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김경희
- 조회 수 8240
- 댓글 수 98
- 추천 수 0
절정
-이육사
매운 계절(季節)의 채쭉에 갈겨
마츰내 북방(北方)으로 휩쓸려오다.
하늘도 그만 지쳐 끝난 고원(高原)
서리빨 칼날진 그 우에 서다.
어데다 무릎을 꿇어야 하나
한 발 재겨 디딜 곳조차 없다.
이러매 눈 감아 생각해 볼밖에
겨울은 강철로 된 무지갠가 보다.
mbc광복절특집극 '절정' 영상
http://www.youtube.com/watch?v=RqDcBVxphK8
고등학교 문학시간에 배운 수 많은 시인들 중 이육사는 가장 기억에 남는 시인이었다. 서정적이고 부드러운 시를 쓰는 한국시인들 중에 이육사는 "의지"를 가지고 있는 시를 쓰는 이였다. 독립운동을 하면서 많은 고초를 겪은 그가 어떻게 그 시련을 견뎌냈는지 그의 시를 통해 느낄 수 있었다. 한동안 잊고 있는 이육사를 광복절 특집으로 방송한 드라마에서 만날 수 있었다. 모두가 조국의 미래를 없다며 일본인화 될때, 홀로 조국의 앞날을 그리며 시를 쓰던 이육사, 그를 보며 인간의 의지라는 것, 꿈이라는 것이 인간을 얼마나 강하게 하는 지 알 수 있었다.
흔히 '절정'은 가장 행복한 시간을 뜻한다. 가장 편하고 가장 즐거운 시간말이다. 그러나 그 절정 뒤에는 초라한 결말이 기다리는 일이 많다.
이육사의 절정은 '고난의 절정'이다. 고난이 극에 달해 마침내 그 고통을 초극하는 경지로 나타난다. 이 경지에 이른 인간은 정말 '강철'같이 단단한 삶을 살 수 있을 것이다.
내가 꿈을 찾아가는 길 또한 이육사의 시와 같을 것이다.
눈감아 생각해본다. 강철같이 강해진 나를...
----------------------------------------------------------------------------------------
새벽기상시간 : 4시 반
수련내용: 영어 & 경제학공부

결혼준비기간에는 참 많은 것을 산다
여자들은 이 기회에서 평소 갖고 싶던 가방이나 옷 등을 구입한다
평생 이런 때는 오지 않을 테니까
결혼하면 내 옷 한벌 못산다고 하니까
그 말을 듣고 나도 옷, 구두, 가방을 마련했다
그런데 전보다 많은 물건을 가지게 되어도 만족이 되지 않는다
오히려 더 갖지 못해 불만이다.
사람의 욕심이란 이런 것이다.
최근 한 드라마에서 도덕경의 말을 인용한 내용이 나온다
"만족을 아는 자만이 부를 얻을 수 있다"는 것이다.
돈이든, 시간이든, 재능이든 자신의 것에 만족하는 자만이 행복할 수 있다

토요미사에 관면혼배를 받았다
약식이지만 교회법상으로는 혼인예식이나 꼭 해야만 하는 일이다
준비를 하고 성당에 가자 사무장이 수녀님께 안내를 한다
역시나 이 수녀님, 혼배받는 사람들이라는 말에도 축하한다는 말 한마디, 웃음 한 자락이 없다
성직자들도 인간인 이상 성격에 문제가 있는 사람이 있을 수 있지만 특히나 이 사람은 도가 지나치다
처음에는 내가 잘못 한 일이 있나 하고 생각했지만 나만이 아니라 모든 사람에게 싸늘한 태도를 보인다
신자들에게 따뜻한 웃음 한조각 보이지 않는 사람이 하느님을 사랑한다고, 그 분 뜻대로 살고 싶다고 만번을 말한 듯 무슨 소용이 있나? 사랑이 없으면 아무것도 아니다.

현실로부터의 도피일까?
또 드라마에 열중하고 있다
지금 보는 드라마는 대만드라마 "악작극지문"
일본만화 장난스런키스를 원작으로 하는 드라마다
이 드라마에는 좋아하는 남자를 위해 바보같을 정도로 최선을 다하는 여주인공이 나온다
처음에는 이 여주인공이 한심해 보여서 좋아하지 않았는데, 지금은 생각이 바뀌었다
단순하게, 행동력 있게 자신이 원하는 것을 계산하지 않고 부딪쳐서 얻어내는 모습이 사랑스럽다
내 인생에서 나의 어리석은 지식으로 계산을 하면서 잃어버린 기회가 많지 않을까>?]
나는 정말 바보같은 정도로 우직하게 무언가를 원하고 노력한 적이 있나?

결혼이 눈 앞으로 다가왔다
결혼에 대한 설렘보다 부모님에 대한 걱정이 앞선다
자식이라곤 나 하나밖에 없는데 쓸쓸하게 지내실 두분이 많이 걱정된다
자식 옆에 살면서 자식 뒷바라지 하면서 사는 부모가 나을까?
자식과 떨어져 살면서 자유롭지만 외롭게 사는 부모가 나을까?
사람들은 당연하게 시부모나 친정부모가 결혼 후에도 뒷바라지를 해줘야 한다고 한다
맞벌이 하면서 살림하는 게 쉬운일이 아니라면서..
하지만 결혼까지 하고서도 부모에게 의지한다는 건 좋은 일은 아니다
육아 및 복지정책을 제대로 못하는 정부를 탓해야 하나?
현실은 마냥 버겁기만 하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