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부지깽이
- 조회 수 4261
- 댓글 수 4
- 추천 수 0
"거의 사흘마다 바람이 불어서 비둘기집 지붕이 날아가 버리고, 세금을 내기 위해 가축을 처분해야했습니다. 태풍이 불면 포도밭이 엉망진창이 되지 않을까, 과수원은 어떻게 되어 있을까 하는 걱정 때문에 안심하고 창작에 전념할 수 없습니다. 이럴 바에는 차라리 가난 속에서 죽는 편이 낫겠습니다"
이탈리아 르네상스 조각가 도나텔로는 자신의 후원자인 메디치가문으로부터 농장을 하나 기부받았는데,
얼마 후 도나텔로는 그 농장을 다시 메디치가에게 돌려주었습니다. 그 이유가 바로 위에 적어 둔 내용입니다.
코시모 데 메디치는 피렌체의 르네상스를 후원한 메디치가의 참주였지요. 그는 특히 도나텔로를 극진히 아껴 자신이 죽은 후에도 도나텔로가 생계를 걱정하지 않고 창작에만 전념할 수 있도록 피렌체 교외의 농장 하나를 도나텔로에게 주라고 유언을 했답니다. 코시모의 아들 피에로는 그 유언을 지켜 도나텔로에게 농장을 하나 주었지만, 그는 예술가였지 농장주는 못되었던 모양입니다. 결국 피에로는 다시 그 농장을 돌려받고 그 대신 매달 그 농장에서 들어오는 수입만큼을 그의 구좌에 넣어 주게 했답니다. 도나텔로는 이 조치에 진심으로 고마워했지요.
그 후 도나텔로는 1466년에 세상을 떠나면서 코시모 데 메디치 무덤 옆에 자신을 묻어 달라고 유언을 하게 됩니다. 피에로는 이 약속도 지킵니다. 지금도 피렌체에 있는 산 로렌초 교회의 메디치가문 묘지에 코시모와 도나텔로는 나란히 묻혀있습니다. 감동적이지요 ? 삶도 나누고 죽음도 나눈다는 것이 바로 축복입니다.
꽃의 도시 피렌체를 떠나면서 감동과 그리움으로 내 가슴은 가득했습니다. 500년 전에 그 도시의 규모를 훨씬 뛰어넘는 그 웅장함과 아름다움이 나를 압도했기 때문이었지요. 도시 자체가 걸작이었고, 그 도시의 건축물들은 어디서도 구할 수 없는 진귀한 예술품으로 가득 채워져 있었으니까요.
코스모 데 메디치는 이렇게 말했습니다.
"나는 이 도시의 기분을 알고 있다. 우리 메디치 집안이 쫒겨날 때 까지는 50년도 걸리지 않을지 모른다.
하지만 사람은 가도 물건은 남는다"
그의 말대로 500년이 지난 지금도 피렌체는 관광객으로 북적거립니다. 그러나 바로 여기에 잊을 수 없는 역설이 있습니다. 우리가 보는 것은 남겨진 물건뿐 아니라 그 물건을 만든 위대한 인물들이라는 점입니다. 시료리아 광장에서 그 유명한 '다윗 조각상'을 보면서 나는 23살의 미켈란젤로를 생각합니다. 코시모와 도나텔로의 묘지를 보며 그 속에 나란히 묻혀있는 사람을 생각합니다. 그들은 웃고 있군요. 신으로부터, 또 운명으로부터 많은 사랑을 받은 사람들이니까요.
자기경영은 르네상스입니다. 인간의 부활이지요. 역사는 결국 사람일 수 밖에 없습니다.
자기경영은 바로 내 속에 묻혀있는 인간을 일으켜 세우는 것입니다.
번호 | 제목 | 글쓴이 | 날짜 | 조회 수 |
---|---|---|---|---|
1117 | 풍선 사달라고 조르는 아이에게 [2] | 신종윤 | 2011.03.15 | 3477 |
1116 | 새벽 2시의 용기 [1] | 부지깽이 | 2011.03.11 | 7505 |
1115 | 옮기기 전에 생각할 것 [1] | 김용규 | 2011.03.11 | 4121 |
1114 | 손가락 이상의 의미 [2] | 문요한 | 2011.03.09 | 3028 |
1113 |
어떤 사람으로 기억되기 바라는가 ![]() | 승완 | 2011.03.08 | 4105 |
1112 | 장애물로 디딤돌을 만들다 [4] | 신종윤 | 2011.03.07 | 3391 |
1111 | 다른 사람에게 몰두할수록 나에대해 잘 알게 된다 [1] [4] | 부지깽이 | 2011.03.04 | 4576 |
1110 | 무릇 자연 앞에 무릎 꿇기 위해서는… [1] | 김용규 | 2011.03.03 | 3562 |
1109 | 마음의 특효약 | 문요한 | 2011.03.02 | 4114 |
1108 |
인간, 살아 쉼 쉬는 에너지체 ![]() | 승완 | 2011.03.01 | 3871 |
1107 | 오늘 아침 아주 기분이 좋다 [2] | 부지깽이 | 2011.02.25 | 4527 |
1106 | 한 해 글 농사를 시작하며 [2] | 김용규 | 2011.02.24 | 3461 |
1105 | 마음 맛사지 | 문요한 | 2011.02.23 | 3913 |
1104 |
‘금양모피’를 찾아 떠나는 모험 ![]() | 승완 | 2011.02.22 | 3772 |
1103 | 아리오소 arioso, 대범하고 거리낌없이 [1] [13] | 부지깽이 | 2011.02.18 | 6985 |
1102 | 우리가 불행한 이유 [5] | 김용규 | 2011.02.17 | 3259 |
1101 | 문제와 마주하고 있는가 [1] | 문요한 | 2011.02.16 | 3538 |
1100 |
비슷하면 지는 거다 ![]() | 승완 | 2011.02.15 | 3316 |
» | 역사는 결국 인간입니다 [4] | 부지깽이 | 2011.02.11 | 4261 |
1098 | 스승과 제자 [1] | 김용규 | 2011.02.10 | 317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