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변화경영연구소-김용규
- 조회 수 5659
- 댓글 수 0
- 추천 수 0
나무이고 싶은 욕심
지구상에는 50여만 종의 식물이 산다고 하죠? 그들 중 몇 가지 이름 만을 아는 저의 무식함은 그들을 그저 크게 나무와 풀 두 종류로 구분해서 인식하는 경우가 허다합니다. 최근에는 '나무와 풀은 제대로 구별할 줄 아는가' 하는 회의가 들어 그 구별법이 궁금해졌습니다. 찾아 보니 전문가들은 다음과 같이 정리하고 있군요.
“우선 나무의 조건은 이렇다. 뿌리에서 잎까지 양분과 수분을 운반할 수 있을 전문적인 기관, 즉 관다발이라는 조직을 적어도 수십 년 동안 가지고 있어야 한다. 관다발은 껍질 바로 아래에 있는 부름켜를 기준하여 바깥으로 체부, 안쪽으로 목부를 만들어내면서 평생 동안 지름을 키워간다. 아울러서 적어도 몇 년에서 길게는 몇 천 년까지 오랫동안 살아 있어야 한다.
풀은 관다발은 있지만 부름켜가 없어서 지름을 키우지 못하고 봄에 싹이 나와 가을이면 꽃피우고 열매 맺은 다음, 대부분 그 해에 죽어버리는 식물을 말한다. 종류에 따라서는 땅속에 뿌리를 두고 해마다 다시 싹이 나오는 풀도 있다. 대부분 1년 단위, 적어도 몇 년이라는 일정기간을 두고 죽어버리는 식물은 모두 풀이다.
간단히 말하여 겨울에도 땅위의 줄기가 살아 있는 식물은 나무이고, 겨울에 줄기가 죽어버리면 풀이라고 알아두면 크게 틀리지 않는다.”(@ 우리숲)
식물도 우주의 섭리대로 주어진 일생을 살 테고, 그러니 소중하지 않은 풀 한 포기, 나무 한 그루 없겠다 싶으면서도 문득 ‘이왕이면 나는 풀보다는 나무를 닮은 인간으로 살고 싶다’ 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짧은 시간 에너지를 모아 싹 틔우고 꽃 피워 열매를 맺는 일생 보다는, 더디게 굵어지고 단단해 지더라도 오래오래 깊고 푸르렀으면 좋겠다’는 생각이지요.
여기 까지 생각이 이르고 나니, 나는 참 욕심이 많은 인간이구나 생각하게 됩니다.
IP *.189.235.111
지구상에는 50여만 종의 식물이 산다고 하죠? 그들 중 몇 가지 이름 만을 아는 저의 무식함은 그들을 그저 크게 나무와 풀 두 종류로 구분해서 인식하는 경우가 허다합니다. 최근에는 '나무와 풀은 제대로 구별할 줄 아는가' 하는 회의가 들어 그 구별법이 궁금해졌습니다. 찾아 보니 전문가들은 다음과 같이 정리하고 있군요.
“우선 나무의 조건은 이렇다. 뿌리에서 잎까지 양분과 수분을 운반할 수 있을 전문적인 기관, 즉 관다발이라는 조직을 적어도 수십 년 동안 가지고 있어야 한다. 관다발은 껍질 바로 아래에 있는 부름켜를 기준하여 바깥으로 체부, 안쪽으로 목부를 만들어내면서 평생 동안 지름을 키워간다. 아울러서 적어도 몇 년에서 길게는 몇 천 년까지 오랫동안 살아 있어야 한다.
풀은 관다발은 있지만 부름켜가 없어서 지름을 키우지 못하고 봄에 싹이 나와 가을이면 꽃피우고 열매 맺은 다음, 대부분 그 해에 죽어버리는 식물을 말한다. 종류에 따라서는 땅속에 뿌리를 두고 해마다 다시 싹이 나오는 풀도 있다. 대부분 1년 단위, 적어도 몇 년이라는 일정기간을 두고 죽어버리는 식물은 모두 풀이다.
간단히 말하여 겨울에도 땅위의 줄기가 살아 있는 식물은 나무이고, 겨울에 줄기가 죽어버리면 풀이라고 알아두면 크게 틀리지 않는다.”(@ 우리숲)
식물도 우주의 섭리대로 주어진 일생을 살 테고, 그러니 소중하지 않은 풀 한 포기, 나무 한 그루 없겠다 싶으면서도 문득 ‘이왕이면 나는 풀보다는 나무를 닮은 인간으로 살고 싶다’ 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짧은 시간 에너지를 모아 싹 틔우고 꽃 피워 열매를 맺는 일생 보다는, 더디게 굵어지고 단단해 지더라도 오래오래 깊고 푸르렀으면 좋겠다’는 생각이지요.
여기 까지 생각이 이르고 나니, 나는 참 욕심이 많은 인간이구나 생각하게 됩니다.
VR Left
번호 | 제목 | 글쓴이 | 날짜 | 조회 수 |
---|---|---|---|---|
97 | 그림 잘 그리는 방법 | 변화경영연구소 | 2006.09.06 | 7891 |
96 | 당신의 마음이 머무르는 곳 | 변화경영연구소-문요한 | 2006.09.05 | 5409 |
95 | 인연 | 변화경영연구소-홍승완 | 2006.09.04 | 5680 |
94 | 우리는 인간으로서의 존엄성에 굶주려 있다 | 구본형 | 2006.09.01 | 5732 |
93 | 값 비싼 불행 | 변화경영연구소-김용규 | 2006.08.30 | 5555 |
92 | 두 가지 자유 | 변화경영연구소-문요한 | 2006.08.29 | 5308 |
91 | ‘매일 지속하는 것’만큼 강력한 실행법은 없다 | 변화경영연구소-홍승완 | 2006.08.28 | 5614 |
90 | 내게 15분 씩만 적선하시요 [2] [7] | 구본형 | 2006.08.25 | 5559 |
» | 나무이고 싶은 욕심 | 변화경영연구소-김용규 | 2006.08.23 | 5659 |
88 | 사랑하는 일을 찾기 위한 열가지 질문 | 변화경영연구소-문요한 | 2006.08.22 | 5614 |
87 | 사랑 | 변화경영연구소-홍승완 | 2006.08.21 | 5987 |
86 | 빈 배 [1] | 변화경영연구소-오병곤 | 2006.08.18 | 5340 |
85 | 미련하고 비현실적인 사람을 위한 질문 | 변화경영연구소-김용규 | 2006.08.16 | 5943 |
84 | 모순, ‘그러면서’ | 홍승완 | 2006.08.16 | 5420 |
83 | 행복에 이르는 10개의 계단 | 변화경영연구소-오병곤 | 2006.08.11 | 7596 |
82 | 더불어 살지 못하는 숲 | 변화경영연구소-김용규 | 2006.08.09 | 5372 |
81 | 날개 없는 그대에게 | 변화경영연구소-문요한 | 2006.08.08 | 5405 |
80 | 에너지 충전소 | 변화경영연구소-홍승완 | 2006.08.07 | 5621 |
79 | 일상에서 낚아올린 월척 <2> | 변화경영연구소-오병곤 | 2006.08.04 | 5736 |
78 | 잡초 | 변화경영연구소-김용규 | 2006.08.02 | 589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