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본형 변화경영연구소

연구원

칼럼

연구원들이

  • 장재용
  • 조회 수 2304
  • 댓글 수 6
  • 추천 수 0
2012년 4월 23일 11시 31분 등록

고통에 대처하는 자세

 

아이가 아프니 영원이고 원형이고 영웅이고 우주고 대지고 지랄이고 없더라. 한 순간 사유의 차원은 낭떠러지로 떨어지고 천박한 분노가 일어 신을 이야기하던 입으로 아내에게 화를 내었다. ‘전화를 왜 안받니?’ 단지 아이가 아파 병원에 입원한 그 사태 하나로 신이 사라졌고, 아내가 전화를 받지 않는다는 사태로 인해 신은 엎어졌다.

 

태어나자 마자 80 Traffic Jam을 뚫고 죽음을 맞이하는 사람만이 들어선다는 중환자실로 직행했던 이 아이는 제 자신이 한 번 큰일을 겪어서 그런지 마치 제 아비를 생각하는 듯 그리도 무던했다. 어린 것이 벌써 육신의 고통에 익숙한 것이, 그것이 더 가슴을 후벼 판다. 태어난 지 5개월, 다시 그 조막손에 바늘 구멍이 뚫리어진다. 신은 없었고 나는 읽고 있던 책을 집어 던질 뻔 했다. 우주적 순환의 고리는 제 핏줄이 당하는 육신의 고통 앞에서 무참했다. 껍데기의 본능만이 남아 나를 이러저리 요리한다.

 

그런데, 아이러니다. 신화를 읽고 영웅을 읽고 존재 가치의 궁극과 그 존재 너머의 세계를 동경하던 차에 제 새끼의 고통이라니. 무슨 이런 절묘한 타이밍이 있는가. 어줍잖은 말을 지껄여대는 나에게 신이 보내는 경고인가. 그래서 나를 보기 좋게 한번 엿 먹이려는 것인가. 이것은 시험이었다.

 

하루 종일 울며 보채는 아픈 딸 자식과 씨름하다 지쳐 누운 아내를 본다. 여전히 흥건한 땀이 그 수고를 말해주고 목덜미에 찰싹 붙은 머리카락은 처연하다. 나는 묻고 싶었다. 이 또한 예정된 일이었나? 이 사태 또한 당신이 하는 일인가? 우리가 사는 삶은 결국 모래에서 기름을 짜려고 평생을 그렇게 쥐어짜는 부질없는 일이었나?

캠벨이 인도 구루에게 물었던 물음은 나와 같은 것이었다. ‘세계에 아니라고 하면 안 되는 것인가.’ 이 모든 고통과 기쁨들은 죽은 대통령이 말하는 운명이라는 잗다랗고 세속적 단어 앞에서 모두 압도 되어야 하는가 말이다.

 

소중한 것을 내어주는 연습으로 자식의 목숨과 제 육신의 뼈아픈 고통을 감내하는 신들의 이야기가 있다. 그것이 가능했는지는 모를 일이다만 대각성의 정각에 이르기 전까지 그 누가 이것 또한 운명이다라고 짐짓 초탈한 척 너스레를 떨 수 있는가. 이는 죽음을 두려워하는 유일한 개체인 인간에게 던져진 마지막 숙제다.

 

캠벨은 또 묻는다.

인간의 눈으로 보면 이러한 세계는 변화와 죽음으로 보이고 신들의 눈으로 보면 불변하는 형상, 곧 끝없는 세계일 뿐이다. 그러나 문제는 직접적인 지상의 고통과 기쁨을 무릅쓰고 어떻게 이 같은 우주적 관점이 유지되겠냐는 것이다.’

 

비유가 적절한지는 알 수 없다. 이후 캠벨은 영웅적 관점에서 지상의 고통과 기쁨으로부터 우주적 관점을 유지하기 위한 절연수단을 이야기하고 있다. 그러나, 나는 지극히 범사 중에 하나인 질병의 고통으로 인해 신이 있니 없니하는 불경을 저질렀으니 팔, 다리가 잘려 나가고 머리가 터진 판테오스가 받은 저주를 받아도 싸다. 나는 이미 영웅은 아니겠다. 그네들의 집중된 전력(電力)’과 나와의 애써 수고스런 구분이 게토와 같이 필요한 범부일 뿐이다. 그저 비교적 낮은 전력장을 구성하는 작은 암페어에 불과할 뿐이다.

 

그러나, 그러나 우리 다시 생각하자. 우리가 왜 스스로 영웅이 될 수 없는가. 우리 각자는 모두 하나에서 출발한 영웅들의 변신된 모습이라 하지 않았나. 우리는 이미 존재 자체로 무량아승지겁(無量俄陞之怯)을 건너온 영웅들이다. 아난다 쿠마라스와미는 나에게 생경한 사람이지만 그의 이야기는 깊은 교감을 준다.

 

존재를 그만 두지 않고는 어떤 생명체든 보다 높은 차원의 존재를 획득할 수 없다.’

 

손이 무릎으로 가게 만드는 이 말은 결국, 현존하는 모든 생이 그 자체로 가장 멋진 삶들이라는 말이겠다. 맞는가.

존재를 그만두는 행위, 즉 시간의 자장(磁場)속에 있는 것 자체로 더 높은 차원으로의 진보를 위한 영웅의 모습이 아니겠는가. 그 자장 안에서 겪는 어떤 형태의 고통이든 그것은 제 자신을 더 큰 우주로 한 발짝 들어서게 해 줄 것이라 믿는다.

 

아픈 자식을 앞에 놓고 아둔하고 무능한 아비가 늘어놓는 얼척없는 비약은 결국 제 마음만 위무하고 만다. 그러나, 그리라도 하지 않으면 비싼 병원비 시원하게 낼 수 없다. 병원 수납처, 줄줄이 세워진 의자에 앉아 빨갛게 깜빡거리는 순서 번호판을 보며 겁먹은 얼굴로 혼자 중얼댄다.

 

얼마나 더 큰 영웅이 되려 이리도 아픈 것이냐.’

IP *.51.145.193

프로필 이미지
2012.04.23 12:51:16 *.51.145.193

배려 없는 졸필로 많은 분들에게 걱정과 심려를 끼쳐 드리는것 같습니다. 

아기는 지난 주 퇴원했고 지금은 컨디션 좋습니다.^^

프로필 이미지
2012.04.23 12:52:36 *.36.72.193

아, 아!

오빠의 글이란..

오빠의 삶과 읽고 있는 책의 만남,

그리고 오빠가 가지고 있는 생각의 흐름이

절묘하게 맞아 떨어져 읽는 내내 감탄을 연발,

다시 내 글은 읽고 싶지 않은 공황상태까지 빠져버리게 됐다는...

 

다행이어요. 퇴원하고 이제 괜찮다니..

그래도 많이 지쳤을텐데 가족 모두 몸보신이라도.. ^^

프로필 이미지
2012.04.24 14:01:33 *.51.145.193

최쌤^^, 지난 주 수고많으셨지요. 고생하셨습니다.

덕분에 봄 햇살로 몸보신 양껏 했어요~~^^ 감사합니다.

오늘 볼 수 있었으면 참 좋았을 것을...

프로필 이미지
2012.04.23 20:23:01 *.154.116.89

재용, 너의 글은 참으로 감탄하지 않을 수 없다.

아이가 아프다기에 걱정이 앞서는 마음을, 이리도 시원하게 만드는 이유가 무엇일까?

너의 글에 탁월하다는 결정을 내리는 순간, 다시 고개 숙이며 엎드리는 겸손의 문장들.

내가 너와 동기라는 것이 자랑스럽다.  

 

프로필 이미지
2012.04.24 14:03:48 *.51.145.193

저는 마라톤을 완주해 본 적이 없어요.^^

전국을 돌아다니시느라 고생이 많으신 것 같습니다.

항상 운전 조심하시구요. 끼니 거르지 마십시오.^^

프로필 이미지
2012.04.27 04:30:20 *.154.223.199

퇴원했고 회복중이라니 다행입니다. 저 5개월 아기가 이담에 이 글을 읽게 된다면 아빠가 저를 사랑하는 마음을 잘 알 것 같습니다. 읽는 저가 뭉클했습니다.   

덧글 입력박스
유동형 덧글모듈

VR Left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2952 조선소(造船所) 연가 (May Day에 부쳐) [6] 장재용 2012.04.30 2215
2951 쌀과자 #4 _100세 [5] [1] 서연 2012.04.30 2507
2950 레이디 가가 : 그녀의 무의식과 신화의 원형을 찾아서 file [7] [1] 샐리올리브 2012.04.30 2538
2949 내 나이 40, 나는 왜 그토록 영웅을 꿈꾸었는가? [6] 학이시습 2012.04.30 2778
2948 아리아드네가 과수원집 2세대라면? [7] 권윤정 2012.04.30 2878
2947 이류 인생도 나쁘지는 않아! 그렇지만 [9] id: 문윤정 2012.04.30 2531
2946 #4. 차라리, 내가 터지고 찢어질 것을 [9] 한젤리타 2012.04.30 2795
2945 단상(斷想) 98 - 벚꽃 엔딩 file [1] 書元 2012.04.29 2507
2944 #27. 신치의 모의비행-편지를 쓰다 외 [12] 미나 2012.04.24 2173
2943 패러다임의 죄수들 [11] 열정조직연구가 2012.04.24 2380
2942 [일곱살 민호] 아비를 넘어라, 아비를 죽여라 file [11] [1] 양갱 2012.04.24 2318
2941 걱정 하나 - 건강한 걱정을 자기 신뢰로 바꾸는 법 [14] 루미 2012.04.24 2448
2940 [재키제동이 만난 쉼즐녀1] - 제일기획 최인아 부사장 file [22] 재키 제동 2012.04.23 10205
2939 나의 작가론 4 [10] 부지깽이 2012.04.23 2340
2938 회사의 직원들은 어떤 영웅을 만나고 싶어할까? [8] 학이시습 2012.04.23 2295
2937 과수원집 2세대의 할 일 [14] 권윤정 2012.04.23 2951
2936 쌀 과자 #3_격자格子와 그물網 [4] [1] 서연 2012.04.23 2570
» 고통에 대처하는 자세 [6] 장재용 2012.04.23 2304
2934 #3. 영웅이 되고 싶지 않은가? [5] 세린 2012.04.23 2377
2933 #3 당신에게 내재된 영웅을 깨우세요! [5] 터닝포인트 2012.04.23 22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