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본형 변화경영연구소

연구원

칼럼

연구원들이

2012년 4월 30일 09시 12분 등록

내 나이 40, 나는 왜 그토록 영웅을 꿈꾸었는가?

 

학교를 졸업하고 어느 직장을 가야 할까?

누구나 던져보는 질문이지만, 삶의 방향이 결정되는 중요한 선택이라는 점에서 더 말할 나위가

없는 것 같다.

 

청년 실업도 문제이지만, 베이비 붐 세대들의 퇴직도 이미 일어난 미래가 되어버렸다.

요즘 회사에서 신입 직원들을 뽑아보면, 참으로 안 쓰러운 일들을 보게된다. 황금 같은 시기에

취업에 대한 부담, 직장의 선택, 미래의 불확실성들으로 고민에 휩싸인 채 힘들게 살아간다.

이른바 스팩 쌓기에 전력투구해 보지만 미래에 대한 불안감은 좀처럼 해소되지 않는다.

 

면접을 하다보면 스팩이 너무 좋은데도, 떨어지는 경우를 많이 봤다.

뽑는 기업에서는 쓸만한 인재가 없다며 해외까지 나가 인재확보를 위한 전쟁을 벌리고 있는

실정이다. 뭔가 코드가 맞지 않은 일들이 일어나고 있는 것이다.

 

베이붐 세대도 약 300만명 규모의 인력이 정들었던 직장으로부터 쏟아져 나오고 있다.

요즘 생계형 창업이 말도 못할 정도로 성황을 이루고 있으나, 성공한 사례는 그리 많지

않다고 한다. 이모작을 위한 미래 준비는 좀 더 계획적이고, 체계적으로 현업에 있을 때

업무에서 그 해답을 찾는 필살기를 갖추는 것이 중요해 보인다.

 

나는 대학원을 졸업하고 IT 와 경영을 같이 접목하는 컨설턴트가 되고 싶었다.

처음 인연을 맺게된 회사도 IT를 기반으로 경영 컨설팅을 하는 회사여서 꿈에 부푼 신입사원

시절을 보낼 거라는 기대와는 다르게 매우 힘든 나날을 보내게 되었다.

 

프로젝트에 투입되고 나면, 매일 계속 되는 야근 과 오픈 날이 가까워지면 주말도 없이 프로그램

테스트에 올인 하다시피 일에 매달려 살아야 한다. 프로젝트 범위는 항상 처음 보다 늘어나

시간이 갈수록 초치기에 몰리고, 몸으로 때우는 일을 밥 먹듯이 하다 보니 건강도 챙기지 못 할 때가 많았다.

 

설사 몸으로 때우고, 매일 야근하고, 주말에 나와서 일을 한다 치더라도 컨설턴트가 사람 대접

받고 일 하는 것은 아니다. 주니어 때는 참기 어려운 수모 와 인격적 모멸감을 견디어야 하는데

이런 일을 넘어서지 못하면 본인이 스스로 한계에 와 있는 것을 알고 회사를 떠나는 경우를 많이 지켜 봤다.

우리는 자주 듣는 이야기가 있다. 고생스러운 프로젝트 일수록 고생하는 컨설턴트들은 이렇게 말한다.

우리가 왜 이런 고생을 하고 있지?  그것은....

"헐값에 수주한 저가 프로젝트 가 문제야...아무것도 모르는 영업 때문이야"....라고 책임을 전가하지만,

영업은 Value Selling 을 못한 이유로 Presentation를 압도적으로 리딩 할 영웅적인 인물이 없어서 불가피한 경우라고 맞선다.

 

컨설턴트의 꽃은 Project Manager 이다. 물론 개인적인 성향이 맞는 경우이면 다행이지만

그렇지 못한 경우에는 스스로 자신의 역할을 받아드리지 못하고 다른 역할을 할 수 밖에 없다.

컨설턴트로 삶을 살아가는 우리 안 에는 영웅적인 일들이 등장한다.

 

첫째, 그는 자기일 을 통해 세상을 바꾸고 싶은 소명을 지닌 사람이다.

IT가 주는 이로움을 믿고, 그 일을 함께 만들어 간다. 함께 동참하는 동료들에게 기회를

만들어 주고 그들의 성장을 돕고져 한다.

 

둘째, 탁월한 Presentation 능력을 갖추고 있어서 우리가 하는 일을 어떤 방식으로

Selling하는지, ‘ Value ’를 어떻게 찾아내는지를 알고 있는 사람이다.

IT 기술은 점점 더 Commodity 화 되어가는 것 처럼 일반인들은 인식하지만, 그 일을

처리 하는 사람들은 매우 힘든 작업을 하고 있다. 그러나 그 Value를 적절하게 드러내는

역량이 부족 하다 보니 상호 만족도가 매우 낮은 상황이다.

 

셋째, 프로젝트를 조직화 하고 고객과 동료들과 효과적으로 Communication 하는 능력을 갖추고

   있어서 업무적 협조를 잘 이끌어 내는 사람이다.

   소통은 어디에서나 중요한 사안이지만, 어디에서나 문제의 원인이 되고 있다. 프로젝트를

함께 해 나가는 멤버들은 매우 기술적인 스킬을 갖고 있는 사람들이기 때문에 이슈를 논의

할때도 기술적인 사항 위주로 논의 하다보면 기술 외적인 사항, 즉 조직간의 상충된 이견,

내부 관리 체계가 다르기 때문에 발생하는 인식 차이 등등은 파악 되지 못한 상태로 단계를

마무리 할려는 성향이 있다.

 

넷째, 프로젝트 관리 능력을 갖추고, 주어진 자원을 효과적으로 배분하고 활용 할 줄 안다.

또한 업무간의 조율 능력과 강력한 리더쉽을 기반으로 프로젝트을 박진감 있게 끌고 나간다.

프로젝트는 여러 이해 관계자들로 구성되어 있고, 대형 프로젝트 일수록 자신의 역할등이

불 분명하여 묻어다니는 사람들이 곳곳에 묻혀있다. 이런 인력을 찾아내어 제 역할을 하도록

도와줘야 한다.

 

다섯째, 선행 관리 능력이 프로젝트를 이끄는 힘의 원천이라는 안목을 지닌 사람이다.

  프로젝트을 끝낼 때 어떤 이미지로 끝을 낼 수 있는지를 미리 이미지화 하고, 이를 Management 할 수 있어야 한다.

  모든 타스크는 최종적인 이미지의 완성도를 높여주기 위해 필요한 요소 들이다.

  그러므로 최종 Output-image가 불분명하면 불 필요한 타스크들에 많은 자원과 시간을 허비하게 된다.

  그는 컨설턴트들을 하드-워킹하게 만드는 주된 요인이면서, 프로젝트 손익을 악화 시키는 원인이 된다.

 

  여섯째, 시련을 만날 때 계속하는 힘을 발휘하며, 남다른 모험을 즐기는 사람이다.

  프로젝트는 시작이 반 이지만, 나머지 반은 지루하고 힘이 드는 여정 이기도 하다.

  초반은 전체 구도를 잘 잡아야 하지만, 중반을 넘어가면서 내용을 질과 완성도가 매우 중요한데

  이를 일관된 시각으로 계속 밀고 나갈 수 있는 힘이 없으면 용두사미로 끝나고 만다.

  많은 IT 프로젝트가 시작은 화려했더라도, 과정상 적지 않은 시련을 만나게 되는데, 이 때 좌충우돌하는 일이 벌어진다.

초심을 들추어내면서 일관된 자세를 견지할 수 있도록 주위를 설득하고  끝까지 갈 수 있는 확신를 보여 줘야 한다.

  그래야 기대하는 Output-image에 도달 할 수 있다.

 

 

 일곱째, 고객에게는 성공적인 프로젝트로 보답하고, 회사로 귀환한다

    그는 리더쉽이 입증되고, 좋은 결과를 만들어낸 사실에 만족하지 않고 홍익 정신을 실천한다.

    자료를 정리하면서 배울 점 을 뽑아내어, 다름 동료들과 공유한다. 다른 프로젝트에서도 활용

      할 수 있도록 자산으로 남게 해준다. 이는 회사가 시켜서 하기 보다는 자신의 소명에 충실해서 하는 일 이기에 주변을 더욱 놀라게 만들어 준다.

 

여덟째, 전문가 식견을 갖고 사업을 일구는 사업 책임자로 변화를 추구 한다.

   이 대목에서 많은 사람이 좌절을 겪고, 또 다른 시련을 맞이 한다.

   회사는 모든 권한이 사업을 진두 지휘하는 사업부장이나 사업 본부장에 집중 되어 있다.

   대부분의 경우에 조직의 권한을 갖고 계신분은 현장에서 영웅적인 역할을 한 사람은 거의

없다. 이것이 IT 조직의 아픔이기도 하지만, 전문가에서 사업 책임자로 넘어가는 심연이 너무

깊어 쉽게 도달 할 수 없는 이유에서 비롯된다. 이때 어떤 조력자의 도움에 힘입어 다른 사람

으로 거듭나는 체험을 하게된다.

 

개인적으로 큰 변화를 겪게 된다.

현장과 사업를 통합해 내고, 조직의 많은 모순을 풀어낼 진정한 영웅적인 모습을 지니게 된다.

이 변화를 거부하면, 그는 현장 인생으로 회사 생활을 마무리 하게 되며 경영자의 대열에

끼지 못하게 된다. 나이가 경쟁력이 되지 못하고 나이 때문에 조직에서 밀려나게 된다.

 

아홉째, 사업을 책임지는 자가 조직 전체를 책임지는 최고 경영자가 된다.

 사업은 자신이 줄 수 있는 가치를 지니고 있을 때, 비로소 물 줄기가 열리는 것이다.

 사업적 가치를 만들고, 의미 있는 리더로 남아있는 사람이 조직 전체 비젼을 줄 수 있게 된다.

 

열번째, 영웅에게도 죽음이 온다.

살아있는 조직은 물이 흘려가듯 흐르는 물이 되어야 한다. 고이는 물이  썩는 것 처럼 흐르는

물이 되어야 한다. 우리의 영웅적인 PM도 흐르는 물 위에 자신을 올려 놓고 물의 흐름과 동화

되어 자신을 감추게 된다.

 

영웅이 치루는 신화적 모험의 표준 궤도는 통과 제의에 나타난 양식, <분리>, <입문>, <회귀>

의 확대판이다.

영웅의 모험은 세계로부터의 분리, 힘의 원천에 대한 통찰, 그리고 황홀한 귀향의 패턴으로

이루어진다.

 

나는 내 나이 40대에 이런  영웅적인 신화를 만들고 보고 싶었다.

오늘날에도 각 분야에서 영웅을 꿈꾸는 작은 거인들이들에 대한 깊은 통찰을 신화의 모험에서

찾아 삶을 조명해 보았다.

IP *.229.239.39

프로필 이미지
2012.04.30 14:16:57 *.114.49.161

학이시습 웨버님은 40대에 저런 목표를 세우고 10년 이상을 보내신 거로군요. 

그걸 달성하신 거구요. ^^

 

프로필 이미지
2012.04.30 16:10:21 *.51.145.193

꿈벗 프로그램을 갔다 오시고 올리신 10대 풍광을 보았습니다.

위의 열가지가 더해지면 2020년 '가장 근무하고 싶은 회사 1위의 CEO'는

신이 만들어 주실 겁니다.^^

프로필 이미지
2012.04.30 22:05:44 *.68.172.4

글이 모세의 십계 같이 굵은 글씨 그대로 팍팍 와닫습니다. 왜 글이 이렇게 미사여구 없이 명징하게 쓰여져야 하는지 이유를 알 것 같네요. 웨버님을 더욱 제대로 알게 된 것 같아 기쁩니다.

프로필 이미지
2012.05.01 06:17:45 *.47.75.74

내 나이 40, 저에게 하시는 말씀 같습니다.

그래서 한 구절 한 구절이 제 가슴에 와 닿습니다.

그리고, 제 소명이 무엇인지도 떠오르게 합니다.

제 영웅 신화를 만들어 가야겠다는 욕심이 생깁니다.

감사합니다.

프로필 이미지
2012.05.01 10:41:05 *.36.72.193

이거 공짜로 읽어도 되나? ^^

명강사의 강의안을 몰래 보고는

그날 강의의 핵심을 미리 파악한 수강자가 된 기분입니다.

 

쌓여가는 스팩보다 매력적인 '무언가'

그것을 위해 오늘도 '그리스의 비극'을 읽습니다. ^.^

프로필 이미지
2012.05.01 21:47:19 *.39.134.221

영웅에게도 죽음이 온다. 흐르는 물이 되어야 한다.

남들은 우향우하고 걸어가고 있는데 저는 요즘 좌향좌를 선택했습니다.

그길이 흐르는 물에 합류하는 길이라 생각했기 때문인데...

좀 불안하기는 합니다. 대형바위에 부딪혀 그 바위를 휘감아 돌아 잘 내려갈지

바위에 부딪혀 산산히 부서지는 포말이 되어 무지개로 승화할지...알수없는 노릇입니다.

덧글 입력박스
유동형 덧글모듈

VR Left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2952 조선소(造船所) 연가 (May Day에 부쳐) [6] 장재용 2012.04.30 2215
2951 쌀과자 #4 _100세 [5] [1] 서연 2012.04.30 2507
2950 레이디 가가 : 그녀의 무의식과 신화의 원형을 찾아서 file [7] [1] 샐리올리브 2012.04.30 2538
» 내 나이 40, 나는 왜 그토록 영웅을 꿈꾸었는가? [6] 학이시습 2012.04.30 2777
2948 아리아드네가 과수원집 2세대라면? [7] 권윤정 2012.04.30 2878
2947 이류 인생도 나쁘지는 않아! 그렇지만 [9] id: 문윤정 2012.04.30 2531
2946 #4. 차라리, 내가 터지고 찢어질 것을 [9] 한젤리타 2012.04.30 2795
2945 단상(斷想) 98 - 벚꽃 엔딩 file [1] 書元 2012.04.29 2507
2944 #27. 신치의 모의비행-편지를 쓰다 외 [12] 미나 2012.04.24 2173
2943 패러다임의 죄수들 [11] 열정조직연구가 2012.04.24 2379
2942 [일곱살 민호] 아비를 넘어라, 아비를 죽여라 file [11] [1] 양갱 2012.04.24 2318
2941 걱정 하나 - 건강한 걱정을 자기 신뢰로 바꾸는 법 [14] 루미 2012.04.24 2447
2940 [재키제동이 만난 쉼즐녀1] - 제일기획 최인아 부사장 file [22] 재키 제동 2012.04.23 10204
2939 나의 작가론 4 [10] 부지깽이 2012.04.23 2339
2938 회사의 직원들은 어떤 영웅을 만나고 싶어할까? [8] 학이시습 2012.04.23 2295
2937 과수원집 2세대의 할 일 [14] 권윤정 2012.04.23 2951
2936 쌀 과자 #3_격자格子와 그물網 [4] [1] 서연 2012.04.23 2570
2935 고통에 대처하는 자세 [6] 장재용 2012.04.23 2304
2934 #3. 영웅이 되고 싶지 않은가? [5] 세린 2012.04.23 2376
2933 #3 당신에게 내재된 영웅을 깨우세요! [5] 터닝포인트 2012.04.23 22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