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학이시습
- 조회 수 3569
- 댓글 수 0
- 추천 수 0
진정한 자아의 발견(오상아(吾喪我))
이 용어는 장자가 한 말인데, 의미는 ‘내가 나를 장사 지낸다면 나를 죽임을 청하는 것과
같다고 생각 할 수 있다는 것’ 이다. 이는 자살 하라는 말이 아니라, 오히려 황홀한 삶을
누리라는 말이다. 자신을 죽인 이후에야 비로소 다른 사람을 받아드리고 더 큰 뜻을 이룰 수
있다는 의미 이기도 하다. 성경에서도 ‘한 알의 밀알이 땅에 떨어져 죽지 아니하면 한 알 그대로
이지만, 떨어져 죽으면 열배, 삼십배, 백배의 결실을 이룬다고 기록’ 하고 있다.
큰 나무 일수록 새들이 와서 둥지를 틀고 사는 법이다.
김구 선생도 어려서는 결단력이 약하고 우유부단한 성격을 지니신 분이셨다. 이를 보완하기 위해 그의 스승이신
고후조(후조는 고능선의 호)선생이 그(김구 선생)의 결단력을 북돋워주기 위해 가르쳐주신 교훈 가운데,
“가지 잡고 나무를 오르는 것은 기이한 일이 아니나, 벼랑에 매달려 잡은 손을 놓는 것이 가히 장부로다”라는
글귀를 늘 마음에 두고 살았다고 한다.
백범 일기에 ‘치하포 사건’에 관한 글에서, 국모인 명성왕후를 살해한 자, ‘미우라 고로’로 보이는
일본인을 살해한 기록이 있다.
이때 김구 선생이 스스로 자문 자답할 때 위 글귀가 생각 났다고 한다.
그는 스스로 묻고 답했다.
“너는 저 왜놈을 죽여서 원수를 갚는 것이 옳다고 확신하느냐?”
“그렇다”
“너는 어릴 때부터 마음 좋은 사람이 되는게 소원이 아니었느냐?”
“그렇다. 그러나 지금 원수 왜놈을 죽이려다가 실패하여 도리어 왜놈의 칼에 죽는다면 한낱 도적놈의 시체로만
세상에 남겨질 것이다”
“그렇다면 마음 좋은 사람이 되고자 한 너의 소원은 다 거짓이고, 사실은 몸 호강하고 이름 내는 것을 좋아하는
사람이 되려는 바람이 아니냐?”
“이렇게 하여 비로소 죽을 마음을 작정하자, 그제야 마음의 바다에서 일던 바람이 자고 파도가
가라앉으면서 온갖 꾀가 꼬리를 물고 떠오른다”라고 당시 상황을 소개 하고 있다.
성경에서 예수님과 한 율법 학자의 대화에서도 '거듭남'에 관한 내용이 소개되어있다.
예수님께서 천국에 들어가는자는 “거듭나야”한다고 말 하는걸 듣고, 이 학자는 이런 질문을 한다.
어떻게 사람이 다시 태어 날 수 있습니까?
어머니 자궁에 다시 들어가는 것이 가능한 일 입니까? 라고 묻는다.
예수님의 말씀은,”내가 오해 하였구나, 육으로 나는 것은 어머니 몸에서 나온 것이지만, 성령으로
거듭나는 것은 그렇지 않으니라” 즉 학자의 질문은 육으로 거듭남을 말하고 있는데, 예수님은
성령으로 '거듭나는 것'을 말 하고 있다. 성령으로 거듭나는 것은 '죄로 단절된 하나님과의 관계가 예수
그리스도로 인해 하나님과의 관계가 회복됨을 의미 한다.
개신교에서는이 거듭남의 행사로 ‘세례’식을 거행 한다.
이것은 예전의 나는 죽고, 새로운 내가 다시 태어나는것을 의미 한다.
즉, 하나님과 죄로 인해 단절된 관계를, 다시 회복함을 의미 한다.
이런 과정을 통해 새로운 세계관을 갖게 되는 것이다.
이 세계관은 '창조- 타락 -구속 -회복'이라는 과정 안에서 자연과 세계의 질서를 바라보는 관점을 말한다.
엄숙한 자세로 자신의 삶을 직시하면서, 스스로를 발견하는 경험을 겪게 되면 우리의 일상에서,
일터에서 무슨 변화를 일어나게 하는 걸까?
얼마전 회사 내부 Manager 워크 샆을 가졌는데, 핵심 사항은 회사에서는Managerial Mind 를 가진 리더가 정말
필요 하다. 그렇면 Managerial Mind를 가진 리더은 어떤 방식으로 육성 할 수 있는것인지?
또 Manager 와 Worker 와의 의식 차이는 무엇인지? 를 놓고 피터 드러커의 생각을 듣는 시간이 있었다
피터 드러커의 지적은 Managerial Mind의 핵심은 ‘공헌력’에 달려 있다.
‘공헌력’이란 조직적으로 일을 할때 갖추어야 할 올바른 태도를 전제로 하고 있다.
내가 하는 일이 나의 명성과 나 만의 성공만을 향해 초점이 맞춰져 있다면,
속 해 있는 조직에서 ‘공헌력’을 발휘하기 어려울 것이다.
그렇다면, 조직에서 ‘일에 대한 올바른 태도’란 과연 어떤 자세여야 하는가?
조직은 평범한 사람들이 모여 비범한 성과를 만들어내야 하는 곳이다.
성과를 창출하는 경영은 마치 '기회' 와 '작업' 의 영원히 반복되는 계주(繼走)와 같다고 생각 한다.
1번 주자인 '기회'선수는 남보다 한 발 앞서서 2번 주자인 '작업'선수에게 바통을 제대로 넘겨주어야만 이길 수 있다.
그리고 2번 주자는 이렇게 이어받은 바통으로 끝까지 앞서서 달리 수 있어야 한다.
그런데 중요한 사실은 바로 이 2번 주자인 '작업'선수가 어느 순간에 새로운 1번 주자 '기회'선수로 탈바꿈한다는
사실이다. 즉 일 속에서 기회를 찾아냄으로써 그런 변신이 가능합니다.
이런 지적은 피터 드러커의 놀라운 통찰이라고 생각 합니다.
'기회'는 특별한 노력이나 재능을 바탕으로 따로 찾는 것이 아니라, 바로 '일'속에서 자연스럽게 찾아야 한다는
것이지요. 이렇게 '기회' 주자로 탈바꿈한 선수는 다시 새로운 '작업'주자에게 바통을 넘깁니다.
이렇듯 '기회' 와 '작업'의 중첩되는 반복이야말로 성과를 창출하는 기업의 진정한 모습이 아니까 생각 합니다.
이 모든것은 조직원 각자의 공헌력을 통해 이루워지는 것이고, 이런 조직원의 결속이 비범한 성과를 만드는 핵심
이라고 생각 한다.
결론적으로 장자가 말하는 “오상아”는 일상에서 접하는 자신의 업무에서도 적용해 보면 놀라운 일이 일어난다.
자신의 일하는 태도를 회사의 Value Chain상에서 점검해 보자.
대부분의 회사 업무가 기능 중심으로 나뉘어져 있기 때문에 스스로 완결된 성과 나 Value를 만들지 못한다는 것을
잘 알고 있어야 한다. 때문에 서로 합심해서 협력할때 비로소 성과를 내는 것이다.
죽음의 목전까지 가 본 사람은 세상을 달리 본다고 한다.
못쓸 병에 걸려 세상에 더 이상 미련을 갖지 못하게 되었을 때, 후회 하는 것은 “왜, 그렇게 살았지?” 라고 묻는다.
일을 대하는 직장인, 전문가 집단에서도 조금 아는 지식만 믿고 큰 소리 치고, 거만스런 행동으로 속해 있는 공동체에
해(害)가 되는 일을 서슴지 않는 경우를 볼 때도 비슷한 생각을 하게 된다.
공헌력을 발휘하기 위해서는,
오늘의 나는 죽고, 내 안에 새로운 내가 탄생하는 경험을 하면서 살아 보자.
번호 | 제목 | 글쓴이 | 날짜 | 조회 수 |
---|---|---|---|---|
3272 | 쌀과자#31_마음의 근력 [1] | 서연 | 2012.12.03 | 2634 |
3271 | 공자도 공부가 부족한 자로를 사랑했다네 [1] | ![]() | 2012.12.03 | 5578 |
3270 | 알려지지 않은 신 5 [1] | 레몬 | 2012.12.03 | 2577 |
3269 | 꿈쟁이 뿌꼬 #4 [4] | 한젤리타 | 2012.12.03 | 2977 |
3268 | 알려지지 않은 신 4 [1] | 레몬 | 2012.11.28 | 2440 |
3267 | 알려지지 않은 신 3 | 레몬 | 2012.11.27 | 2216 |
3266 | 내가 사랑하는 것들 100가지 [3] | 콩두 | 2012.11.26 | 5584 |
3265 | 다시 사랑한다 말 할까 | 장재용 | 2012.11.26 | 2427 |
3264 | 숫자가 신이 되는 사회 | 세린 | 2012.11.26 | 2424 |
3263 | 예지는 시간을 넘어선 것이다 | ![]() | 2012.11.26 | 2162 |
3262 | 쌀과자#30_선택그리고 리스크 | 서연 | 2012.11.26 | 2627 |
3261 | 국민을 향한 커뮤니케이션 : TV토론 | 샐리올리브 | 2012.11.26 | 2070 |
» | 진정한 자아의 발견 [1] | 학이시습 | 2012.11.26 | 3569 |
3259 | 꿈쟁이 뿌꼬 #3 [2] | 한젤리타 | 2012.11.26 | 2566 |
3258 | 완벽주의 유감 [2] | 이희석 | 2012.11.20 | 4044 |
3257 |
2013년 산소통 프로젝트 ![]() | 샐리올리브 | 2012.11.19 | 2851 |
3256 | 우산을 챙길까? 말까? (확률론) [4] [3] | 세린 | 2012.11.19 | 3343 |
3255 | 천 가지 자기를 사랑하는 방법 [1] | 콩두 | 2012.11.19 | 3199 |
3254 | 늦가을 만보 [5] | 장재용 | 2012.11.19 | 5459 |
3253 | “대화가 있는 식탁” [1] | 학이시습 | 2012.11.19 | 50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