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명석
- 조회 수 5665
- 댓글 수 0
- 추천 수 0
반갑고 고맙고 기쁘다.
앉은 자리가 꽃자리니라!
네가 시방 가시방석처럼 여기는
너의 앉은 그 자리가
바로 꽃자리니라.
반갑고 고맙고 기쁘다.
- 구 상 시인의 ‘꽃자리’ 전문 -
시인은 이 시를 통해 무슨 말을 하고 싶었던걸까요? 어제는 지나갔고, 내일은 추상이며, 우리가 살아낼 수 있는 시간은 오늘뿐이니, ‘지금, 여기’에 집중하라는 말일까요, 아니면 ‘가시방석’이라고 표현된 고통에도 의미가 있으니, 기꺼이 껴안으라는 말일까요.
시인의 속내를 확인할 길은 없지만, 저는 ‘시방 여기가 꽃자리’인 것을 알게 되었습니다. 나이가 준 선물입니다.
벗어버리지 못해 안달이었던 서른 살의 자유, 아이들이 너무 사랑스러우면서도 때로 도망치고 싶던 육아기간, 심지어 불경기에 처했던 사업조차 모두 ‘꽃자리’였습니다.
성숙의 길목에 선 서른 살, 육아프로젝트는 모두 인생의 황금기였습니다. 불경기라고 해도 일할 수 있는 기반이 있다는 것이 얼마나 소중한 것인지 그때는 몰랐습니다. 지금보다 더 좋은 때가 있겠지 바라면서 버티느라 급급했지, 그 좋은 시절을 향유하지 못했습니다.
살아보니 ‘더 좋은 때’란 없습니다. 설령 있다고 해도 그 정점만이 삶이라면, 정점에 도달하기 위한 여정은 모두 고해가 되고 말겠지요.
삶은 목표가 아니라 여정입니다. 우리는 오직 현재에만 존재할 수 있습니다. 오늘 하루에 숨어있는 의미를 찾아내고, 무슨 일이 있어도 행복한 일을 만들어야 하는 이유가 여기에 있습니다.
초라하기 그지없는 오늘을 껴안아봅니다. 앞으로 걸었다는 기억밖에 없는데, 칡덩굴처럼 얽혀있는 현실에 눈물이 날 것 같습니다. 그러나 오늘은 언젠가 내가 행한 일의 결과이고, 당연히 내가 헤쳐나가야 할 일입니다. 지금부터 내게 일어나는 일을 온전히 수용하고, 기꺼이 즐길 준비가 되어 있습니다. 삶에 대한 대긍정입니다.
IP *.189.235.111
앉은 자리가 꽃자리니라!
네가 시방 가시방석처럼 여기는
너의 앉은 그 자리가
바로 꽃자리니라.
반갑고 고맙고 기쁘다.
- 구 상 시인의 ‘꽃자리’ 전문 -
시인은 이 시를 통해 무슨 말을 하고 싶었던걸까요? 어제는 지나갔고, 내일은 추상이며, 우리가 살아낼 수 있는 시간은 오늘뿐이니, ‘지금, 여기’에 집중하라는 말일까요, 아니면 ‘가시방석’이라고 표현된 고통에도 의미가 있으니, 기꺼이 껴안으라는 말일까요.
시인의 속내를 확인할 길은 없지만, 저는 ‘시방 여기가 꽃자리’인 것을 알게 되었습니다. 나이가 준 선물입니다.
벗어버리지 못해 안달이었던 서른 살의 자유, 아이들이 너무 사랑스러우면서도 때로 도망치고 싶던 육아기간, 심지어 불경기에 처했던 사업조차 모두 ‘꽃자리’였습니다.
성숙의 길목에 선 서른 살, 육아프로젝트는 모두 인생의 황금기였습니다. 불경기라고 해도 일할 수 있는 기반이 있다는 것이 얼마나 소중한 것인지 그때는 몰랐습니다. 지금보다 더 좋은 때가 있겠지 바라면서 버티느라 급급했지, 그 좋은 시절을 향유하지 못했습니다.
살아보니 ‘더 좋은 때’란 없습니다. 설령 있다고 해도 그 정점만이 삶이라면, 정점에 도달하기 위한 여정은 모두 고해가 되고 말겠지요.
삶은 목표가 아니라 여정입니다. 우리는 오직 현재에만 존재할 수 있습니다. 오늘 하루에 숨어있는 의미를 찾아내고, 무슨 일이 있어도 행복한 일을 만들어야 하는 이유가 여기에 있습니다.
초라하기 그지없는 오늘을 껴안아봅니다. 앞으로 걸었다는 기억밖에 없는데, 칡덩굴처럼 얽혀있는 현실에 눈물이 날 것 같습니다. 그러나 오늘은 언젠가 내가 행한 일의 결과이고, 당연히 내가 헤쳐나가야 할 일입니다. 지금부터 내게 일어나는 일을 온전히 수용하고, 기꺼이 즐길 준비가 되어 있습니다. 삶에 대한 대긍정입니다.
VR Left
번호 | 제목 | 글쓴이 | 날짜 | 조회 수 |
---|---|---|---|---|
197 | 언 것을 녹이는 데는 바람이 최고 [2] [2] | 구본형 | 2007.03.02 | 4581 |
196 | 내가 그대에게 해 줄 수 있는 말 [3] | 한명석 | 2007.03.01 | 4853 |
195 | 돛 없는 사람, 닻 없는 사람 [1] | 문요한 | 2007.02.27 | 5221 |
194 | 다시 리더십을 생각하며 | 오병곤 | 2007.02.26 | 5029 |
193 | 일이 삶을 지배할 때 [1] | 구본형 | 2007.02.24 | 4401 |
» | 시방 여기가 꽃자리 | 한명석 | 2007.02.22 | 5665 |
191 | 게으름 극복을 위한 십계명 | 문요한 | 2007.02.20 | 6217 |
190 | 변화와 공감 | 오병곤 | 2007.02.19 | 4524 |
189 | 첫 출근한 날 아침은 [1] | 구본형 | 2007.02.16 | 4928 |
188 | 사랑에 대한 세 가지 코드 | 한명석 | 2007.02.14 | 5185 |
187 | 선택회피 증후군 | 문요한 | 2007.02.13 | 5639 |
186 | 외로우니까 사람이다 | 오병곤 | 2007.02.12 | 5191 |
185 | 감정의 끈을 놓치지 마라 | 구본형 | 2007.02.09 | 5207 |
184 | 나훈아 따라잡기 | 한명석 | 2007.02.08 | 5547 |
183 | 당신안의 두 아이를 만나 보셨나요? | 문요한 | 2007.02.06 | 4528 |
182 | 사색의 힘 | 오병곤 | 2007.02.05 | 5292 |
181 | 빛과 어둠 | 구본형 | 2007.02.02 | 4980 |
180 | 모든 사람이 정신을 잃을 때 제정신을 유지하는 법 | 한명석 | 2007.02.01 | 5865 |
179 | 패턴 브레이킹 [1] | 문요한 | 2007.01.30 | 4765 |
178 | 작은 배려가 큰 힘이 됩니다 [2] | 오병곤 | 2007.02.04 | 42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