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본형 변화경영연구소

연구원

칼럼

연구원들이

  • 효인
  • 조회 수 2043
  • 댓글 수 1
  • 추천 수 0
2013년 10월 24일 11시 01분 등록


매년 2학기에는 서비스 마케팅을 강의해왔다. 시중에는 서비스 마케팅 교재가 많이 나와 있고 그중에서 꽤 유명한 교재도 있다. 워낙 유명한 책이 있어 매학기 강의 교재를 선택하는데 고민이 없었다. 나는 몇 년째 그 유명한 책으로 강의를 해오고 있었다. 하지만 이번 학기는 강의교재를 선택하는데 고민을 좀 했다. 몇 가지 이유가 고민을 주었으나 가장 큰 이유는 내게 있었다. 전통적인 교재의 딱딱함에 내가 질린 것 같고 책에 정해진 순서를 따라 강의하는 것 또한 의무감만 갖게 할 뿐이었다. 내가 바라는 수업은 나와 학생들의 삶속에 변화를 만들어내는 것이다. 서비스 마케팅은 삶의 내용이고 형식이다. 나는 학생들의 일상 속에 서비스가 마케팅이 녹아들게 하고 싶었다. 이것이 이번학기를 시작하면서 내가 품은 간절한 열망이었다.

 

이 열망을 따라 새로운 시도를 해보기로 하였다. 우선 지금까지 사용해 오던 교재를 선택하지 않았다. 익숙했던 교재와 결별하고 나니 망망대해에 혼자 덩그러니 표류하고 있는 듯했다. 무엇을 어디서부터 시작해야 하나? 한 동안 막막한 안개에 싸여 있었지만 나의 내면으로 눈길을 돌리기 시작하자 막막한 안개가 걷히기 시작했다. 서비스 마케팅의 핵심을 나름의 방식대로 역기 시작했다. 삶속에 들어와 함께 호흡하고 있던 서비스를 마케팅을 불러내어 마주하기 시작했다.

 

수업은 로맹가리의 소설 자기 앞의 생에서부터 시작하였다. ‘자기 앞의 생은 사람은 사랑 없인 살 수 없기에 사랑해야 한다고 말해주었다. 서비스는 삶에 대한 사랑에서부터 시작하지 않던가! 두 번째 시간은 영화 여인의 향기를 통해 내 앞에 놓인 삶을 들여다보는 것이었다. 영화에서 프랭크는 탱고를 추고 페라리를 몰 때 삶에 대한 열정으로 가득했다. 프랭크는 여인들이 사용하는 비누의 향기를 알았고 그 향기를 좋아했다. 비누 향기가 여인들과의 만남을 이어주는 매개역할도 하지 않던가! 시력을 잃어버린 후 삶에 대한 즐거움을 잃고 죽음으로 삶을 마감하고자 했던 프랭크에게 여인의 향기는 삶에 대한 욕망이었다. 프랭크는 여인에게서 나는 은은한 비누향기를 좋아하고 사랑했다. 영화 여인의 향기를 통해 삶은 욕망하는 무언가를 사랑하고 사는 것이었다. 세 번째 시간은 영화 행복을 찾아서를 보고 욕망이 현실에 어떻게 꽃피어나는지 살펴보는 것이었다. 영화 속에서 크리스는 의료기 세일즈맨이었다. 거리에서 행복해 하는 사람들을 바라보며 크리스도 이들처럼 행복하고 싶다는 열망을 품게 된다. 그러던 어느 날 주식 중개인이 되고자하는 욕망을 품게 되고 6개월의 인턴과정에 지원하게 된다. 하지만 삶은 그를 밑바닥으로 몰아쳐간다. 노숙자가 되어 아들과 화장실에서 잠을 자고 노숙자 쉼터에서 잠을 자기도 한다. 말로 표현할 수 없는 고난의 시기였던 6개월의 인턴 기간에 크리스는 자신에게 주어진 삶을 긍정하며 하루하루 자신을 다 쓰고 있는 모습을 보여준다. 삶의 긍정과 주어진 일에 몰입으로 꽉찬 6개월의 시간은 크리스가 숙성되고 변형되는 시간이었다. 욕망은 숙성과 변형의 시간을 요구한다. 네 번째 영화는 인생은 아름다워였다. 인생은 아름다원 영화를 보기 전에 사부님의 책 나는 이렇게 될 것이다를 읽었다. ‘나는 이렇게 될 것이다에서 네 운명을 사랑하라Amor Fati에 대해 깊이 있게 이야기 했다. 운명에 대한 사랑, 삶에 대한 긍정이 욕망의 흐름을 시작하게 하는 출발임을 알았고 영화 인생은 아름다워를 통해 이것을 살펴보고 싶었다. 나는 영화 인생은 아름다워를 통해 학생들의 마음속에 새로운 욕망이 찾아오기를 바랬다. 상황의 희생자가 아니라 내일 지구의 종말이 올지라도 오늘 한 그루의 사과나무를 심는 삶으로 변모되길 바랬다.

 

삶의 긍정은 내 안의 욕망에 숨결을 불어넣는 것이다. 쉼을 쉬게 된 욕망은 우리 안에서 제 모습을 드러내기 시작할 것이다. 기다란 잠에서 깨어난 욕망은 나의 재능과 열정으로 버무려져 서비스로 구체화 될 것이다. 1만 시간이란 숙성의 과정을 통과한 서비스는 세상을 매혹시킬 만한 강점으로 변형될 것이다. 내가 제공하는 매혹적인 서비스는 스스로 마케팅을 해나갈 것이다. 내게 주어진 삶은 나의 서비스를 마케팅 하는 것이다. 중간시험이 지나면 필살기가 된 서비스를 어떻게 마케팅 할 것인지 많은 사례를 통해 살펴볼 것이다. 교재는 없지만 한 학기가 지나면 학생들은 스스로 만든 서비스마케팅 노트를 가지게 될 것이고 이 노트는 자기 삶의 변화과정을 기록한 그들만의 스토리가 될 것이다.

 

 

IP *.205.128.60

프로필 이미지
2013.10.26 11:25:33 *.97.72.143

아우님, 이거 살롱9에서 같은 방식으로 연결해 변경연의 벗들이나 대중에게 전파해도 좋지 않을까? 재미있는 아이템 같은데? 어떻게든 연결해 보심이 좋을 것 같으넹.  ^-^*

덧글 입력박스
유동형 덧글모듈

VR Left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3752 #24. 10월 오프수업 쭌영 2013.10.27 2159
3751 [10월 오프수업] 내 인생의 중요한 경험 그리고 나의 책 [1] 땟쑤나무 2013.10.27 2040
» 일상의 변화1 [1] 효인 2013.10.24 2043
3749 [2-20] 길 위에서 받는 수업 [2] 콩두 2013.10.24 2064
3748 #11_사람을 믿는다는 것은 서연 2013.10.22 2307
3747 #23. 시험 끝내고 화장실 청소합니다. [2] 쭌영 2013.10.22 2239
3746 [No.6-3] 얼마나 드러내야 글이 되겠니? - 서은경 [2] 서은경 2013.10.21 2240
3745 N025.의식이 육체를 지배하는가, 육신이 마음을 지배하는가. [3] 오미경 2013.10.21 3931
3744 가을 바다를 보고 왔습니다 [4] 유형선 2013.10.21 2020
3743 나는 무엇을 위해 지출을 하는가?! [1] 라비나비 2013.10.21 1945
3742 #20. 일요일 오전 10시, 번데기는 무슨 생각을 할까 [5] 땟쑤나무 2013.10.21 2090
3741 절실하면 이루어 진다 [4] 최재용 2013.10.21 2361
3740 아날로그에 취하다 네 번째 - 달고나 書元 2013.10.20 2063
3739 [산행기] 적석, 쌓는 자의 꿈 (적석산) [1] 장재용 2013.10.16 2980
3738 #10_사람을 알아본다는 것은 [1] 서연 2013.10.15 2309
3737 "당신은 뼛속까지 경영자인가? 아니면 겉으로만 경영자인 척하는가?" [1] 학이시습 2013.10.15 4069
3736 [No.6-2] 전환의 경험; 삶이 요동칠 때 - 서은경 [2] 서은경 2013.10.14 1843
3735 No24. 나는 지금 살아 숨쉬고 있는가 file [8] 오미경 2013.10.14 2485
3734 전환의 시간 [2] 유형선 2013.10.14 1912
3733 [10월 3주차] 성공의 함정과 공중 그네 [3] 라비나비 2013.10.14 214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