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본형 변화경영연구소

연구원

칼럼

연구원들이

2012년 3월 4일 21시 28분 등록

왜 일하는 것이 재미없는가

 

 

"임무는 즐거움이고 즐거움은 임무의 완성이다"

에이브러햄 매슬로

 

일은 반복되는 것이다

 

일상은 되풀이 됩니다. 변함없이 되풀이 되는 반복은 우리를 지치게 하고 일에서 재미를 느끼지 못하게 합니다. 반복은 아무리 새로운 것이라 하더라도 평범하게 느껴지도록 만드는 힘을 가지고 있습니다. 그리스 신화에 나오는 시지프스 왕은 신을 모욕한 벌로 하데스의 가파른 언덕 위로 돌을 밀고 올라갔다가 다시 굴러 내리게 하는 일을 끊임없이 반복하는 형벌을 받습니다. 무의미한 일의 반복이 그리스 판 지옥이 상상할 수 있는 가장 무서운 형벌이었던 것처럼 의미가 없는 일상의 반복은 사람들에게서 의욕을 꺾고 가슴 속에 숨겨진 열정을 사장(死藏)시키게 합니다.

 

직장에서 인사업무를 담당할 때 사내 직원들을 상대로 '왜 일하는 것이 재미없는가' 라는 주제로 워크숍을 한적이 있습니다. 몇 가지의 이유들로 사안이 압축되었고, 그 중에서 가장 큰 이유로 꼽힌 것은 업무의 반복이 주는 무료함이었습니다. 한마디로 매일 똑같은 일을 반복하는데 뭐가 그렇게 재미있느냐는 것이지요. 이것은 실제로 주기적으로 되풀이 되는 일의 반복성을 이야기하는 것이기도 하였지만, 성장하지 못하고 있다는 초조함의 표현이기도 하였습니다. 매일 반복되는 생활을 하고 어제나 오늘이나 성장하지 못한 채 정체돼 있다는 느낌에서 벗어나지 못하는 것이 일하는 것을 재미없게 만드는 아주 중요한 이유였던 것입니다.

 

여기에서 잠시 일의 반복성에 대해서 짚고 넘어갔으면 하는 부분이 있습니다. 일의 반복성은 사실 어느 한두 가지 업무만 그런 것이 아니라 모든 업무에 내재된 속성입니다. 사회적으로 선망의 대상이 되는 직업에서도 업무는 반복적으로 진행됩니다. 예컨대 판사는 반복적으로 소장을 읽고 판결문을 쓰고, 의사는 어제도 오늘도 비슷한 환자를 진료하고 처방하는 업무의 연속에 처해 있습니다. 교사는 작년에 가르쳤던 것을 올해도 비슷하게 가르치고 있습니다. 원래는 반복되지만 그 속에서 일의 가치를 발견하고 더 큰 무언가를 위해서 반복이 힘이 된다는 믿음을 갖도록 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반복은 모든 일에 내재된 공통의 속성입니다. 하지만 어떤 조직은 반복을 통해서 새로운 것을 창조하고 도약합니다. 반면에 어떤 조직의 구성원들은 반복이라는 시지프스의 짐을 내려놓지 못하고 고된 노무만을 이어갈 뿐입니다. 무엇이 이 둘 사이를 갈라놓는지를 살펴보는 것은 조직에서 일의 반복을 어떻게 풀어가야 할지 중요한 단서를 제공합니다.

 

 

미켈란젤로가 천장에 매달린 4

 

여기서 잠시 르네상스 시대의 천재적인 조각가이자 화가이며, 시인이기도 하였던 미켈란젤로 부오라로티의 이야기를 잠시 해볼까 합니다. 일의 반복이라는 주제와 천재적 예술가의 삶이 무관한듯 보입니다. 어떤 연유에서인지 예술가라고 하면 일상의 반복에서 벗어난 창조적 괴팍함이 머리에 먼저 떠오릅니다. 미켈란젤로는 흔히 <천지창조>라고 불리는 바티칸의 시스티나 성당의 천장화를 그리기 위하여 4년동안 천장에 매달려 있었습니다. 긴 시간 동안 고개를 뒤로 젖힌 채 천장에 매달려 물감을 칠해 나가는 고된 작업을 하였고, 이로 인해 건강이 많이 악화되기도 하였다는 이야기가 전해져 옵니다. 그가 <천지창조>를 그러던 중에 남긴 소네트 한 구절을 살펴보겠습니다.

 

턱 수염이 하늘을 향하니

목덜미에 달라붙는 뒤통수가 느껴지네

내 가슴은 괴물처럼

축 늘어졌고 얼굴 위로 쉴 새 없이

움직이는 붓에 뚝뚝 떨어진

물감 방울들이 내 얼굴을

영롱한 마룻바닥으로 만들어 버렸다네

조반니, 이 친구야, 어서 와서

죽은 내 그림과 명예를 구해주게

난 지금 좋지 않은 곳에 있어.

그리고 난 화가도 아니지 않은가?

 

천재적인 예술가도 친구에게 자신을 구해달라고 요청하고 있습니다. 그곳에서 벗어나고 싶어하는 애절한 어떤 바램이 매일 직장에 다니면서 작은 커피 전문점 하나라도 창업하여 반복에서 벗어나고 싶어하는 직장인들의 모습과 크게 다르지 않은 것 같습니다.

하지만 미켈란젤로는 소네트에 나타난 것처럼 흡사 괴물이 된 것과 같은 자세에 고통스러워 하면서도 멈추지 않았습니다. 멈추지 않은 것에 그치지 않고 인류사에 빛나는 위대한 작품을 남겼습니다. 그 힘이 무엇인지 한 가지를 꼽아보라면 무엇을 꼽으시겠습니까? 물론 어느 한 가지의 힘만으로 이룩한 것은 아니겠지만 4년 동안 거꾸로 매달려서 뚝뚝 떨어지는 물감들을 이겨낼 수 있는 힘은 어디에서 나온 것일까요? 저는 이 소네트의 마지막 구절에 주목해보고 합니다. 약간은 엄살처럼 느껴지는 마지막 구절 ".... 난 화가도 아니지 않은가?"라는 부분입니다.

 

그의 독백처럼 당시 미켈란젤로는 화가라기보다는 조각가였습니다. 그렇다면 왜 그런 중요한 작품을 화가가 아닌 미켈란젤로가 그리게 되었을까요? 여러 가지 설이 있지만 유력한 것 중의 하나가 '브라만테 음모설'입니다. 당시 라이벌 조각가였던 브라만테가 율리우스 2세 교황에게 벽화를 그릴 화가로 미켈란젤로를 추천하였다고 합니다. 후세 사람들은 브라만테가 미켈란젤로의 실패를 예상하고 추천한 것이라고 추정합니다. 미켈란젤로 역시 처음에는 불쾌하게 생각하여 거절하였고, 나는 화가가 아니라 조작가다라고 항변하면서 라파엘로에게 그리라고 하였으나, 우여곡절 끝에 결국 자신이 그리게 됩니다. 미켈란젤로 1508년에 천장으로 올라가기 전에 이미 성당의 중간부분은 피렌체 출신의 유명한 화가들 페루지노(라파엘로의 스승), 기를란다요(미켈란젤로의 스승), 라파엘로, 보티첼로 등이 이미 예술적 역량을 자랑하여 화려한 그림들을 그려놓은 다음이었습니다.

 

시스티나성당.jpg

[그림1. 시스티나 성당의 내부 모습]

 

 

어디서 무엇이 되어 다시 만나랴

 

기존의 명성 높은 천재화가들이 그려놓은 작품 사이에서 천장에 매달린 그는 무엇을 생각하였을까요?. 아마도 그 생각이 그를 4년 동안 천장에 매달게 하지 않았나 짐작해봅니다. 비록 당시에 인정받는 화가는 아니었지만 이 작품을 통해서 자신이 어느 누구보다도 훌륭한 화가로 도약할 수 있다는 믿음 때문이 아니었을까 생각해봅니다. 자신이 무언가가 될 수 있다는 믿음은 괴물과 같은 모습에 개의치 않고 긴 세월을 버티게 합니다. 그것은 성장에 대한 욕구입니다. 성장할 수 있다라고 믿는다면 기꺼이 천장으로 올라가 매달릴 수 있는 것이 바로 인간이라고 생각합니다.

 

일본의 노무라종합연구소가 최근 20~50대 직장인 1만 명을 대상으로 '일에 대한 인식'을 조사한 바 있습니다. 조사 결과 가장 중요한 5가지 이유는 '일에 대한 의미욕구', '성장욕구', '창조성 욕구', '인정욕구', '자기실현 욕구'의 순()으로 나타났습니다. 결론적으로 과거 경제성장 및 완전 고용의 시기에는 생리적 욕구, 안전 욕구, 소속 욕구와 같은 ‘결핍 욕구(deficiency needs)’가 강했지만, 최근에는 의미, 인정, 자기실현 등 ‘성장 욕구(growth needs)’가 더 강하게 나타나고 있음을 알 수 있습니다.

 

서두에서 일은 반복되는 특성을 가지고 있다라고 이야기 하였습니다. 하지만 반복은 두 가지 상반된 얼굴을 가지고 있습니다. 하나는 훈련이나 수련이 되는 것이고 하나는 그저 소모적인 반복입니다. 그 두 가지의 특성을 가르는 중요한 기준은 반복을 행함으로써 성장할 수 있느냐 그렇지 않느냐에 있습니다. 영업이라는 일, 회계라는 일, 인사라는 일을 하면서 5년 후에도 내가 발전하지 않고 정체되어 있을 것이라는 생각은 직장인을 초조하게 만들고 좌절하게 만듭니다. 그런 초조함과 좌절감을 가지고서는 반복되는 일을 견뎌 내기란 쉽지 않습니다. 그래서 직장인들은 혹시나 하는 마음으로 담 너머 세상을 향해서 항상 까치발을 하고 곁눈질을 하는 것입니다. 이는 직장에서 일에 대한 몰입을 방해하고 열정이라는 심장을 두 박자 느린 박자에서 숨쉬게 하는 중요한 요인 중 하나 입니다.

오늘도 직장인들은 미켈란젤로처럼 직장의 천장에 매달려 있습니다. 무엇인가를 열심히 그리고 있습니다. 얼굴에 회반죽이 떨어지고 목은 꺾이고 등골은 휩니다. 여기에서 중요한 것은 무엇을 생각하고, 왜 매달려 있느냐입니다. 드러나는 모습은 중요하지 않습니다. 그림을 그리는 그들의 심장이 네 박자로 뛰는지 두 박자로 뛰는지가 중요합니다. 그들은 무엇이 되기를 바라고 있습니다. 구성원들의 성장 욕구(growth Needs)를 어떻게 충족시킬 것인가라는 문제는 열정의 불쏘시개가 되기에 부족함이 없습니다. 시지프스의 형벌과도 같은 반복이라는 쳇바퀴에서 '열정'이라는 보석을 캐내기 위해서는 구성원들의 성장 욕구에 대답하여야 합니다.

 

 

성장 욕구(Growth Needs)를 충족시키자

 

<다음 칼럼에서 계속>

 

IP *.35.244.10

프로필 이미지
2012.03.05 14:02:21 *.32.193.170

훈 도사님.

일 하는 것이 재미없어요. 그래서 미칠 것 같아요. 매일 반복되는 삶.

편안함을 찾아 이 자리에 왔는데, 그냥 편하기만 하면 될줄 알았는데.

그게 아니라서 힘드네요.ㅜㅜ..

 

성장 욕구를 충족시킬 수 있는 곳을 좇아 가야할까요??

이번주에 제 인생에 또 다른 변화의 결정을 내려야할 것 같거든요.  

 

다음 칼럼, 기다려집니다~!!!

 

프로필 이미지
2012.03.06 13:51:22 *.163.164.179
미나야 파우스트를 읽었잖니?

"인간은 노력하는 한 방황하는 법이니까.."

삶의 어느 대목에서 구원이 이루어질지는 모르나..

걸어가는 수밖에..그렇지 않겠니.

지난 1년간 쌓은 내공의 힘을 믿어보아라.

나는 그러기로 했다. 지난 1년간 쌓은 공력은 헛것이 아니라고 믿는다.

 

그래도 미나야 거취를 결정하고 나오너라.

아무리 아니꼽더라도 대책없이 나오는 것은 또 다른 고통의 얼굴을 만나는 연속일 뿐.

쬐금 참고, 다른 일자리를 구하고, 그리고 나서 한방 날려~~~ "나 간다" 하고 ---

프로필 이미지
2012.03.05 15:23:31 *.246.77.82

의사, 변호사도 반복이다. 순간 뎅~ 하는 느낌인데.

반복이 아닌 일이 없어. 생각해보니까 그런거야.

그런데 누군가는 매일 새롭고 누군가는 매일 그날이 그날이지.

오빠 칼럼이 따뜻하고 오빠의 냄새가 나. 킁킁킁

정말 철학하는 인사쟁이의 글이다.

쉬고 오면 좋아지는 거얌????? ㅋㅋㅋ

 

프로필 이미지
2012.03.06 13:52:43 *.163.164.179

루미야! 토끼같던 루미야!

앞니가 빠졌으니 토끼의 상징을 잃은것이네...

그래도 목소리는 잃지 않기를

너의 변화의 모습을, 발전의 모습을...계속 이어갈 수 있기를

 

나도 노력할께, 변화하도록 노력해야지!!

프로필 이미지
2012.03.05 16:14:42 *.143.156.74

오라버니, 웰컴 백!!!

글을 보니 마음이 놓인다.

역시 휴식이 필요해.

낫을 갈고 온 농부가 더 많은 벼를 벨 수 있지.

 

결과가 어떻든 우리 함께 가봐요.

가는 과정에서도 많은 걸 배우고 얻을 수 있을거예요.

오라버니 화이팅!!!

프로필 이미지
2012.03.06 13:55:09 *.163.164.179

ㅎㅎㅎ, 재경이는 고민인형같아

내가 짐 지어야 할 고민을 재경이에게도 준것같아서 미안했던 지난 주.

웨버에게 주어진 일정의 짐

웨버에게 주어진 마음의 짐

그것을 기꺼이 같이 지겠다고 작년 4월에 다짐했는데

벌써 1년이 지나고 도리어 내가 지난 주에는 짐이 되었네...

 

함께 하는 동기들이 있기에 다시 갈 수 있는 것 같아

아마, 같이 하는 힘들이 없었다면 우리는 1년을 걸어오지 못했을테고

나는 지난 주의 힘든 미로를 헤쳐나오지 못했을 것 같아

 

고마워, 재경, 그리고 땡7이들

프로필 이미지
2012.03.05 19:03:35 *.125.59.29

역시 몸을 움직이니, 마음도 부드러워지신듯.

흔들려도 갈 길을 가는 형의 모습이 보입니다.

 

미켈란젤로의 '난 화가도 아니지 않은가?'라는 말에서

이어지는 생각들이 새롭고 와닿습니다.

다음 칼럼도 기대할께요~~

프로필 이미지
2012.03.06 13:56:43 *.163.164.179

나는 작가도 아니지 않은가?

 

그래도 매달려야 했어, 4년 동안 매달리면 좋은 글쟁이도 될 수 있을거라 생각했어.

지난 1년을 매달렸으니 이제 3년만 매달리면 멋진 인생의 그림을 그릴 수 있지 않을까.

 

공부를 좀더 열심히 해야겠어.

더 많이 쓰고, 더 많이 읽고

한 걸 음 씩.

프로필 이미지
2012.03.05 21:11:04 *.112.99.58

오빠의 쉼이 느껴지는 글이다.

지난주는 내가 얼마나 반복을 견디기 힘들어 하는지 여실히 느끼는 며칠이었는데...

성장의 욕구는 스스로 만들어야 하는 거.겠.죠?

프로필 이미지
2012.03.06 13:59:15 *.163.164.179

답을 알고 있는 미선.

그렇지 외부에서 만들어주는 한계가 있지 않을까.

우리의 마음에서 반복을 수련과 훈련으로 받아들일 때

시간은 우리에게 무엇인가의 보답을 주는 것 같아

 

걸어가는 수 밖에. 만들고 부서뜨리더라도 계속 걸어가는 수 밖에.

화이팅

덧글 입력박스
유동형 덧글모듈

VR Left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2872 이빨 빠진 괴물 [8] 루미 2012.03.05 3040
2871 43. 삶은 진지해야만 할까? file [8] 미선 2012.03.05 2287
» [늑대42] 왜 일하는 것이 재미없는가 file [10] 철학하는 인사쟁이 2012.03.04 3081
2869 나비 No.43 우리에게 필요한 건 오직 감탄뿐! file [5] 재키 제동 2012.03.04 2415
2868 #21. 신치의 모의비행- 옷주는 착한 친구들 외 [6] 미나 2012.03.04 2413
2867 성공 키워드 아줌마를 보라 - 21. 담밖에 장미보다 내 집안의 채송화를 가꾸어할 시대 [2] 書元 2012.03.04 2448
2866 [Sasha] 달밥그릇 file [6] 사샤 2012.02.27 2350
2865 나와 다른 친구와 묻지마 파티 [4] 루미 2012.02.27 5210
2864 [태어나서 7년] 1부_네가 무엇이 되든지 외 file [8] 양갱 2012.02.27 2372
2863 #20. 신치의 모의비행- 신치, 비서되다 외 [8] 미나 2012.02.27 2604
2862 인정한다고 세상이 뒤집어지지 않는다. file [6] 미선 2012.02.27 2119
2861 나비 No.42 - 여자는 왜 쉬지 못하는가? [8] 재키 제동 2012.02.26 2373
2860 단상(斷想) 91 - 뒤를 돌아다본다는 것 file 書元 2012.02.26 2359
2859 [태어나서 7년] 서문(수정)_너 참 아름답구나! [8] 양갱 2012.02.23 2366
2858 단지 생각만으로도 file [4] 미선 2012.02.23 2138
2857 [Sasha] 콘트라베이스 연주하기 [10] 사샤 2012.02.22 2533
2856 [늑대 42] 열정의 불시착 [4] 철학하는 인사쟁이 2012.02.22 2194
2855 사랑하는 그대들에게 [10] 루미 2012.02.22 2235
2854 [멈춰라 순간이여!] 서문_ 태어나서 7년 / 목차 [4] 양갱 2012.02.22 2327
2853 나비 No.41 - 삶의 속도를 늦추어 보라 file [8] 재키 제동 2012.02.21 244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