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효우
- 조회 수 3481
- 댓글 수 0
- 추천 수 0
우리가 지나온 그 시간동안 얼마나 많은 공간을 거쳐 여기에 서 있게 되었을까요. 그 공간의 의미들이 모여 지금의 그대를 대표하게 되었겠지요. 가스통 바슐라르는 '집은, (공간으로 바꾸어 말해도 괜찮겠습니다) 다음과 같이 말하고 있습니다.
‘집의 추억은 꿈의 가지를 한데 모아준다. … 이하 중략 …
하늘의 뇌우와 삶의 뇌우들을 거치면서도 인간을 붙잡아 준다. 그것은 육체이자 영혼이며 인간 존재, 최초의 세계이다’
바슐라르가 『공간의 시학』에서 말하고자 했던 것은 ‘내가 거쳐 오며 머물렀던 공간의 기억, 더 나아가 행복한, 즉 나를 성장시켰던 공간의 이미지, 그 이끌림’ 입니다. '초라한 공간조차도 조개껍질 같은 가치를 가지고 있고, 이 공간의 가치들은 무의식속에 뿌리박고 있어, 다시 말해 너무나도 당연시 되어 어떤 환기에 의해 되찾게 되는 실수를 범하고 있다'고 말하고 있습니다.
지난 주말, 그 가치를 다시 발견할 수 있는 공간의 응집력을 목격했습니다. 다만, 어떤 공간에서 함께 매일 글을 썼을 뿐인 사람들의 가슴에서 각기 다른 악기가 연주되고 그리하여 그 소리가 화합하는 오케스트라가 되어 웅장한 심포니를 연주하는 소리를 듣고야 말았습니다. 그것은 그들이 이제껏 해온 일의 방점을 찍는 일이었습니다.
뜨겁고 눅진한 이 계절을 유쾌하게 나기는 쉽지 않습니다. 그런데 이 현상이 오곡백과를 여물게 하는 여름의 소명인 것이기도 하지요. 그대는 지금 어느 공간에서 할 일을 하고 계신지요.
그대 또한 그대가 머무는 공간의 힘을 믿어 보지 않으시려는지요. 이 땅에 그대가 머물러만 있다면 공간의 기억은 얼마든지 다시 완성할 수 있습니다. 우리는 또 말하게 되겠지요.
'지난 여름은 굉장했어'라고 말입니다.
정예서의 치유와 코칭 백일쓰기
번호 | 제목 | 글쓴이 | 날짜 | 조회 수 |
---|---|---|---|---|
456 | 양수리 가는 길 [5] | 진철 | 2014.10.31 | 4702 |
455 | 정예서/풍광을 그리는 비결 | 효우 | 2014.10.29 | 3141 |
454 | 연어, 강물 냄새가 난다. | 진철 | 2014.10.24 | 4192 |
453 | 예서/ 편재(遍在)와 부재(不在) | 효우 | 2014.10.22 | 5690 |
452 | 풋풋한 첫사랑의 추억 | 진철 | 2014.10.17 | 3856 |
451 | 예서/ 걱정하는 당신에게 | 효우 | 2014.10.15 | 3119 |
450 | 한강에는 괴물이 산다. [2] | 진철 | 2014.10.11 | 3515 |
449 | 예서/그리운 봉하의 꿈 | 효우 | 2014.10.08 | 3110 |
448 | 죽음의 굿을 삼킨 늪, 예기소 [13] | 진철 | 2014.10.04 | 3717 |
447 | 예서/ 두고여도지죄(餘桃之罪 | 효우 | 2014.10.01 | 3566 |
446 | 정예서/사이후이(死而後已) | 효우 | 2014.09.24 | 3431 |
445 | 예서/ 사랑학개론 | 효우 | 2014.09.17 | 3234 |
444 |
정예서/ 여인의 향기 ![]() | 효우 | 2014.09.10 | 3649 |
443 | 정예서/ 명절증후군과 보편성 | 효우 | 2014.09.03 | 3201 |
442 | 정예서/ 살아남은 자의 슬픔 | 효우 | 2014.08.27 | 3256 |
441 |
예서/ 자발적 비편의성 ![]() | 효우 | 2014.08.20 | 3094 |
440 | 정예서/ 관계의 상 | 효우 | 2014.08.13 | 3239 |
439 | 정예서/ 먹기 싫은 사과를 먹는 방법 | 효우 | 2014.08.06 | 3474 |
438 | 예서/ 카우치 서핑 | 효우 | 2014.07.30 | 3473 |
» | 정예서/그대가 머무는 공간의 힘 | 효우 | 2014.07.23 | 3481 |