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문요한
- 조회 수 5655
- 댓글 수 0
- 추천 수 0
‘새는 알에서 나오려고 투쟁한다. 알은 세계이다.
태어나려는 자는 하나의 세계를 깨뜨리지 않으면 안 된다.’
- 헤르만 헤세의 [데미안] 중에서 -
-------------------------------------------------
껍질에서 벗어나야만 생명은 시작합니다. 씨앗이 껍질을 벗지 않으면, 동물이 알에서 깨어나지 못하면 그것은 죽음을 의미합니다. 생명은 껍질을 벗음으로 시작합니다. 하지만 생명은 새로운 껍질을 입지 않으면 살아갈 수 없습니다. 껍질이 없거나 약하다면 생명체는 바스러지고, 체온이나 수분을 조절할 수 없을뿐더러, 천적으로부터 자신을 보호할 수도 없기 때문입니다.
그러나 껍질이 굳어지면 다시 성장의 장애물이 됩니다. 껍질은 속살보다 질기고 단단해지기에 내부의 성장을 억누르게 됩니다. 그렇기에 많은 생명체들은 껍질을 벗고 또 벗는 변태와 탈피를 거듭하며 자라납니다. 사람도 몸을 감싸주는 피부는 물론, 마음을 감싸는 단단한 틀이 있기에 상처로부터 자신을 보호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이 마음의 틀 역시 결국 성장을 가로막는 족쇄가 되고 맙니다.
껍질을 벗으면 맨살을 드러내는 고통과 불편이 따릅니다. 특히 자신을 잘 보호해주는 껍질을 벗는다는 것은 그 필요조차 느끼기 어렵습니다. 하지만 마음의 껍질벗기가 없는 한 삶은 성장할 수 없을 뿐더러 서서히 죽어가게 됩니다. 벗지 않으면 클 수도, 존재할 수도 없는 것이 생명이기 때문입니다.
그러므로 껍질은 삶의 형식이 아닌 본질이며 껍질벗기는 생명활동의 에센스입니다.
VR Left
번호 | 제목 | 글쓴이 | 날짜 | 조회 수 |
---|---|---|---|---|
534 | 내가 만난 평범한 그 사람들 [1] | 부지깽이 | 2008.10.17 | 5881 |
533 | 당신은 누구입니까? | 김도윤 | 2008.10.16 | 3731 |
532 |
당신의 지상낙원은? ![]() | 문요한 | 2008.10.14 | 6033 |
531 |
인연이 가장 추해질 때 ![]() | 박승오 | 2008.10.13 | 5222 |
530 | 그 곳, 겸허의 빈터 [3] | 부지깽이 | 2008.10.10 | 5306 |
529 | '생명'이란 무엇인가? | 김도윤 | 2008.10.09 | 5053 |
528 | 일과 여행의 만남 | 문요한 | 2008.10.07 | 4335 |
527 |
내일 일기 ![]() | 박승오 | 2008.10.06 | 5438 |
526 |
내가 어제 한 일 중에서 가장 기쁜 일 ![]() | 부지깽이 | 2008.10.03 | 8787 |
525 | 사이의 풍경 | 김도윤 | 2008.10.02 | 5400 |
524 | 인생은 실험이다. [1] | 문요한 | 2008.09.30 | 5710 |
523 |
진실 게임 ![]() | 박승오 | 2008.09.29 | 6089 |
522 |
죽을 때 까지 현직이려면... ![]() | 구본형 | 2008.09.26 | 9019 |
521 | 상상의 도서관 [2] | 김도윤 | 2008.09.25 | 4722 |
520 | 거인의 어깨위로 올라서라 [2] | 문요한 | 2008.09.23 | 5455 |
519 |
너를 기다리며 나에게 간다 ![]() | 박승오 | 2008.09.22 | 6036 |
518 |
새로운 이름 하나 지어 주세요 ![]() | 구본형 | 2008.09.19 | 6040 |
517 | 끝의 시작 [4] | 김도윤 | 2008.09.18 | 5112 |
» | 벗는다. 그러므로 존재한다. | 문요한 | 2008.09.16 | 5655 |
515 |
이태백이 놀던 달처럼 ![]() | 박승오 | 2008.09.15 | 60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