인들이 오늘날 우리 주변에 충분히 있다. 물론 시간은 우리 편이다-앞으로 25년 동안 수요자는 더 늘어날 것이다. p306

78.

성공적인 혁신가는 보수적이다. 또 그래야만 한다. 그들은 ‘위험에 초점’을 맞추지 않는다. 그들은 ‘기회에 초점’을 맞춘다. p311

 

5부. 자기 실현을 향한 도전

 

16.인생의 후반부를 준비하라

79.

그러나 아인슈타인은 40대에 은퇴하고는 ‘유명 인사’가 된 것으로 끝나고 말았다.

오늘날 최고경영자의 ‘중년 위기(mid-life crisis)’에 대해 말들이 많다. 이것은 대부분 권태의 결과이다. 45세가 되면 대부분의 최고경영자들이 전성기를 맞이한다. 그들 자신도 그 사실을 알고 있다. ... 그러나 그들은 전성기를 누리면서 더 이상 아무것도 배우지 않으며, 어떤 것에도 더 이상 기여하지 않고 있다. 그들은 자신의 직무가 또 다시 도전의 대상이 되거나 만족의 대상이 될 것으로 기대하지 않는다. p317

일본의 속담에 ‘새벽에 발기가 되지 않는 이에게 돈을 빌려주지 마라’는 말이 있다. 건강하지 못한 이에게는 미래가 불확실하다. 정신도 마찬가지다. 늘 가꾸고 성장시키려는 노력을 부지런히 하지 않는 자. 열정이 식어버린 사람들, 손에 책을 들고 있는 않는 사람들, 공부하지 않는 이들에게는 그들이 아무리 선한 의도를 가진 이들이라 할지라도 역사적으로 무능력한 사람들이라는 심판을 피할 수 없을 것이다. 그들에게 미래를 맡기는 일은 매우 위험한 일이다. 그럴 수는 없다. 항로를 모르는 이에게, 배의 성능과 구조도 모르는 이들에게 어떻게 키를 맡긴단 말인가. 나는 차라리 악하더라도 능력 있는 사람이 키를 잡는 것이 낫다고 생각한다. 착하지만 무능력한 사람들만큼 위험해 보이는 선택도 없다.

80.

우리는 첫 번째 직업에서 상당한 성공을 거둔 사람들이 이처럼 제2의 경력(second career)을 쌓아가는 모습을 앞으로 한층 더 많이 보게 될 것이다. 그런 사람들은 실용적인 기술을 갖고 있으며 일의 방법도 충분히 숙지하고 있다... 그들에게는 봉사할 공동체가 필요하다-그리고 그들의 집은 자식들이 떠나간 뒤이므로 비어 있다. 그들은 소득도 또한 필요하다. 그러나 무엇보다도, 그들은 도전을 필요로 한다. p319

인생의 절반을 살고, 이제 또 한 번의 생을 멋지게 살아보고 싶은 열망을 가진 사람에게 이 말처럼 달콤하게 들리는 유혹도 없다. 심장을 뛰게 하는 소리도 없다. 바로 지금 부터다. 더는 미룰 수 없다. 지난 온 과거의 모든 것으로부터 얽매이지 않고 자유롭게 시작하고 싶다. 한 발짝 물러서서 챙겨갈 것과 두고 갈 것.. 먼 길을 떠나려는 이에게 짐은 가벼울수록 좋다. 꼭 챙겨야 할 것들만 챙겨서 가자.

81.

인생의 후반부를 관리하는 데에는 전제 조건이 하나 있다. 그것은 인생의 후반부로 접어들기 훨씬 전에 그 준비를 시작해야만 한다는 것이다. p320

82.

그와 더불어 ‘제2의 인생, 즉 지금까지와는 다른 종류의 후반부 인생’에 대해 준비할 필요성은-실질적으로 아직 시작되지 않은 혁명이고, 따라서 이 혁명에 대한 준비를 하는 사람도 없다. 현재 실행되고 있는 은퇴제도 역시 이러한 혁명에 대한 대비를 하지 못하고 있다. p324

 

17.교육받은 사람이란 누구인가

83.

지식은 언제나 사람 속에 구현되어 있고, 사람이 갖고 다니며, 사람에 의해 창조되고 증대되거나 개선된다. 지식은 사람에 의해 적용되고, 사람에 의해서 가르쳐지고 전달되며, 사람에 따라서 잘 이용되거나 잘못 사용되어지곤 한다. 따라서 지식 사회로의 이동은 사람을 중심에 위치하게 한다. p327

모든 책에서 말한다. 결국 사람이다. 사람을 바꾸고, 사람을 준비하지 않으면 아무 것도 이룰 수 없다. 지식인, 교육받은 사람..

84.

지식 사회 이전의 모든 사회에 있어서 교육받은 사람은 한갓 장식품에 지나지 않았다. ..그러나 지식사회에서는 교육받은 사람이 사회의 표상이자 상징이며, 또한 사회의 표준이다. 교육받은 사람은.. 사회적 원형(archetype)이다. 이들에 의해 사회의 실행 능력이 결정된다. 또한 이들에 사회적 가치, 신념, 헌신이 구체화된다. p328

85.

자본주의 이후 사회는 통합의 힘을 필요로 한다. 자본주의 이후 사회는 독립적인 각각의 특수한 전통들을 모두가 공유할 수 있는 보편적 가치, 우수성에 대한 보편적 개념 그리고 상호 존중에 의해 통합할 수 있는 지도자 그룹을 필요로 한다. 따라서 자본주의 이후 사회-즉 지식 사회-는 해체주의자들, 급진적 여권 운동가들 또는 비서구주의자들이 제안하는 것과는 정반대의 것을 필요로 한다. 지식 사회는 그들(해체주의자, 급진적 여권운동가, 비서구주의자)이 전적으로 거부하는 것, 즉 보편적인 교육을 받은 사람을 필요로 한다. p330

새로운 가치의 창출과 새로운 시대이념을 세우고 세상을 끌어갈 새로운 그룹, 그들은 20세기를 이끌어 왔던 사람들이 아니다. 지난 세기의 유산을 통해 우리가 무엇을 배우고, 무엇을 새롭게 준비해가야 할 것인지는 분명해 보인다. 세계시민.. 보편적인 가치.. 다양성을 수용할 수 있는 자세와 태도..

86.

자본주의 이후 사회는 교육 받은 사람을 필요로 한다. 과거 어떤 사회가 필요로 했던 것보다 더욱 많이 필요로 한다. 과거의 위대한 유산에 접근하는 것은 필수적인 요소가 되어야만 할 것이다. 과거의 유산은 인문주의자들이 유지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는, 유태교 및 기독교의 전통으로 구성된 서구 문명보다 훨씬 더 많은 것을 포함하고 있다. 따라서 교육받은 사람은 자신이 속하지 않은 다른 세계의 문화와 전통에 대해서도 올바른 인식을 가질 수 있어야 한다. ... 교육받은 사람은 또한 인문주의자들이 강조하는 것만큼이나 ‘책을 좋아해야’ 한다. 교육받은 사람은 분석하는 능력 못지않게 훈련된 자각 능력을 필요로 할 것이다. p333

87.

오늘날 가장 심각한 ‘반서구’ 운동은 이슬람교 근본주의자들의 반대가 아니다. 그것은 바로 페루에서 종종 일어나는 ‘빛나는 길(Shining Path: 페루의 모택동주의 무장 게릴라 집단)’의 테러이다. p333

나는 맑시즘의 이분법적인 원리가 서구사회를 지배해왔던 기독교적 세계관에서 크게 벗어나 있지 않다고 생각한다. 맑스는 “종교는 아편”이라고 말했지만, 내가 본 미래에서 “맑시즘이 아편”이 될 것이라고 여겨진다. 기독교나 맑시즘이나 서로 다른 것들을 수용하지 못하고, 갈등과 대립을 통해서 때로는 폭력적 방법을 통한 해결을 부추키는 일은 더 이상 궁극적인 대안이 아니라는 확신이 든다.

88.

미래의 교육받은 사람은 글로벌화 된 세상, 즉 서구화된 세계에서 살아갈 준비를 해야만 한다. 또한 교육받은 사람은 더욱더 민족주의화 된 세상에서 살게 될 것이다. 비전과 시야 그리고 정보에 있어서 그들은 ‘세계의 시민’이 되어야만 한다. 또한 교육받은 사람은 자신이 뿌리 내리고 있는 지역에서 영양분을 흡수하여 지역 문화를 풍성하게 가꾸어 나가야 한다. ... 대부분의 교육받은 사람이 조직의 구성원으로 일하면서 자신이 가진 지식을 활용하게 될 것이다. 그러므로 교육받은 사람은 두 개의 문화 속에서 동시에 일할 수 있는 준비를 해야만 할 것이다. 언어와 사상에 초점을 두는 ‘지식인’의 문화 그리고 사람과 일에 초점을 두는 ‘경영자’의 문화 말이다. p33489.

그러나 그들의 일과 직업은 ‘생존’을 위한 것이었지 ‘인생’을 위한 것은 아니었다. p336

 

18.어떤 사람으로 기억되기 바라는가

90.

사람은 오직 자신만이 스스로를 효과적인 인간으로 만들 수 있다. 그 누구도 그것을 대신해 줄 수 없다. 자신이 몸담고 있는 조직에 대해 져야 할 첫 번째 책임은 자신이 가진 것을 최대한 활용하는 것이다-그것은 또한 자신을 위한 것이기도 하다. p341

91.

“나는 내가 치료한 환자들이 죽어서 병원 안치대에 누웠을 때 사람들로부터 ‘이 사람은 정말 최고의 치과 의사에게 치료를 받았군’이라는 말을 들을 수 있기를 바랍니다.”... 개인의 성장에 있어서 가장 큰 책임을 지는 사람은 개인 자신이다-상사가 아니다. 조직 내의 모든 개인은 스스로 다음과 같은 질문을 해야 한다. p342

92.

자신이 몸담고 있는 조직에 대해 져야 할 첫 번째 책임은 자신이 가진 것을 최대한 활용하는 것이다. ... 우리는 신중하고도 조직적인 방법으로 노력을 집중함으로써 자기 개발을 위한 더 높은 단계로 나아갈 수 있다. 단지 자신의 비전을 조직의 그것과 일치시키는 단계를 뛰어넘어 개인의 비전을 성취하는 단계로 말이다. p343

93.

오랫동안 함께 일했던 어떤 지혜로운 사람이 나에게 이런 말을 한 적이 있다. “우리는 좋은 성과를 올린 사람에게는 월급을 올려줍니다. 그러나 승진의 문제는 다릅니다. 우리는 처음 자기가 맡은 직무보다 더 큰 직무를 뒷사람에게 넘겨줄 수 있는 사람만을 승진시킵니다.” 나 자신에게 있어 자기 성장이란 스스로의 역량을 향상시켜 나가는 것과 한 개인으로서 더 크고 비중 있는 사람이 되는 것을 동시에 의미한다. ... 그것은 자아존중이고 또한 자신감이다. 그것은 한 번 몸에 배이면 그 사람으로부터 빼앗아 갈 수 없는 그 무엇이다. 그것은 내적인 것인 동시에 외적인 것이기도 하다. p344

94.

첫 직장은 복권과 같다. 처음부터 자기 자신에게 잘 들어맞는 올바른 직장을 만날 확률은 그렇게 높지 않다. 자신이 어디에 속해야 할지 그리고 어디에서 경력을 쌓아야 할지를 파악하려면 대체로 몇 년의 시간이 필요하다. 우리는 흔히 사람의 기질과 개성은 타고 나는 것이라고 말한다. 그렇다 하더라도 자신의 기질과 개성에 대해 진지하게 생각하고 또 그것들을 분명하게 이해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p346

95.

또는 -가장 배신감을 느끼게 되는 경우인데- 존경하는 상사가 상사로서의 결정적인 의무를 다하지 못하는 경우도 발생한다. 유능한 부하직원을 지원하고, 양성하고 그리고 승진시키지 못하는 상사 말이다. p347

96.

때때로 변화-큰 변화든 작은 변화든 간에-는 스스로를 재충전하기 위해 반드시 필요하다.

... 오랜 기간 미국 적십자사의 회장을 역임하고 있는 리처드 슈베르트는 민간 기업의 노동 담당 변호사 겸 인사 관리 담당자였던 사람이다. 그런데 그는 40대가 되자 정부 관리로 변신했다가 다시 민간 기업으로 되돌아갔다. -그 다음 그는 적십자사로 왔다. 그가 그토록 높은 성과를 올리는 사람이 될 수 있었던 이유는 상당히 이질적인 직업 문화 속에서 각양각색의 사람들과 함께 일해 본 그 자신의 경험 때문이다. 편안하고 일상적인 업무에 빠져 있을 때가 바로 뭔가 다른 것을 하도록 스스로 압력을 가해야 할 시기이다. p347-p348

97.

주어진 일을 올바르게 수행하는 것을 의미하는 능률(efficiency)은 수행하고 있는 일이 올바른 일이라는 것을 전제로 하지 않는 한 아무런 의미가 없다. 따라서 어떤 일에 집중할지를, 다시 말해 어디에 우선 순위를 둘 것인지를 먼저 결정해야 한다. 그런 다음 그 일을 수행하는 데 있어서는 각자 자신의 강점을 활용해야 한다. 자신이 존경하는 성공한 상사의 행동을 모방하는 것은 목표를 달성하는 지름길이 아니다. ... 마치 지문처럼, 다른 누구와도 뚜렷이 구별되는 자기 자신만의 강점 말이다. 우리가 해야 할 일은 바로 자신이 가지고 있는 것을 효과적으로 활용하는 것이다. p350

98.

자신의 강점이 무엇인가 하는 것은 성과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우리가 ‘좋아하는’ 것과 잘하는 것 사이에는 상당히 높은 상관관계가 있기 마련이다. 우리가 하기 싫어하는 것과 잘 못하는 것 사이에는 더욱 뚜렷한 상관관계가 있다. p351

99.

아인슈타인은 교향악단에서 연주할 수 있는 수준으로 바이올린을 켤 수 있는 능력을 얻을 수만 있다면 노벨상을 포함하여 자신이 가진 모든 것을 내놓아도 좋다고 말했다. ... 그는 연주하기를 좋아했다-그는 하루에 4시간씩 연습했고 또 그것을 즐겼다. 그러나 바이올린 연주는 그의 강점이 아니었다. 그는 언제나 수학 문제 푸는 것을 싫어한다고 말했다. 그렇지만 그는 오직 수학에서만 천재였다. p351

100.

스스로 거듭난다는 것은 지금까지 하던 일을 다른 방식으로 하는 것을 의미하지 않는다. 그것은 지금까지 하던 일에 새로운 의미를 부여하는 것을 의미한다. 스스로 거듭나기 위한 가장 효과적인 방법은 예상하지 못했던 성공을 찾아보고 그 성공 방식을 자기 것으로 만드는 것이다. 대부분의 사람들은 문제에만 초점을 맞추느라 성공의 실마리는 눈여겨보지 않는다. p352

101.

스스로 거듭나기 프로세스를 계속 유지해 줄 수 있는 가장 평범하면서도 강력한 도구는 세 가지가 있다. 그것은 가르치는 것, 조직 밖으로 나가보는 것, 낮은 직급에서 봉사해 보는 것이다. p353

102.

“너희들은 죽은 뒤 어떤 사람으로 기억되기를 바라느냐?”라는 질문을 했다. 물론 아무도 대답하는 사람이 없었다. .. “.. 50세가 될 때까지도 여전히 이 질문에 대답을 할 수 없다면, 그 사람은 인생을 잘못 살았다고 봐야 할 거야.” .... 나는 지금도 여전히 그 질문을 계속하고 있다. “나는 어떤 사람으로 기억되기를 바라는가?” 이 질문은 우리 각자를 스스로 거듭나는 사람이 되도록 이끌어준다. 왜냐하면 이 질문은 우리로 하여금 자기 자신을 다른 시각에서 바라보도록, 즉 자신이 앞으로 ‘될 수 있는’ 사람으로 보도록 압력을 가하기 때문이다. p355

 

3. 내가 저자라면

 

2005년 11월 11일 96세의 나이로 ‘피터드러커’는 세상을 떴다. 이 세상 모든 사람들이 알고 있듯이, 그도 자신의 생명이 유한하다는 것을 이미 충분히 알고 있었다. ‘지식노동자’로서 그의 마지막 선택은 무엇이었을까. 개인의 유한한 생명의 한계를 뛰어 넘어 자신의 지적 성과를 이어가게 할 수 있는 일, 굳이 세상에 널리 이름날리지 않았더라도 자신의 삶에 치열했던 영웅들이 이 세상을 떠나기 전에 마지막으로 하는 일.

 

헤라클레스는 별이 되었다. 그리고 사람들 속에 신화가 되었다. 그의 삶은 사람들의 입을 통해서 세대를 거듭하면서 매번 다시 태어나는 삶을 영속하고 있다. 예수의 삶은 그 제자들에 의해서 기록으로 남게 되었다. 그가 남긴 이야기들, 수많은 비유들.. 위대한 삶의 마지막은 결국 기록으로 남기는 일이었다. 자신이 경험한 미래.. 비록 자신에게는 과거이지만, 사람들에게는 미래가 될 이야기들... 자서전을 적고, 자신의 경험을 써낸다고 하지만 사실은 미래의 이야기들을 하고 있는 것이다. 그의 책들이 여전히 우리들의 손에 들리워지는 이유들이다.

 

그 또한 외로웠을 것이다. 이해하지 못하는 사람들, 아니 이해하려고 조차 하지 않는 사람들 사이에서 그가 얼마나 고독했을 것인지. 그래도 그는 다행이다. 고흐와 같이 생전에 그의 가치를 인정받지 못한 영웅들이 또한 얼마나 많던가. 스스로 자아도취에 빠져 있지 않은지를 묻는다. 최소한 몇 가지의 프로젝트 공모와 시상과정을 통해 내가 살아온 지난 날의 성과들이 세상의 미래에 얼마만큼의 어떤 가치를 가지는지를 객관적으로 가늠할 수 있다. 나는 외롭지 않을 것이다. 하지만 시간은 걸릴 것이다. 나는 나를 이해해줄 수 있는 사람들을 만나게 될 것이다. 최소한 내가 지금 세상을 향해 날리는 귀뚜라미의 타전소리에 공명해주는 사람을 반드시 찾게 될 것이다. 나는 아마도 그 사람들과 인생의 후반을 같이 가게 될 것이다.

 

하늘은 스스로 돕는다고 했다. 자신의 성장과 변화를 스스로 준비하고 노력하는 사람들을 돕기에도 시간과 열정은 부족하다. 개인적 의리와 세상의 도리, 인간적 관계 등을 우선해서 나의 발목을 잡고 있는 현재로부터 나는 분명 자유로워져야 할 것이다.

 

지난 달 말, 넉 달 동안 걸쳐서 정리한 ‘전주의제21 10년의 발자취’의 초고를 넘겼다. A4용지로 450페이지 되는 분량을 보고서, 나도 놀랐다. 내가 하고 싶었던 말들이 참 많았구나.

매일 네 시간을 쓰려고 했다. 두어 번은 너무 아파서 전혀 꼼짝도 못하기도 했지만, 결국 나는 해냈다. 너무 힘든 과정이었고, 기억을 되살리기 위해 명상을 하기도 하고, 마음의 평정을 가지고 읽는 사람들에게 상처대신에 사랑을 이름으로 쓰고 있는지에 대해 물어야 했다. 요가와 명상 그리고 독서와 글쓰기. 나와의 힘겨운 싸움이다. 그렇지만 반드시 해 볼만한 일이다. 죽을 것 같이 아팠지만, 나는 죽지 않았다. 신은 결코 인간을 그렇게 약하게 만들지 않았다. 주어진 대로, 천복을 다해서, 멋지고 신명나게 한 판 놀다갈 만한 흥미진진한 곳이다. 세상은.

 

 

IP *.186.58.139

덧글 입력박스
유동형 덧글모듈

VR Left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2692 43.<포트폴리오 인생> 찰스 핸디 [2] 박미옥 2011.01.17 2424
2691 [리뷰] 행복의 정복 최우성 2011.01.17 3002
» [북리뷰 43] 프로페셔널의 조건 신진철 2011.01.17 2091
2689 첫 번째 읽기- 코끼리와 벼룩/ 찰스 핸디 이은주 2011.01.17 2239
2688 북리뷰 68 : 한국인의 웰 다잉 가이드라인 - 한국 죽음학회 범해 좌경숙 2011.01.17 3608
2687 북리뷰 43. 천의 얼굴을 가진 영웅_조셉 캠벨(민음사) 박상현 2011.01.17 2195
2686 <코끼리와 벼룩> - 찰스 핸디 김연주 2011.01.16 2080
2685 [북리뷰] 포트폴리오 인생. 찰스 핸디 이선형 2011.01.16 2273
2684 북리뷰 67 : 주님의 아름다우심을 우러러 - 헨리 나웬 [1] [2] 범해 좌경숙 2011.01.11 8449
2683 42. <필살기> 구본형 박미옥 2011.01.10 2537
2682 [북리뷰] <내 인생의 첫 책 쓰기> 오병곤, 홍승완 이선형 2011.01.10 2929
2681 [북리뷰 42] 행복의 정복 Conquest of Happiness 신진철 2011.01.10 2355
2680 북리뷰 42. 신화의 힘_조셉 캠벨(심층 읽기) 박상현 2011.01.10 2228
2679 두 번째 읽기- 열정과 기질 / 하워드 가드너 이은주 2011.01.10 2275
2678 북리뷰42 < How to Live: 갈림길에서 삶을 묻다>-2번째 읽기 [1] 박경숙 2011.01.10 1906
2677 신화의 힘 맑은 김인건 2011.01.10 1902
2676 두 번째 읽기 : <신화의 힘> -조셉캠벨 김연주 2011.01.09 2303
2675 [리뷰] 나를 가슴뛰게 하는 에너지, 강점 [1] 최우성 2011.01.09 3000
2674 북리뷰 66 : 타르코프스키는 이렇게 말했다. - 김용규 [2] 범해 좌경숙 2011.01.07 7942
2673 북리뷰 65 : 스피노자의 윤리학 연구 - 박삼열 [2] [2] 범해 좌경숙 2011.01.04 53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