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명석
- 조회 수 3752
- 댓글 수 2
- 추천 수 0
커피를 마실 때는 반드시 방문을 걸어잠급니다. 커피의 향을 음미하는 일에 순수하게 집중하기 위해서지요. 커피는 수동분쇄기에 원두커피를 직접 갈아 마십니다. 그 정도의 손놀림을 통해 살아있음을 확인하고 싶다네요. 출근하는 길이 일곱 개가 넘는답니다. 소소한 다양성을 통해 일상의 변주를 즐기는거지요. 대부분의 사람이 겨우 10분이 더 걸린다는 이유로 한번도 가 보지 않은 길을 그는 택합니다. 그렇게 해서 빨리 도착한 10분 덕분에 삶의 역사가 바뀌지는 않는다고 말하면서요. 날씨가 화창하면 잔디밭에 나가 강의를 합니다. 지리산 계곡물에 발을 담그고 논문을 쓴 적도 있다는 그의 말을 직접 들어볼까요?
“아이들이 포충망으로 나비를 잡듯이 나는 내 감각의 그물로 온갖 쾌락들을 건져올리려 안간힘을 쓴다. 익숙한 일상의 공간에서조차 내 쾌락의 포충망은 숱한 목표물들을 겨냥하느라 바쁘다. 여인의 아름다운 미소, 살갗을 스치는 신선한 바람, 쏟아지는 햇빛, 싱그러운 젊은 웃음 소리, 쇼윈도에서 빛나는 상품들, 도시 빌딩숲 사이에 엉뚱한 푸르름으로 서 있는 유실수들. 짧은 길을 걸을 때조차 내 몸은 이런 모든 것들 안에 깃들인 즐거움들을 하나도 놓치지 않기 위해 팽팽한 긴장 상태로 들어서는 것이다. 나는 유죄인가. 그 평결 따위에는 관심 없다. 살과 뼈의 육체를 지니고 있는 동안 나는 그것으로 누릴 수 있는 모든 쾌락들을 철저히 누리고 싶을 뿐이다.”
그는 온 몸의 감각을 열어놓고 고른 호흡으로 삶의 모든 향기를 마시며 살기를 원하는군요. 축구의 목표가 골대가 아니고, 삶의 목표가 잘 나가는 것이 아니듯, 음미되지 않는 삶은 살아갈 가치가 없다는 것이지요. 흙이 되기도 전에 흙처럼 살고 싶지는 않다는 것입니다.
그가 말하는 ‘쾌락’이란 ‘삶의 매 순간을 음미하는 맛’을 뜻합니다. 그 의미대로라면 나도 기꺼이 쾌락주의자가 되고 싶습니다.
참고도서: 이왕주 지음/부산대 윤리학과 교수
“쾌락의 옹호”, 문학과 지성사, 2001
IP *.189.235.111
“아이들이 포충망으로 나비를 잡듯이 나는 내 감각의 그물로 온갖 쾌락들을 건져올리려 안간힘을 쓴다. 익숙한 일상의 공간에서조차 내 쾌락의 포충망은 숱한 목표물들을 겨냥하느라 바쁘다. 여인의 아름다운 미소, 살갗을 스치는 신선한 바람, 쏟아지는 햇빛, 싱그러운 젊은 웃음 소리, 쇼윈도에서 빛나는 상품들, 도시 빌딩숲 사이에 엉뚱한 푸르름으로 서 있는 유실수들. 짧은 길을 걸을 때조차 내 몸은 이런 모든 것들 안에 깃들인 즐거움들을 하나도 놓치지 않기 위해 팽팽한 긴장 상태로 들어서는 것이다. 나는 유죄인가. 그 평결 따위에는 관심 없다. 살과 뼈의 육체를 지니고 있는 동안 나는 그것으로 누릴 수 있는 모든 쾌락들을 철저히 누리고 싶을 뿐이다.”
그는 온 몸의 감각을 열어놓고 고른 호흡으로 삶의 모든 향기를 마시며 살기를 원하는군요. 축구의 목표가 골대가 아니고, 삶의 목표가 잘 나가는 것이 아니듯, 음미되지 않는 삶은 살아갈 가치가 없다는 것이지요. 흙이 되기도 전에 흙처럼 살고 싶지는 않다는 것입니다.
그가 말하는 ‘쾌락’이란 ‘삶의 매 순간을 음미하는 맛’을 뜻합니다. 그 의미대로라면 나도 기꺼이 쾌락주의자가 되고 싶습니다.
참고도서: 이왕주 지음/부산대 윤리학과 교수
“쾌락의 옹호”, 문학과 지성사, 2001
댓글
2 건
댓글 닫기
댓글 보기
VR Left
번호 | 제목 | 글쓴이 | 날짜 | 조회 수 |
---|---|---|---|---|
337 | 나는 갑 같은 을이다 | 오병곤 | 2007.11.05 | 3851 |
336 | 이유없는 웃음 [1] | 구본형 | 2007.11.02 | 3918 |
335 | 미쳐야만 살 수 있는 사람들 | 한명석 | 2007.11.01 | 3513 |
334 | 삶의 누추함이 경이로움으로 바뀔 때 | 문요한 | 2007.10.30 | 3850 |
333 | 아내의 빈자리 [1] | 오병곤 | 2007.10.29 | 3502 |
332 | 삶에 흥분이 깃들 때 | 구본형 | 2007.10.26 | 3676 |
331 | 어린 연인들 | 한명석 | 2007.10.25 | 3520 |
330 | 좋은 것과 위대한 것 [1] | 문요한 | 2007.10.23 | 3511 |
329 | 매일 이별하며 살고 있구나 [4] | 오병곤 | 2007.10.22 | 4582 |
328 | 네 부류의 사람들 [2] | 구본형 | 2007.10.19 | 3404 |
327 | 가을편지 | 한명석 | 2007.10.18 | 3476 |
326 | 잘 데워진 슬픔 | 문요한 | 2007.10.16 | 3577 |
325 | 가을, 그 외롭고 근면한 시간을 위하여 [2] | 오병곤 | 2007.10.15 | 3396 |
324 | 신은 세월을 통해 우리를 체벌합니다 [2] | 구본형 | 2007.10.12 | 3567 |
» | 이 남자가 사는 법 [2] | 한명석 | 2007.10.11 | 3752 |
322 | 버리려거든 먼저 채워라. | 문요한 | 2007.10.09 | 3370 |
321 | 모든 책임은 내가 진다 | 오병곤 | 2007.10.08 | 4243 |
320 | 이야기 채집 | 구본형 | 2007.10.05 | 3713 |
319 | 가을에 풍덩 빠져보기 [4] | 한명석 | 2007.10.04 | 3505 |
318 | 개의 머리로 생각한다면 [1] | 문요한 | 2007.10.02 | 335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