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구본형
- 조회 수 3675
- 댓글 수 0
- 추천 수 0
찬바람이 불고 대지가 차가워지면 동물들은 겨울을 날 준비를 합니다. 몽골의 말도 갈기가 생기고 털이 빡빡해집니다. 이런 변화와 함께 가장 중요한 변화는 말들의 눈이 야성의 그것으로 바뀌어 간다는 것입니다. 더 이상 따뜻한 여름 몇 달간의 그 순하고 조용한 눈빛이 아닙니다. 이것이 바로 정신적 무장이라 생각합니다. 혹독한 겨울과 싸워내기 위한 정신적 긴장 말입니다.
몽골인들도 말이 자연을 닮아 가지 못하면 겨울을 나지 못한다는 것을 압니다. 그리고 그 야성적 긴장을 도와줍니다. 몽골인들은 늑대를 다 잡지 않습니다. 늑대를 남겨두어야 말은 긴장을 버리지 않습니다. 늑대 또한 건강하고 펄펄 뛰는 긴장한 말을 노리지 않습니다. 자신을 보호하기 어려운 병들고 약한 말을 먹어 치우지요. 이것이 자연입니다.
사람에게도 늑대가 있습니다. 우리를 긴장하게 하여 삶을 치열하게 만들어 주는 늑대 말입니다. 나는 이 늑대가 바로 일이라고 생각합니다. 일에 치이고 시달릴 때 직장인들은 ‘ 일주일만 아무 생각없이 푹 쉬면 좋겠다’고 이구동성으로 말합니다. 그러나 막상 일없는 일상은 견디기 어렵습니다. 그래서 대부분의 사람들은 먹고 놀만큼 돈이 있어도 일을 하고 싶어 합니다. 일은 늑대와 같습니다. 늘 피하려 하지만 그것이 없으면 갑자기 늙어 버리고 세상은 지루한 것으로 변하고 맙니다.
나는 매일 일이 나를 해일처럼 덮치게 합니다. 새벽 몇 시간 동안은 흠뻑 젖습니다. 혼신을 다해 허우적대며 헤엄칩니다. 그러나 낮이 되면 일을 발로 걷어차 버립니다. 나는 놉니다. 늑대에게 죽을 듯
VR Left
번호 | 제목 | 글쓴이 | 날짜 | 조회 수 |
---|---|---|---|---|
337 | 나는 갑 같은 을이다 | 오병곤 | 2007.11.05 | 3850 |
336 | 이유없는 웃음 [1] | 구본형 | 2007.11.02 | 3917 |
335 | 미쳐야만 살 수 있는 사람들 | 한명석 | 2007.11.01 | 3512 |
334 | 삶의 누추함이 경이로움으로 바뀔 때 | 문요한 | 2007.10.30 | 3849 |
333 | 아내의 빈자리 [1] | 오병곤 | 2007.10.29 | 3502 |
» | 삶에 흥분이 깃들 때 | 구본형 | 2007.10.26 | 3675 |
331 | 어린 연인들 | 한명석 | 2007.10.25 | 3519 |
330 | 좋은 것과 위대한 것 [1] | 문요한 | 2007.10.23 | 3511 |
329 | 매일 이별하며 살고 있구나 [4] | 오병곤 | 2007.10.22 | 4582 |
328 | 네 부류의 사람들 [2] | 구본형 | 2007.10.19 | 3403 |
327 | 가을편지 | 한명석 | 2007.10.18 | 3475 |
326 | 잘 데워진 슬픔 | 문요한 | 2007.10.16 | 3577 |
325 | 가을, 그 외롭고 근면한 시간을 위하여 [2] | 오병곤 | 2007.10.15 | 3395 |
324 | 신은 세월을 통해 우리를 체벌합니다 [2] | 구본형 | 2007.10.12 | 3566 |
323 | 이 남자가 사는 법 [2] | 한명석 | 2007.10.11 | 3752 |
322 | 버리려거든 먼저 채워라. | 문요한 | 2007.10.09 | 3369 |
321 | 모든 책임은 내가 진다 | 오병곤 | 2007.10.08 | 4243 |
320 | 이야기 채집 | 구본형 | 2007.10.05 | 3713 |
319 | 가을에 풍덩 빠져보기 [4] | 한명석 | 2007.10.04 | 3505 |
318 | 개의 머리로 생각한다면 [1] | 문요한 | 2007.10.02 | 335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