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변화경영연구소-홍승완
- 조회 수 8370
- 댓글 수 1
- 추천 수 0
오늘은 시처럼 말하고 싶어요.
『존 키(John Keating)팅: “오 선장님, 나의 선장님이여(Oh Captain, my captain)” 이게 누구 시에 나오는지 아는 사람? 아무도 없나? 전혀 모르겠나? 이것은 에이브라함 링컨(Abraham Lincoln)을 찬양한 월트 휘트먼(Walt Whitman)의 시다.
자, 이 수업에서는 나를 키팅 선생님이라고 불러도 좋고, 아니면 대담하게 “오 선장님, 나의 선장님” 이라고 불러도 좋다.』
- 영화 ‘죽은 시인의 사회’
키팅은 월트 휘트먼의 시 속의 주인공이 되겠다고 한다.
자신을 시의 주인공으로 불러 달란다.
누가 말리겠는가.
시처럼 살아보자.
시 같은 하루를 만들어보자.
일주일에 하루는 그렇게 만들어보자.
하루의 어느 순간은 그렇게 살아보자.
누구도 모르고
누구도 말리지 않는다.
안 된다고 말하지 말자.
시인이 되어보자.
한 줄의 시 적듯 살아보자.
그리하여 시 한 편 완성해보자.
그저
시 쓰듯
한 번 해보자.
하루의 시를 써보자.
시인 같은 하루를 보내자.
시인 김완하는 ‘동백꽃’에서 이렇게 노래했다.
『그 꽃 다 지고 나서야
지름길을 알았다.
그대에게 가는 길』
시처럼 살 수 있는 날 다 놓치고
그렇게 살 수 있었음을 후회하지 말자.
오직
하루인들,
단 한 순간인들 어떠랴.
시 한 편 읽듯,
시 한 줄 쓰듯이
그렇게
시에게로 가
내가 시가 된들 어떠랴.
삶이,
순간이,
시가 된들 좋지 않으랴!
키팅은 시를 빌려, 제자들의 삶에 대해 말한다.
『존 키팅: 시가 아름다워서 읽고 쓰는 것이 아니다. 인류의 일원이기 때문에 시를 읽고 쓰는 것이다. 인류는 열정으로 가득 차 있어. 의학, 법률, 경제, 기술 같은 것들은 삶을 유지하는데 필요해. 하지만 시와 미, 낭만, 사랑은 삶의 목적이다. 휘트먼의 시를 인용해볼까.
“오, 나여! 오 생명이여! 수없이 던지는 이 의문!
믿음 없는 자들로 이어지는 도시
바보들로 넘쳐흐르는 도시
아름다움을 어디서 찾을까? 오, 나여! 오 생명이여!
대답은 한 가지, 네가 거기에 있다는 것
생명과 존재가 있다는 것
화려한 연극은 계속되고
너 또한 한 편의 시가 된다는 것.”
여러분의 시는 어떤 것이 될까?(What will be your verse?)』
IP *.189.235.111
『존 키(John Keating)팅: “오 선장님, 나의 선장님이여(Oh Captain, my captain)” 이게 누구 시에 나오는지 아는 사람? 아무도 없나? 전혀 모르겠나? 이것은 에이브라함 링컨(Abraham Lincoln)을 찬양한 월트 휘트먼(Walt Whitman)의 시다.
자, 이 수업에서는 나를 키팅 선생님이라고 불러도 좋고, 아니면 대담하게 “오 선장님, 나의 선장님” 이라고 불러도 좋다.』
- 영화 ‘죽은 시인의 사회’
키팅은 월트 휘트먼의 시 속의 주인공이 되겠다고 한다.
자신을 시의 주인공으로 불러 달란다.
누가 말리겠는가.
시처럼 살아보자.
시 같은 하루를 만들어보자.
일주일에 하루는 그렇게 만들어보자.
하루의 어느 순간은 그렇게 살아보자.
누구도 모르고
누구도 말리지 않는다.
안 된다고 말하지 말자.
시인이 되어보자.
한 줄의 시 적듯 살아보자.
그리하여 시 한 편 완성해보자.
그저
시 쓰듯
한 번 해보자.
하루의 시를 써보자.
시인 같은 하루를 보내자.
시인 김완하는 ‘동백꽃’에서 이렇게 노래했다.
『그 꽃 다 지고 나서야
지름길을 알았다.
그대에게 가는 길』
시처럼 살 수 있는 날 다 놓치고
그렇게 살 수 있었음을 후회하지 말자.
오직
하루인들,
단 한 순간인들 어떠랴.
시 한 편 읽듯,
시 한 줄 쓰듯이
그렇게
시에게로 가
내가 시가 된들 어떠랴.
삶이,
순간이,
시가 된들 좋지 않으랴!
키팅은 시를 빌려, 제자들의 삶에 대해 말한다.
『존 키팅: 시가 아름다워서 읽고 쓰는 것이 아니다. 인류의 일원이기 때문에 시를 읽고 쓰는 것이다. 인류는 열정으로 가득 차 있어. 의학, 법률, 경제, 기술 같은 것들은 삶을 유지하는데 필요해. 하지만 시와 미, 낭만, 사랑은 삶의 목적이다. 휘트먼의 시를 인용해볼까.
“오, 나여! 오 생명이여! 수없이 던지는 이 의문!
믿음 없는 자들로 이어지는 도시
바보들로 넘쳐흐르는 도시
아름다움을 어디서 찾을까? 오, 나여! 오 생명이여!
대답은 한 가지, 네가 거기에 있다는 것
생명과 존재가 있다는 것
화려한 연극은 계속되고
너 또한 한 편의 시가 된다는 것.”
여러분의 시는 어떤 것이 될까?(What will be your verse?)』
댓글
1 건
댓글 닫기
댓글 보기
VR Left
번호 | 제목 | 글쓴이 | 날짜 | 조회 수 |
---|---|---|---|---|
34 | 흔들리며 피는 꽃 | 변화경영연구소-김용규 | 2006.05.18 | 7380 |
33 | 하버드 대학 최고령 졸업생의 연설문 | 문요한 | 2006.05.16 | 9133 |
32 | 확실하게 실패하는 법 | 변화경영연구소-홍승완 | 2006.05.15 | 8953 |
31 | 호박 만세 | 구본형 | 2006.05.12 | 7439 |
30 | 질경이를 닮은 사람 [1] | 변화경영연구소-김용규 | 2006.05.10 | 7195 |
29 | 그냥 [2] | 변화경영연구소-문요한 | 2006.05.09 | 6228 |
28 | 일상 [1] | 변화경영연구소-홍승완 | 2006.05.08 | 6387 |
27 | 심장이 뛴 날 이후 | 구본형 | 2006.05.05 | 7470 |
26 | 당신은 어떤 나무이고 싶습니까? | 변화경영연구소-김용규 | 2006.05.04 | 7182 |
25 | 내 마음의 자리 바꾸기 | 변화경영연구소-문요한 | 2006.05.02 | 7188 |
24 | 선동가 | 변화경영연구소-홍승완 | 2006.05.01 | 6581 |
23 | 어떤 유머에 대하여 | 구본형 | 2006.04.27 | 7009 |
22 | 굽은 나무도 충분히 아름답습니다. [3] | 변화경영연구소-김용규 | 2006.04.27 | 6541 |
21 | 비탈길을 올라가라! [1] | 변화경영연구소-문요한 | 2006.04.25 | 6614 |
20 | 커뮤니케이션의 기본 2가지 [3] | 변화경영연구소-홍승완 | 2006.04.24 | 8155 |
19 | 밥 [2] | 구본형 | 2006.04.21 | 8152 |
18 | 사스래나무와 전나무 [4] | 변화경영연구소-김용규 | 2006.04.20 | 8627 |
17 | 사랑을 확인하는 특별한 기준 [3] | 변화경영연구소-문요한 | 2006.04.17 | 8407 |
» | 시처럼 살아보자 [1] | 변화경영연구소-홍승완 | 2006.04.17 | 8370 |
15 | 10 분 강의 [1] | 구본형 | 2006.04.14 | 85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