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본형 변화경영연구소

커뮤니티

살다

여러분이

  • 이철민
  • 조회 수 2699
  • 댓글 수 0
  • 추천 수 0
2010년 7월 19일 03시 27분 등록

공동체는 공동체 의식을 통하여 형성된다.
 

사회라는 큰 틀 안에서 우리는 원하든 원하지 않든 다양한 형태의 공동체를 이루고 살고 있다. 국가라고 이름하는 동일한 문화권의 크고 작은 각각의 공동체들이 서로 공존할 수 있는 사회가 건강하다. 그러므로 그 사회를 건강하게 지탱하기 위해서는 이러한 다양한 형태의 공동체들이 자발적으로 형성하는 ‘공동체의식’을 통하여 그 에너지가 골고루 발산될 수 있어야 한다. 


짐 콜린스가 쓴 'Good to Great'에서는 ‘조직을 이끄는 리더에 대한 조건’을 5단계로 구분하였다.

리더십은 자신이 원하든 원하지 않든 혼자일 때가 아닌 여럿으로 구성된 조직체 안에서 발휘되는 것이기 때문에 ‘가드너의 공동체의식’을  ‘짐 콜린스의 5단계 리더십’과 같은 맥락에서 섞어보고 싶다.


'Good to Great'에서는 1단계부터 5단계로 올라갈수록 상위 레벨의 리더십이고, 5단계에 있는 ‘자신을 드러내지 않는 겸손한 리더’를 최고로 꼽고 있다.

여기서 재미있는 한 가지는 동양과 서양이 조금은 다른 가치관을 갖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수치와 통계를 중요시하는 서구의 기업 경제 분야에서 발표한 책에서 ‘겸손한 리더 = 겸손한 조직체(공동체)’를 최고로 꼽았다는 것이다. 그렇다. 선진화된 서구의 사회에서도 이제는 동양적 ‘정신’을 중요하게 생각한다는 것이다. 수치와 계산이 주는 한계를 초월한 동양적 사고. 그 안에 담겨진 ‘의미’에 대한 새로운 이해를 하고 있는 것이다. 

그의 1단계 리더십은 '능력이 뛰어난 슈퍼맨' 같은 해결사가 이끄는 공동체이다.

그보다 높은 2단계의 리더십은 '평범하지만 마음이 일치하는 팀원'으로 구성된 공동체이다.

또한 4단계의 ‘유능한 리더=좋은 공동체 (Good)’로 구성된 공동체보다는,

성과에 대하여 공동체 전체가 이룬 것으로 그 공을 돌리고 자신을 드러내지 않는
5단계의
‘겸손한 리더=위대한 공동체 (Great)’가 최고 수준의 공동체이다.


칼슨 컴퍼니스의 CEO인 매럴린 칼슨 넬슨은 파트너십에 대하여 패러다임의 변화를 역설하며 “이제 혼자서 모든 걸 해결하는 방식은 더 이상 먹혀들지 않습니다. 다시 말해 앞으로 기업을 이끌어 나가려면 시대 상황에 신속하고 능동적으로 대처할 수 있어야 한다는 얘깁니다.” 라고 말한다.


크리스토퍼 리브 주연의 ‘슈퍼맨’이라는 영화에서는 위기의 순간마다 슈퍼맨이 나타나 사회를 위험으로부터 보호한다. 그야말로 해결사의 역할을 완벽하게 해내고 있다. 그러나 슈퍼맨이 나타나기 전까지 시민들은 공포와 절망을 경험해야 한다. 만일 끝내 슈퍼맨이 나타나지 않는다면...

대표적으로 우리는 1997년 말에 IMF 구제 금융으로 국가 경제의 위기를 경험했었고 또 태안의 기름유출 사건을 경험했다. 기업들은 쉬쉬하며 현금보유를 늘리는 동안 국민은 자발적으로 금을 모으기 시작했다. 태안 앞바다 현장에서 기업은 사진을 남기기 바빴으나 부모들은 유치원 자녀와 함께 주말마다 자원봉사를 다녀왔다. 그 과정에서 우리에게 슈퍼맨은 나타나지 않았다. 어찌보면 그 당시 우리는 슈퍼맨을 기다릴 시간이 없었을 수도 있다.

사회 전체를 뒤덮고 있던 IMF의 공포와 환경파괴의 절망은 우리에게 오히려 자발적 에너지를 만들어 내며 공통의 문제를 스스로 해결하고자 하였고 그 속에서 대·한·국·민이라는 공동체의식을 발휘하게 하였다.

그럼 사회는 유능한 한명의 해결사가 필요한가, 아니면 평범하지만 긍정의 지지가 있는 공동체가 필요한가에 대한 간접적인 답을 얻을 수 있다고 생각한다. 성숙한 사회는 누구를 더 원할까?


개인은 혼자 있을 때 무기력하다. 또 혼자 있을 때는 자아를 확인하기에 어려움을 느낀다.

그러나 작용과 반작용, 긍정과 부정이 공존하는 공동체 공간속에서 반복되는 분노, 기쁨, 불안, 애착, 외로움, 즐거움, 감동 등을 수없이 경험하면서 타인으로부터 자신에 대한 존재감을 느끼게 된다. 그래서 개인이 존재감을 확인할 수 있는 조건으로는 어느 한 ⅰ) 지역을 기반으로 하고, 그 지역의 ⅱ) 공통의 문화를 학습(경험)하고, 전통을 이어가는 과정에서 형성된 그것들을 타인과 공유하고, 발전시키는 이른바 ⅲ) 관계 형성을 통하여 개인은 존재감을 확인할 수 있다.    다음호에 이어집니다.

IP *.114.22.75

덧글 입력박스
유동형 덧글모듈

VR Left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3049 *매일쓰기11, 지하철 승객을 위한 아이디어 [2] 인희 2010.07.25 2417
3048 딸기밭 사진편지 60 / 메멘토 모리 file [2] 지금 2010.07.25 2529
3047 매일쓰기10, 매일쓰기의 장점(7-4칼럼) 인희 2010.07.24 2862
3046 매일쓰기9 신뢰받는 사람되기 인희 2010.07.23 3154
3045 매일쓰기8 경쟁력(동기부여) 인희 2010.07.22 2346
3044 다시 책상에 앉으며 [7] 정야 2010.07.22 2358
3043 매일쓰기7, 자신감은 겸허에서... [1] 인희 2010.07.21 2628
3042 딸기밭 사진편지 59 / 마음에 들었습니다 file [3] 지금 2010.07.21 2693
3041 매일쓰기6, 자신감3: 겸허와 자만의 차이 [1] 인희 2010.07.20 2672
3040 딸기밭 사진편지 58 / 여름 file [2] 지금 2010.07.20 2280
3039 매일쓰기5, 자신감2 동기부여 [3] 인희 2010.07.19 2400
3038 [꿈지기의 겨드랑이] 4 에 이어서 - '공동체 의식' 이철민 2010.07.19 2484
» [꿈지기의 겨드랑이] 4 - '공동체 의식' 이철민 2010.07.19 2699
3036 매일쓰기4 자신감1(칼럼7-3) 인희 2010.07.18 2251
3035 딸기밭 사진편지 57 / 돌아가는 길 file 지금 2010.07.17 2353
3034 매일쓰기3 거짓말과 진실의 가치 윤인희 2010.07.17 2692
3033 마음 한장 file [1] 신재동 2010.07.17 2450
3032 딸기밭 사진편지 56 / 그래 file 지금 2010.07.17 2264
3031 매일쓰기2. 포지티브 마인드, 네거티브 마인드 [3] 윤인희 2010.07.16 3973
3030 서울, 초등학교에서 있었던 일. [2] [2] 맑은 김인건 2010.07.16 239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